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분류:승탑]][[분류:간송미술관 소장품]] ||<-5>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30&height=30]]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28호 ||<|2> ← || '''29호''' ||<|2> → || 30호 || || [[삼층석탑(간송미술관)|삼층석탑]] || '''석조팔각승탑''' || [[석불입상(간송미술관)|석불입상]] || ---- ||<-2>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28]]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ffffff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호}}}]]''' || ||<-2> {{{#fff {{{+1 '''석조팔각승탑'''}}}[br]{{{-1 石造八角僧塔}}}}}} || ||<-2>{{{#!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include(틀:지도, 장소=간송미술관, 너비=100%, 높이=100%)]}}}|| || '''{{{#fff 소재지}}}''' || [[서울특별시]] [[성북구]] [[성북로]] 102-11[br]([[간송미술관]]) || || '''{{{#fff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 '''{{{#fff 수량 / 면적}}}''' || 승탑 1基, 토지 2.8㎡ || || '''{{{#fff 지정연도}}}''' || [[1975년]] [[5월 10일]] || || '''{{{#fff 시대}}}''' || [[통일신라시대]] {{{-1 (추정)}}} / [[고려시대]] {{{-1 (추정)}}} || || '''{{{#fff 소유자[br](소유단체)}}}''' || [[간송미술관]] || || '''{{{#fff 관리자[br](관리단체)}}}''' || [[간송미술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석조팔각부도.jpg|width=100%]]}}} || || {{{#fff ''' 석조팔각승탑[* [[http://www.heritage.go.kr/heri/cul/imgHeritage.do?ccimId=1636111&ccbaKdcd=21&ccbaAsno=00290000&ccbaCtcd=11|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 || [목차] [clearfix] == 개요 == [[간송미술관]]에 있는 사리탑, 즉 [[승탑|승탑(부도)]]이다. 미술관의 설립자 [[전형필|전형필]]이 수집한 석조 문화재 중 하나이다. 1974년 5월 12일에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9호로 지정받았다. == 상세 == 이 탑에 모셨던 [[사리(불교)|사리]]의 주인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예전에는 [[통일신라시대]]에 만든 것으로 생각했는데, 현재는 [[고려시대]], 또는 [[나말여초]]기의 양식으로 추정하고 있다. 왜냐하면 기단부 하단 옆면에 새긴 앙련의 모양이 윤곽이 뚜렷한 [[연꽃|홀 연잎]] 8엽인 것과 옥개석 지붕이 두툼한 것은 고려시대 양식의 특징이고, 탑의 형태가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팔각원당형이기 때문이다.[*A [[https://ko.wikipedia.org/wiki/%EC%84%9D%EC%A1%B0%ED%8C%94%EA%B0%81%EC%8A%B9%ED%83%91|출처 - 위키백과: 《석조팔각승탑》 문서.]]] 재질은 [[화강암]]이며 하단에서 상단 방향으로 지대석, 기단, 탑신, 옥개석, 상륜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A] 지대석은 [[암석|돌]] 두 장이 붙어있으며 8각형이다. 상단 위에 각진 탑신 받침 한단을 두어 [[기단]]을 지탱하게 했다.[*A] 기단을 구성하는 돌은 상, 중, 하대석이다. 하대석은 지대석 각과 맞춰져있다. 옆면에 새긴 홑꽃잎 8엽의 잎맥끼리 중심선을 연결시켰고 그 끝에 귀꽃을 두드러지게 돌출시켰으나 지금은 거의 떨어져 나갔다. 하대석 윗 부분에는 각진 형태와 곡선으로 휜 형태로 된 받침 2단을 놓아 중대석을 지탱하게 했다. 중대석 역시 8각형이며 앞서 설명한 돌들과 달리 겉면에 [[장식]]도 없고 두툼한 모습이다. 상대석도 8각형인데 다른 돌들에 비해 비교적 조각이 얇다. 중대석과 맞닿는 하단 부분은 받침 형태이며 상단 부분에는 얇은 턱을 두어 하단과 구분지었다.[*A] 탑신 역시 8각형으로 기단 중대석처럼 장식이 없고 무거운 느낌을 주며 파손당한 부분이 있다.[*A] 옥개석 또한 8각형이며 전반적으로 납작한 모양이다. 처마끼리 만나는 부분과 처마 끄트머리가 올라간 각도가 완만하며, 낙수면끼리 만나는 모서리의 윤곽이 희미한 편이다. 저 모서리를 일컬어 '우동(隅棟)'이라 하는데 --먹는 [[우동]]말고-- 이 우동 끝마다 귀꽂이를 달았으나 지금 일부는 떨어져나갔다. 하단에는 옥개받침 2단이 있다.[*A] 상륜부에는 그릇을 거꾸로 뒤집어 놓은 듯한 둥근 머리 장식이 놓여있다.[* [[http://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21,00290000,11&pageNo=1_1_2_0|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석조팔각승탑》 문서.]]] [각주]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삼층석탑(간송미술관), version=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