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포켓몬스터의 기술, rd1=판별)] || [[파일:송규렴 간찰-선찰.jpg|width=325]] || [목차] [[http://musenet.ggcf.kr/archives/artwork/%ec%84%a0%ec%b0%b0|출처 : 경기도박물관 공식 홈페이지]]. 1692년 10월 7일에 송규렴이 자신의 노비 긔튝에게 보낸 한글편지로 전토에서 나온 소출의 양을 제대로 보내지 않는 것을 꾸짖는 내용이다. 선찰 제9책에 수록되어 있다. == 개요 == {{{+1 [[先]][[札]]}}} [[조선]] 후기의 문신 제월당(霽月堂) 송규렴(宋奎濂, 1630~1709)을 중심으로 은진 송씨 가문 사람들이 주고받은 친필 [[간찰]]들을 모아 수록한 서간첩. 총 9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현재 용인시의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 내용 == 동춘당 [[송준길]]의 제자로 [[송시열]], 송준길과 함께 삼송(三宋)으로 일컬어지던 제월당 송규렴과 그 후손가에 전해내려오는 9책의 서간첩으로, 송규렴을 중심으로 가문 인물들 간에 주고받은 간찰들을 모아 엮은 것이다. 1책부터 8책까지는 1600년대 중반부터 약 30여년간 가문 인물들이 주고받은 친필 [[한문]]편지 수백여통을 수록하였고, 마지막 9책은 124통의 친필 한글편지들을 모아놓았다. 1책부터 8책까지 수록되어 있는 약 천여통에 달하는 한문 편지들은 송규렴이 자신의 아들 송상기(宋相琦), 송상유(宋相維)와 기타 조카, 손자 등에게 보낸 [[간찰]]들이며, 9책에 수록되어 있는 124통의 한글 편지들은 대부분 송규렴과 부인 안동김씨가 보낸 것들이다. 특히 9책에 수록된 124통의 친필 한글 편지들은 1600년대 중후기 우리나라의 유명 문인과 그 주변 인물들이 사용하던 한글 국어사 자료로서 큰 가치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와 비슷한 은진 송씨 문중의 서간첩으로 [[제월당 송규렴 간독첩]]이 있다. [[동춘당일기]], [[주식시의]], [[우음제방]] 등의 여러 문중 서적들과 함께 은진 송씨 종택에 수백여년간 전해내려온 문적으로, 2007년에 약 3000여점의 문중 유물들을 나라에 무상 기증할 때 이 9책의 서첩들 또한 기증되어 현재 경기도박물관에 소장되고 있다. == 외부 링크 ==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2458729&cid=46674&categoryId=46674|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선찰]] * [[http://www.happycampus.com/doc/11820295|논문 : 조선시대 한글 편지에 나타나는 문체 -은진송씨 언간집 <선찰>을 중심으로-]] *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1426492&dir_id=1&field=0&unFold=false&gk_adt=0&sort=0&qvt=1&query=%E5%85%88%E6%9C%AD&gk_qvt=0&citedSearch=false&page.page=1&ndsCategoryId=10111&library=111|논문 : 송규렴가 전적 『선찰』소재 언간에 대하여]] [[분류:간찰]][[분류:경기도박물관 소장품]][[분류:용인시의 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