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별궁과 궁가)]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31호 ||<|2> ← || '''32호''' ||<|2> → || 33호 || || [[석 비로자나불좌상]] || '''선희궁터''' || [[탕춘대성|홍지문 및 탕춘대성]]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2호}}}]]''' || ||<-2> {{{#fff {{{+1 '''선희궁터'''}}}[br]{{{-1 宣禧宮址}}}}}}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선희궁터,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 103 (신교동 1-1번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건축 / 건물지 || || '''{{{#fff 수량 / 면적}}}''' || 건물 1棟, 기단 및 계단 1基, 토지 695.2㎡ || || '''{{{#fff 지정연도}}}''' || [[1975년]] [[5월 10일]] || || '''{{{#fff 관리자(관리단체)}}}''' || 서울농아학교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옛 선희궁.jpg|width=100%]]}}} || || {{{#gold '''옛 선희궁 터에 위치한 본래의 선희궁 건물'''}}} || [목차] [clearfix] == 개요 == [[영조]]의 후궁이자 [[사도세자]]의 생모인 [[영빈 이씨|영빈 이씨(暎嬪 李氏)]]의 제향을 위해 건립된 제사궁(祭祀宮)이다. 본래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新橋洞)에 해당하는 한성부 북부 순화방(順化坊)에 있었으나 이후 인근 [[궁정동]]에 있는 [[칠궁]]으로 옮겨갔다. [[서울특별시]]에서 선희궁이 칠궁으로 옮겨가기 전에 위치했던 자리를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32호 '선희궁 터'로 지정했다. == 역사 == [[영빈 이씨]]가 졸서한 1764년(영조 40년)에 세워졌다.[* 『영조실록』 40년 11월 5일]. 처음에는 '의열궁(義烈宮)' 으로 불렀다가 1788년(정조 12년)에 '선희궁(宣禧宮)'으로 이름을 바꾸었다. 선희궁의 주 용도는 영빈 이씨의 제향을 지내는 것이었지만, 영빈방에 영빈방(暎賓房)에 속해 있는 궁장토와 재산을 관리하는 역할도 했다. 1896년(건양 원년)에는 [[숙종(조선)|숙종]]의 후궁인 [[숙빈 최씨]](淑嬪 崔氏)의 제사궁인 육상궁으로 위패를 옮겨 모셨다가 1897년([[광무]] 1년)에 선희궁에 다시 봉안했다. 그러다 1907년(융희 1년)에 [[궁내부]]에서 내수사(內需司)와 궁장토의 도장(導掌)을 폐하면서 선희궁 소속 토지도 제실 재산 관리국에서 관리하게 되었다. 1908년(융희 2년)에는 황실 제사궁을 정리하면서 육상궁으로 합사했고, 제사도 1년에 2번만 지내게 했다. 저때 서울 곳곳에 있던 다른 후궁들의 사당[* [[영조]]의 후궁이자 [[효장세자]]의 친어머니인 [[정빈 이씨|정빈 이씨(靖嬪 李氏)]]의 연호궁(延祜宮), 조선 선조의 후궁이며 추존왕 원종의 친어머니인 [[인빈 김씨|인빈 김씨(仁嬪 金氏)]]의 저경궁(儲慶宮), [[숙종(조선)|숙종]]의 [[후궁]]이자 [[경종(조선)|경종]]의 친어머니인 [[희빈 장씨|희빈 장씨(禧嬪 張氏)]]의 대빈궁(大賓宮), 정조의 후궁이자 순조의 생모인 [[수빈 박씨|수빈 박씨(綏嬪 朴氏)]]의 [[경우궁]](景祐宮). 1929년에는 고종의 후궁이자 영친왕의 친어머니인 [[순헌황귀비|순헌황귀비(純獻皇貴妃)]]의 덕안궁(德安宮)도 들어왔다.]도 육상궁으로 옮겨왔고 이를 칠궁이라 부른다. 그래서 현재는 [[서울특별시]] [[종로구]] [[궁정동]], [[청와대]] 옆의 [[칠궁]] 내에 있다. == 여담 == [[보은군|보은]] [[법주사]]에도 이 선희궁이 있다. 이 건물을 언제 지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영빈 이씨의 위패를 두다가 나중에 법주사의 큰스님들의 초상화를 모셔두는 조사각(祖師閣)으로 성격이 변했다. [[분류:조선의 별궁과 궁가]][[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