[[분류:1341년 출생]][[분류:1399년 사망]][[분류:경주 설씨(偰)]][[분류:고려 중흥공신]][[분류:조선의 관리]][[분류:조선으로 귀화한 인물]][[분류:위구르계 한국인]] [include(틀:고려 중흥공신)] ---- [include(틀:고려사)] ---- 偰長壽 (1341~1399) [목차] [clearfix] == 개요 == [[여말선초]]의 문관. [[위구르]] 출신 [[귀화]](歸化)인. == 생애 == 아버지는 백료손(伯遼遜)으로 본래 원나라 [[색목인]] 관료였다. 1359년[* 이 해 12월 고려는 1차 [[홍건적의 난]]을 겪었다.] 19세의 나이로 아버지를 따라 [[고려]]로 이주했다. 이후 [[원나라]] 볼모 시절 아버지와 친구였던 [[공민왕]]의 후원으로[* 공민왕은 설장수의 아버지 백료손과 친분이 깊어 백료손이 고려로 이주했을 때 땅과 집을 하사하며 부원군으로 삼았을 정도였다.] 1362년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시작으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등 밀직사와 문하부의 [[엘리트]] 코스를 밟으며 경력을 쌓았다. 이후 [[창왕]] 폐위와 [[공양왕]] 옹립 과정에서 재신(宰臣)인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서 [[태조(조선)|이성계]]와 함께 흥국사 9공신의 일원으로 참여했다. 1392년 [[조선]] 건국 후에는 [[정도전]] 일파와 대립하고 유배되면서 정치 주류에서 이탈하게 된다. 하지만 태조가 반드시 구제해야 하는 인물로 [[이색(고려)|이색]], [[우현보]]와 함께 지명하면서 그 외 30여 명과 함께 유배에서 해제되고 명예직인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을 받아 경력을 이어갈 수 있었다. 복귀 후에 실제로는 [[역관]] 담당 부서인 사역원제조(司譯院提調)로 근무하다 1396년 판삼사사(判三司事)가 되어 다시 재신이 되었다. [[설(성씨)|설씨]]의 글자 '설'은 가문이 대대로 설련하(偰輦河)[* 지금의 [[몽골]] 북서부와 [[러시아]] 부랴티야 공화국의 수도 울란우데를 흐르는 세렝게 강.]에 살았기 때문이고 관향은 조선 태조가 [[경주시|계림]]으로 정해줬다. 따라서 설장수의 부친 [[설손]]이 사성(賜姓) 경주 설(偰)씨의 시조가 된다. == 기타 == * 위구르인으로서 원나라에 살다 고려로 이주해 온 독특한 경력 때문에 [[중국어]], [[몽골어]], [[한국어]] 등 [[폴리글롯|3개 언어에 능통]]하였고 조선 초기 [[외국어]] 교육과 역관 제도화에 기여했다. 19세에 고려로 이주할 때부터 우리말을 대략 구사했고 문장과 언변이 뛰어난 것으로 유명했다. 탁월한 외국어 능력과 원나라 시절부터 집안 전체가 문장 능력으로 관료 생활을 해온 덕택에 주로 [[중국]]에 사신으로 파견되어 [[외교]] 방면에서 활약했다. * 저서로는 《직해소학》이 있다. 외교 수준에서 사용되는 문어체 중국어를 다룬 고급 역관 교육서이며 그동안 사용되어 온 평민의 일상 언어를 기반으로 한 중국어 교재의 대체재로 당대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 가족관계 == 5형제 중 장남이며 아버지는 설손(偰遜)으로 원래 이름은 백료손이었으나 고려로 이주하고 나서 개명했다. 어머니는 조씨이다. 동생으로는 [[태종(조선)|태종]] 대에 지의정부사(知議政府事), 참지의정부사(參知議政府事), 예조판서(禮曹判書)를 역임하며 육조직계제 개편안 실무를 담당한 설미수(偰眉壽)가 유명하다. 조카로는 [[세종(조선)|세종]] 대에 [[집현전]] 학사를 역임하며 동지중추원사(同知中樞院使)까지 오른 설순(偰循)이 있다. 설순은 설경수(偰慶壽)의 아들이다. == 대중매체 == * 1996년 [[KBS]] 드라마 <[[용의 눈물]]>에서는 배우 [[이신재]]가 연기했다. 외견상 [[혼혈인]]이라는 특징은 전혀 드러나지 않지만[* 실제 위구르 출신도 [[백인]]계 혼혈인으로서의 특징이 드러나지 않는 사람도 많다. 대표적인 위구르 배우인 [[구리나자]]나 [[디리러바]]만 봐도 분장에 따라 [[한족]]처럼 보일 때도 종종 있다.] 비중이 높은 배역이 아니므로 용납이 되는 수준. [[1차 왕자의 난|무인정사]]에서 [[조준(조선)|조준]], [[성석린]] 등과 살아남아 [[이방원(용의 눈물)|이방원]]의 밑에서 관직 생활을 이어가다가 개경 환도 직후 병사한다. * [[정도전(드라마)|정도전]]에서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러나 명나라에서 황제의 칙서를 받고 돌아오는 것으로 여러 차례 사신으로 다녀왔음이 언급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