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width=22]] '''[[조계종|{{{#000 대한불교조계종}}}]]''' || ||<-2> '''{{{+2 백양산 선암사}}}'''[br]白楊山 仙岩寺 | Seonamsa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571935_image2_1.jpg|width=100%]]}}} || || '''설립일''' ||675년 || || '''소속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8]] 대한민국]]''' || || '''주지 스님''' ||원타 || ||<|2> '''위치''' ||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선암사 부산, 높이=200px, 너비=100%)]}}} ||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백양산로 138]] ([[부암동(부산)|부암동]]) || || '''외부링크''' || [[http://www.sunamsa.or.kr/|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동(부산)|부암동]] [[백양산|백양산]]에 있는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14교구 본사 [[범어사]]의 말사이다. == 역사 == 675년(신라 문무왕 15년) [[원효|원효(元曉)]]가 창건하였다. 창건 당시에는 '''견강사(見江寺)'''라고 불렀으며, 절 뒷산 절벽 바위 위에서 화랑들이 무술을 닦으면서 절 이름을 '''선암사'''로 바꿨다고 한다. 일찍이 이 곳은 우리 조상들이 한마음으 로 공동체를 이루면서 기도를 드린 신성한 도량이었다. 1483년(조선 성종 14년) 각초(覺招)가 중창하면서 바꿨다고도 한다. 1568년(선조 1년) 신연(信衍), 1718년(숙종 44년) 선오(禪悟)가 각각 중수했고 1918년에는 동운(東雲)이, 1955년에는 혜수(慧修)가 중수한 바 있다. 1990년대 들어 불교교양대학과 원효합창단·불교봉사단 등을 세워 오늘에 이른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관음전·극락전·산신각·칠성각·원효각·명부전을 비롯하여 종각·종무소·요사채가 있다. 선암사기에 의하면 고려말 왜구들이 불상을 약탈해다가 절을 짓고 불공을 드렸는데 재앙이 잦아지면서 비명으로 목숨을 잃는 자가 많았다. 그래서 그 불상을 다시 배에 실어 응천으로 보내서(지금의 진해시 응천동) 성흥사에 모시고 공양을 올렸다. 이 일을 우연히 전해들은 동평현 사람 손성민이 경상도 관영에 아뢰고 몸소 스님과 함께 웅포의 성흥사(성덕사)로 가서 그 불상을 옛날과 같이 선암사 경내(현재의 극락전)에 모시게 되었는데 기도를 올리면 영험이 수승하다. 조선 성종 14년(1483년)에 각초선사가 중창하였고, 선조 원년(1568년)에는 신언스님이 중수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병화로 소실되었다. 이어 숙종대(1718년)에 선오스님이 중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으며, 근세 선지식으로 유명한 혜월선사, 석암스님이 주석하시면서 지금의 사격을 이루었다. == 볼 거리 == 대웅전을 중심으로 극락전, 관음전, 명부전, 조사전, 칠성각, 산신각, 요사채와 종각이 배치되어 있는 극락정토 도량이며 석축 위 동백나무가 매우 수려하다. 또한 최근에는 용왕단 불사를 하여 용왕님을 새롭게 모시고 있으며, 용왕전 폭포와 신선대의 절경은 가히 선암사 제일이라고 할 수 있다. 선암사 경내를 관통하고 흐르는 계곡에 돌다리의 자취가 극락교이며, 지금의 선암사 용왕단 뒤쪽으로 흐르는 조그마한 폭포가 선암폭포이다. 또한 선암폭포위로는 깎아지른 바위가 버티고 있는데 이것을 일러 신선암이라고 한다. == 문화재 == ||<-7> [[파일:대한불교조계종 상징.svg|width=28]] '''{{{#000 백양산 선암사 문화재 목록}}}''' || ||<:><-2>{{{#fff '''분류'''}}} ||<:>{{{#fff '''번호'''}}} ||<:>{{{#fff '''이름'''}}} ||<:>{{{#fff '''수량'''}}} ||<:>{{{#fff '''소재지'''}}} ||<:>{{{#fff '''비고'''}}} || ||<:><|3><-2>[[부산광역시의 문화재자료|부산광역시[br]문화재자료]] ||<:>27호 ||<:>선암사 괘불탱[br](仙岩寺 掛佛幀) ||<:>1폭 ||<|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백양산로|백양산로 138]] ([[부암동(부산)|부암동]]) ||<:> || ||<:> 53호 ||<:>선암사 삼층석탑[br](仙岩寺 三層石塔) ||<:>1기 ||<:> || ||<:> 37호 ||<:>선암사 청동북[br](仙岩寺 靑銅金鼓)[* 선암사 금고(仙巖寺 金鼓)로 지정되었다가 2014년 10월 1일 선암사 청동북으로 문화재 지정명칭이 변경되었다.] ||<:> 1기||<:> || ||<:><-2>[[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부산광역시[br]유형문화재]] ||<:> 95호 ||<:>선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br](仙岩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服藏遺物) ||<:>1구, 복장유물 ||<:> || == 교통 == === 도시철도 === 위치가 위치인지라 바로 연계되는 도시철도 노선은 당연히 없으며 그나마 가장 가까운 도시철도 역이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암역]]이다. 17번이나 23번, 141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현재 [[부산 4호선]]이 당감동으로 연장될 가능성도 있기에 기대해 볼 만 하다. 하지만 연장된다고 하더라도 버스로 환승해서 와야 할 가능성이 높다. === 버스 === * [[부산 버스 17]] * [[부산 버스 23]] * [[부산 버스 88]] * [[부산 버스 141]] * [[부산 버스 167]] * [[부산 버스 169]] * [[부산 버스 사상8]] == 같이보기 == * [[범어사]] * [[백양산]] [[분류:대한불교조계종 말사]][[분류:대한불교조계종 제14교구]][[분류:대한민국의 문화재자료]][[분류:부산광역시의 유형문화재]][[분류:부산광역시]][[분류:부산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