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고사성어|{{{#white 고사성어}}}]]''' || || {{{+5 '''善'''}}} || {{{+5 '''男'''}}} || {{{+5 '''善'''}}} || {{{+5 '''女'''}}} || || 착할 '''선''' || 사내 '''남''' || 착할 '''선''' || 여자 '''녀''' || 원래는 [[불교]] 용어였다. [[산스크리트어]]로 불교를 믿는 양갓집 평신도 청년 남성, 여성을 각각 뜻하는 꿀라뿌뜨라(kulaputra)와 꿀라두히뜨르(kuladuhitr)가 [[한문]]으로 훈역되면서 선남자(善男子)와 선녀인(善女人)이 되었고, 이를 네 글자로 줄여 현재의 형태가 되었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대체로 아래와 같은 맥락으로 사용된다. * 1. 불교에 귀의한 남자와 여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 2. 착하게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들. * 3. 곱게 단장한 (주로 젊고 아름다운) 남자와 여자. 3가지 용법 모두 대체로 '''제3자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보기 좋은 남녀'''를 뜻한다는 점이 동일하다. 단지 '보기 좋다'고 평가받는 이유가 각 용례마다 조금씩 다를 뿐이다. 특히 오늘날 젊은 층에서는 3의 맥락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연애]]와 관련된 맥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썸]]이라는 단어와 결합한 어형인 [[썸남썸녀]] 같은 관용구도 존재한다. [[분류:고사성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