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설만진}}}'''[br]'''薛萬鎭'''}}}}}} || || '''초명''' ||설인길(薛仁吉) || || '''본관''' ||[[순창 설씨]][* 옥천군파 62세 수(洙) 항렬. 족보명은 설증수(薛曾洙).] || ||<|2> '''출생''' ||[[1894년]] [[7월 27일]] || ||[[경상도]] [[밀양시|밀양도호부]] 부북면 가산리[br](현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 [[순창 설씨]] 집성촌이다.][[http://www.yesjokbo7.com/jokboroot/sajin/332/s1/1-22.html|#]] || || '''사망''' ||[[1933년]] [[11월 26일]] || || '''묘소''' ||[[경상남도]] [[밀양시]] [[교동(밀양)|교동]] 밀양독립운동기념관 위패 || || '''상훈''' ||대통령표창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2008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권잠술]]은 그의 매제(妹弟)로, 여동생 설만수(薛萬守)와 결혼하였다. == 생애 == 1894년 7월 27일 경상도 밀양도호부 부북면 가산리(현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가산리)에서 아버지 설경도(薛敬道, 1873. 2. 10 ~ 1922. 2. 18)[* 족보명 설진유(薛鎭裕).]와 어머니 [[김해 김씨]](1872. 6. 10 ~ 1927. 10. 23) 사이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경상남도 밀양군 부내면 남문내리(현 밀양시 내일동 남문안)로 이주하여 본적을 두었다. 그는 1919년 3월 11일 밀양면 [[내이동]]에 살던 [[윤세주]]의 권유를 받고 독립만세운동에 동참할 뜻을 표하고, 3월 13일 정오 밀양면 [[내일동]] 장터에서 윤세주와 [[윤치형]] 등의 주도 하에 독립만세운동이 전개되자, 그 날 오후 1시부터 독립만세를 외치며 시위에 가담하였다. 시위가 끝난 뒤 체포된 그는 1919년 4월 14일 부산지방법원 밀양지청에서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4개월형을 [[https://theme.archives.go.kr/next/indy/viewIndyDetail.do?archiveId=0001352292&evntId=0034989404&evntdowngbn=Y&indpnId=0000020576&actionType=det&flag=1&search_region=|선고받고]] 부산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같은 해 8월 14일 출옥하였으며, 이후에는 은거하다가 1933년 11월 26일 별세하였다. 2008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으며, 고향인 밀양시 교동 밀양독립운동기념관에 그를 기리는 위패가 세워졌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순창 설씨]][[분류:밀양시 출신 인물]][[분류:1894년 출생]][[분류:1933년 사망]][[분류:대통령표창(독립유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