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진서)] ||<-2> '''{{{+1 石崇[br]석숭}}}''' || || '''작위''' ||안양향후(安陽鄕侯) || || '''성''' ||석(石) || || '''이름''' ||숭(崇) || || '''자''' ||계륜(季倫) || || '''아명''' ||제노(齊奴) || || '''생몰''' ||249년 ~ 300년 || || '''출신''' ||제주(齊州) 발해군(渤海郡) 남피현(南皮縣) || || '''부친''' ||[[석포]](石苞)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진]](西晉)의 거부로 [[석포]]의 [[막내]][[아들]]. == 생애 == [[청주(중국)|청주]]에서 태어났고 어릴 때부터 영특하여 아버지 석포가 '[[재산]]을 물려주지 않아도 거부(巨富)가 될 운명'이라며 석숭에게는 단 한 푼도 물려주지 않았다. 20세에 수무령을 지내 유능하다는 평판을 받았으며, 조정에 들어가 산기랑을 역임하다가 성양[[태수]]로 전임하고 [[오(삼국시대)|손오]] 토벌의 공적으로 안양향후에 봉해졌다. 성양군의 직무가 있었지만 학문을 좋아해서 병을 이유로 관직을 떠났다가 얼마 지나지 않아 황문랑이 되었으며, 무제 [[사마염]]에게 중용되어 290년에는 시중·산기상시 등을 역임했고 1월 18일에 신하들에게 작위를 올리는 논공행상을 하자 산기시랑 [[하반]]과 함께 대를 이어 서진 계속될 것인데, 이런 제도를 시작하면 몇 세대가 지나 모든 사람이 작위를 받으리라고 하면서 반대하는 상소를 올렸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원강(元康)[* 혜제 때 쓰인 세 번째 [[연호]]로 291년부터 299년까지 쓰였다.] 초 남중랑장을 지냈고 이어서 [[형주]][[자사]]가 되어 [[가렴주구]]와 [[부정부패]]로 악명이 높았고 [[외국]][[사신]]이나 [[상인]] 습격, 상선 [[약탈]] 등 한 나라의 [[관리]]가 일개 [[산적#s-2]]이나 [[해적]]이나 할 짓을 저지르거나 [[아부]]와 [[뇌물]]로 무역로를 독점하여 많은 이익을 챙겼다.[* 이러한 범죄행위를 저지르고도 처벌당하지 않았던 것을 보면 서진이 얼마나 막장인지 알 만하다.] 이후 대사농에 초빙되었지만 초빙하는 서류가 도착하지 않자 마음대로 관직을 그만두었으며 얼마 지나지 않아 조정에 들어가 태복이 되었다가 정로장군·감서주제군사가 되었다. 석숭은 [[별장]]을 금곡(金谷)이라는 이름을 붙여 잔치를 벌였다가 [[서주]]자사 고연과 서로 업신여겨 싸운 일로 면직되었다가 위위에 임명되었으며, 291년 가밀과 곽창의 권세가 대단하자 가밀에게 아첨했고 가밀의 친구들인 24우 중 한 사람이 되었다. == 전설의 사치 대결 == 석숭은 이렇게 엄청난 재산을 모았으며 산기상시로 있었던 282년에 사마염의 [[외삼촌]]인 후장군 [[왕개]][* 사마염의 어머니 [[왕원희]]의 남동생이다. 아버지는 [[왕숙]], 할아버지는 [[왕랑]]이다.]와 벌인 사치대결이 유명하다. 왕개가 집안에서 그릇을 닦을 때 [[맥아당]][* 당시 정제된 물엿은 대단히 진귀한 재료였다.]으로 닦자, 석숭은 자기 집에서 밥을 할 때 [[짚]] 대신 [[밀랍]]을 땔감으로 썼다. 또 한번은 왕개가 자기 집문 앞 대로 양쪽으로 40리(약 16㎞)에 걸쳐 붉은색 [[비단]][* 자사포의 자는 현대에는 자주색을 생각하지만 전근대에는 주황빛이 약간 감도는 붉은색을 말했다.]으로 천막을 치자 석숭은 더 비싼 비단으로 50리(약 20㎞)를 쳤다. 또 왕개가 적석지(赤石脂)[* 알루미늄과 실리콘이 약 1:1로 존재하는 붉은 빛을 띠는 점토 광물질이다. 영문명은 레드 할로이사이트(Red Halloysite).]로 천막을 장식하면, 석숭은 무려 '''[[후추]]'''[* 당시에는 후추를 위시한 향신료가 무척 비쌌다.]를 듬뿍 뿌려 천막을 장식했고, 왕개가 외국에서 수입한 최고급 면포인 화완포(火浣布)[* 불로 세탁하는 천이라는데, 문제는 이게 [[석면]]일 가능성이 높다. 즉, 왕개는 자신의 명줄을 재촉한 셈이다. 실제로 석면은 문서에서 설명했듯이 광물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천 같은 성질을 지녀 서양에서는 '마법의 천'이라고 불린 일도 있었다.]로 옷을 지어 입고 이를 과시하자, 석숭은 자신의 하인 50명에게 화완포를 지어 입혀 쪽을 주었다고 한다. 또 왕개가 딱 한 번 출산 경험이 있는 절세 [[미녀]]들의 젖만을 먹여 기른 [[돼지고기]] 구이[* 그마저도 겨드랑이 살만 먹고 버렸다고 한다.]를 즐긴다고 하자, 이에 석숭은 비단 옷을 입히고 금싸라기와 제호탕[* 제호(醍醐)는 우유를 정제한 치즈 비슷한 유제품 혹은 우유에 전분을 넣고 끓인 죽을 말한다. 당시에는 우유를 얻을 목적으로 육종된 소가 없었고, 소가 생산하는 우유는 거의 대부분이 송아지 몫이었기 때문에 우유가 더럽게 귀했다.]만을 먹여 기른 [[닭고기]] 구이를 즐긴다고 응수했다. 이렇게 외삼촌인 왕개가 밀리자 황제인 사마염이 귀한 [[산호]]수를 하나 주었는데, 크기가 두 자[* 한 자의 실제 길이는 각 나라와 시대마다 다르지만 현재 한국에서 사용되는 자의 경우, 한 자는 약 30.3㎝이다.]나 되는 것이었다. 왕개가 석숭에게 이 산호수를 보여주며 과시하자, 석숭의 하인들은 이렇게 진귀한 보물은 처음 본다며 혀를 내둘렀는데, 석숭이 콧방귀를 뀌더니 손에 쥔 등긁개인 철여의(鐵如意)를 던져 산호수를 부숴 버렸다. 그러자 왕개가 "황제께서 친히 하사하신 산호수를 부수다니, 이게 무슨 짓이오!" 하며 격노하자, 석숭은 "걱정 마시오, 보상해주겠소. 내 지금 산호수를 가져올 테니, 마음에 드는 걸 가져 가시오." 라며 태연히 [[하인]]을 시켜 자기 산호수를 모두 가져오게 했다. 그중에는 세 자짜리가 예닐곱 개 있었으며 모두 왕개의 것보다 훨씬 아름다웠고, 왕개의 것과 같은 두 자짜리는 아주 많았다. 결국 왕개는 완패를 인정했다.[* 사실 정상적이었다면 감히 [[황제]]의 하사품을 깨뜨린 석숭과 그 일가의 목이 무사하지 못해야 하지만 그럭저럭 무사히 넘어갔다. 이는 초대 창업 군주인 사마염의 권력이 그렇게까지 강하지 못했다는 증거이며, 또한 조위 시대부터 이어진 명문가들의 기반이 그만큼 튼튼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구품관인법]] 참고.] 석숭은 [[노예|종]]들을 가혹하게 대했는데, 연회에서 기녀들이 노래를 못 부르거나 기녀가 권한 술을 손님이 안 마시면 그 자리에서 [[참수]]했다. 한 번은 뒷날 [[동진]]의 공신 [[왕도(동진)|왕도]]와 그의 사촌형 [[왕돈(동진)|왕돈]]이 연회에 참가했다. 왕도는 술을 잘 못함에도 기녀들을 위해 열심히 술을 마셨지만 왕돈은 [[주당]]임에도 일부러 술을 안 마시는 바람에 기녀 셋의 목이 달아났다. 그래서 보다 못한 왕도가 "술 좀 마셔, 형 때문에 [[사람 다 죽게 생겼다. 이놈들아!|기녀들 다 죽게 생겼어.]]" 라고 하자 왕돈은 "자기 집 기녀들 죽이는데 나랑 뭔 상관?" 이라 대답했다. 이때부터 왕돈의 [[막장#s-2]]인 인간성이 드러났다. 왕도는 서진 [[동진|동쪽으로 피난]]하고 난 뒤 공신 외에 [[충신]]과 명신으로 후세에 이름을 남겼지만 왕돈은 결국 반란을 일으키면서 공신 대신 [[역적]]으로 이름을 남겼다. 석숭은 [[화장실]]마저도 침실처럼 화려하게 꾸몄기에[* 이 시절 귀족 저택에 있던 화장실들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떠올리는 간이화장실만 한 푸세식 뒷간이 아닌, 오늘날 고급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우더룸]] 딸린 큰 화장실처럼 실내에 탈의 공간과 휴식 공간이 갖춰진 널찍한 휴게실에 가까웠다. 따라서 석숭이 자투리 방의 인테리어를 본관 거실 수준으로 화려하게 꾸며 놨다고 생각하면 된다.] 손님들은 석숭의 집 화장실을 침실로 착각해서 깜짝 놀라 황급히 돌아 나가려고 했다. 그의 집 화장실 바닥에는 최고급 [[양탄자]]가 쭉 깔려 있었으며, 천장에서부터 바닥까지 자색 비단 막을 늘어뜨려 놓았다. 또 향기가 나는 방향제를 비치한 것은 물론, 수십 명의 미녀들로 하여금 시중을 들게끔 항상 대기시켜 놓았다. 거기다 변기에도 오리털을 잔뜩 깔고, 볼일을 보는 동안 여러 명의 시녀들로 하여금 향수를 들고 있도록 시켰다.[* 보통 악취를 막기 위해 대추를 코 안에다 집어넣어 틀어막는 원시적인 방법을 쓰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또한 볼일이 끝나면 곧장 새 옷으로 갈아입곤 했다. 또 시녀를 시켜 손님들의 손을 씻겨주고 옷을 갈아입게 해 줬기 때문에 손님들은 부담스러워 이를 꺼렸고, 지방에서 온 관리들마저도 쩔쩔맸다고 한다. 하지만 역시나 우리의 왕돈은 이 서비스를 당당하게 받았는데[* 그런데 왕돈은 무식해서 코 막는데 쓰는 대추를 먹어버렸고, 손 씻는데 쓰는 물을 마셔버렸다고 한다.] 이에 시녀들은 왕돈이 엄청난 일을 할 거라고 말했다. 《[[세설신어]]》의 태치편에서 왕개와 돈지랄 경쟁하는 여러 가지 일화가 나온다. 석숭의 처첩은 100여 명이었고 하인만 800~1000여 명이었다고 한다. 오죽했으면 '''석숭의 그 부가 한 나라에 맞설 만하다'''라는 말까지 있다. 물론 위의 사치 일화는 신빙성이 좀 떨어진다. 진서 자체가 세실신어 같은 일화류를 짜집기한 경우가 많기 때문. 그냥 당시에 엄청난 사치를 부린 인물이었고 그것이 후대에 과장했다고 보는 게 더 가능성 있다. 인간성은 막장이어도 글은 잘 썼는지 금곡시서라는 것을 남겼는데 [[왕희지]]가 젊을 때 쓴 난정연집이 석숭의 금곡서문보다 뛰어나다는 말이 있다. [[진서]] 희지전에는 반악의 금곡시서가 석숭보다 뛰어났다고 나온다. 중국사 역대급 명필인 왕희지의 글과 비교할 정도면 그래도 상당한 수준이었다는 뜻이다. == 최후 == 이렇게 하늘 높은 줄 모르던 그의 부귀영화와 [[운명]]도 [[팔왕의 난]]에 접어들면서 종말을 맞았다. 조왕 [[사마륜]]의 심복 [[손수(서진)|손수]]는 석숭의 심복인 황문랑(黃門郞) 반악(潘岳)에게 소시적에 꾸지람을 들은 적이 있어서 원한을 품고 있었다.[* 꾸지람 정도가 아니라 아예 싸커킥을 '''여러 번''' 처맞았다. 거기다가 이때 반악은 손수의 상관도 아니고 상관의 아들…그냥 명백히 반악이 갑질한 거다.] 또 예전에 석숭이 아끼는 [[기생]] 녹주(綠珠)를 바라서 달라고 했지만 석숭에게 거절당했으며 석숭의 외사촌의 아들[* 즉, [[당질]]에 해당한다.]이었던 구양건(毆陽建)은 사마륜과 사이가 나빴기 때문에 손수는 석숭을 죽일 핑계를 찾았다. [[가남풍]]을 죽인 사마륜이 [[진혜제|혜제 사마충]]을 폐위시키며 황제가 되자 손수는 권세를 이용해 임의로 사람들을 살육했다. 이에 위위로 석숭은 반악과 함께 회남왕 [[사마윤]](司馬允)과 제왕 [[사마경]](司馬冏) 등과 연합해 사마륜을 제거하려 했다. 손수가 이를 알고 대군을 이끌고 금곡원(金谷園)을 포위하고 석숭·[[반악]]·구양건을 체포했다. 석숭은 '저 노복 놈이 내 재산에 눈독을 들인다'고 한탄했는데 체포하러 온 사람이 '재물이 화임을 알면 어찌하여 그것을 흩어버리지 않았냐'고 하자 대답하지 못하고 참살당했다. 참살 당시 나이는 51세. 이때 그의 삼족이 멸족당하면서 막대한 재산은 전부 몰수되었으며, 그가 참살당하기 전 녹주는 누각에서 몸을 던져 자결했다. 여기서 유래된 속담이 '석숭의 재물도 하루아침이다', '죽은 석숭보다는 산 [[돼지]]가 낫다'. [[정약용]]도 "석숭의 잔치 자리에 지금 뭐가 남아있냐?" 고 한 적이 있다. == 기타 == 비록 말로는 비참했지만 그는 [[중국]]은 물론 [[동아시아]] 지역에서 오랜 기간 동안 부자의 대명사처럼 여겨졌으며 중국에선 복(福), 녹(祿), 수(壽)의 삼선(三仙) 가운데 녹(祿)을 상징하는 인물로 숭앙되었다고 한다. 석숭을 언급한 후대의 인물로 [[북위|북위]]의 [[선무영황후 호씨|호태후]]가 있다. 호태후는 '나는 석숭의 사치 같은 것은 보기 싫다. 다만 석숭에게 내 사치를 못 보여줘 유감이다.' 라고 했을 정도로 사치스러웠다. 낙양가람기와 [[태평광기]]에 실린 [[북위]] [[종친]]의 [[돈지랄]] 썰에도 석숭이 언급된다. 장무무장왕(章武武莊王) 원융(元融)[* 481년에 태어나 526년에 훙서. [[탁발황|경목황제]]의 증손자, 남안혜왕(南安惠王) 정(楨)의 손자, 장무공왕(章武恭王) 빈(彬)의 아들]은 북위에서 재력으로는 [[6촌|재종형제]] 고양왕(高陽王) 원옹(元雍)[* [[헌문제]]의 아들, [[효문제]]의 아우]빼고 지 미만이라며 [[돈지랄]]에 [[부심(은어)|부심]]을 부렸다. 그러자 다른 [[6촌|재종형제]] 하간왕(河間王) 원침(元琛)[* [[문성제]]의 손자, 제군순왕(齊郡順王) 간(簡)의 아들]이 석숭과 [[왕개]]가 그랬듯이 [[돈지랄]] [[병림픽]]에서 이기려고 더욱 사치를 부리고 [[종친]]들을 잔치에 부르니 장무무장왕이 이걸 보고 기가 질렸다. 그러자 하간왕은 장무무장왕에게 "내가 석숭을 못 봄은 안 아쉽다만 석숭이 나를 못 보니 아쉽다." 고 [[부심(은어)|부심]]을 부리고 장무무장왕은 지보다 더 한 [[돈지랄]]에 [[열폭]]해서 부자(負玆)[* 본래 [[제후]]의 앓음을 뜻하나 나중에 [[종친]]의 앓음으로도 쓰였다.]하여 드러누웠다. 그래서 3종조부[* 할아버지의 [[8촌|3종형제]]] 강양무렬왕(江陽武烈王) 원계(元繼)[* [[도무제]]의 [[현손]], 양평왕(陽平王) 희(熙)의 [[증손]], 남평강왕(南平康王) 혼(渾)의 손자, 남평안왕(南平安王) 소(霄)의 아들]가 장무무장왕의 문안을 갔다가 자초지종을 듣고는 "그대는 회남의 원술 같이 되어 세상에 유비가 있는 것도 모를려고 하시오?" 라고 하였고, 장무무장왕의 병은 깨끗이 나았다고 한다. 장무무장왕과 하간왕은 모두 호태후에게 아첨하여 부귀영화를 누렸는데 모두 [[육진의 난]]에 훙서하였다. 석숭의 행동이 유래가 된 고사성어가 있다. 살기유주(殺妓侑酒)가 그것인데, 잔치를 열어서 손님한테 술을 권하는데 손님이 술을 받지 않으면 옆에 앉은 기생의 목을 쳤다는 것에서 유래한다. 지나치게 뭔가를 권하는 것을 지적하는 말인 듯? 또 하나는 금곡주수(金穀酒數)가 있는데, 금곡원에서 열린 잔치 도중에 시를 짓지 못하면 벌주를 마시게 했다는 것에서 유래했다. 또한 [[이문열 수호지]]에서 [[무송]]이 [[반금련]]을 죽일 당시 [[여태후]]의 연회에서 내리는 잔을 마다하면 그 자리에서 목이 달아났다는 표현이 있다. == 기타 창작물 ==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는 등장하지 않았다. 계속 등장했던 아버지가 있고 분명히 이 시대 인물인데도.[* [[촉한멸망전]]이 있었던 263년에 15세였다.] [[삼국지 13 PK]]에서는 재야 상인으로 백만장자가 된 다음 엔딩을 보면 사람들에게 재물신으로 추앙받아 먼 훗날까지 주인공을 기리는 축제가 열리는데 이는 석숭이 신선으로 대접받은 사례에서 따온 것으로 보인다. [각주] [[분류:서진의 인물]][[분류:249년 출생]][[분류:300년 사망]][[분류:창저우시(허베이성) 출신 인물]][[분류:중국의 살해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