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2 '''석바위시장역'''}}} || ||<-3>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30]] || || [[검단오류역|{{{#585858 {{{#!html
검단오류 방면
}}}}}}]][[시민공원역|시민공원]][br]← 1.0 km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html
인천 2호선
(I220)
}}}}}}]] || [[운연역|{{{#585858 {{{#!html
운연 방면
}}}}}}]][[인천시청역|인천시청]][br]0.7 ㎞ → || ||<-3> [include(틀:지도, 장소=석바위시장역, 너비=100%, 높이=225px)] || ||<-3> '''다른 문자 표기''' || || [[로마자]] ||<-2> Seokbawi Market || || [[한자]] ||<-2> 石바위市場 || || [[간체자]] ||<-2> 石岩市场 || || [[가나(문자)|가나]] ||<-2> ソッパウィ[ruby(市場, ruby=シジャン)] || ||<-3> '''주소''' || ||<-3>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구월로 19 ([[주안동]]) || ||<-3> '''운영 기관'''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인천 2호선}}}]] ||<-2> [[인천교통공사|[[파일:인천교통공사 CI.svg|width=110&theme=light]][[파일:인천교통공사 CI 다크모드.svg|width=110&theme=dark]]]] || ||<-3> '''개업일'''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ffffff 인천 2호선}}}]] ||<-2> 2016년 7월 30일 || ||<-3> '''역사 구조''' || ||<-3> 지하 3층 || ||<-3> '''승강장 구조''' || ||<-3>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상단 역명란은 정보만을 전달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절대 개드립을 적지 마세요. (https://namu.wiki/thread/ThePlacidAndSincereDirection) [목차] [clearfix] == 개요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220번.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구월로 19 ([[주안동]] 1597) 소재. [[인천교통공사]]가 운영. [* 건설은 [[현대건설]]에서 했다. [[시민공원역]]포함.(로드뷰로 2015년쯤으로 가보면 알 수 있다.] == 역 정보 == || [[파일:O5zyfv9.jpg|width=100%]]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석바위시장역 [[조감도]] || '석바위'라는 이름은 인근에 바위산이 있다는 뜻에서 나왔다. 이 바위산의 유래는 주안도서관 뒤에 있는 현재의 석바위공원인 석암산이 그것이다. 이후에는 이 석바위 주변까지 석바위라 부르면서 대표지명이 되었다. 이후에도 '석바위시장'이나, 석바위 이름을 한자로 바꾼 '석암'이라는 이름이 주안동 일부에 곳곳에 남아있다. 초기에는 석바위역이었으나 뜬금 영어역명을 확정하면서 석바위시장역으로 바꾸었다.[* [[http://imrt2.hiconst.com/sub04_01.html|인천도시철도 2호선 공지사항]]][* 아마 이름이 비슷한 [[선바위역]]과의 혼동 우려때문인 듯하다.] 첫차는 [[검단오류역|검단오류]] 방면 05시 31분 / [[운연역|운연]] 방면 05시 41분이며, 막차는 검단오류 방면 24시 25분 / 운연 방면 24시 47분이다. 지하역으로 3층 구조이다. 지상 1층에서 대합실인 지하 1층을 지나 지하 3층에 승강장이 마련되어 있다. 석바위[[지하상가]]와 연결 통로로 연결되어 있으며, 0.5층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지하상가로 올라가는 방면에는 에스컬레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화장실 또한 연결 통로에 마련된 대합실에 존재한다.[* 원래는 연결 통로 자리에 화장실이 있었으나, 연결 통로 공사를 위해 이 화장실을 철거한 후 2호선 개통 시기에 맞춰서 신축했다.] 인천시청역 방면으로 회차선이 설치되어 있다. == 역 주변 정보 == 좀 거리는 있지만 지하상가를 통해 석바위시장으로 갈 수 있으며, 근처에 석암산과 석바위공원, 석암초등학교, [[인천고등학교]], 주안4구역[* 롯데건설•포스코건설 컨소시엄 / 주안 캐슬&더샵 에듀포레], 주안10구역(DLE&C) 주택 [[재개발]]지구, [[인천가정법원]], 수도사, [[인천광역시교육청주안도서관]], 주안4동 동사무소 등이 있다. 이 역의 서쪽에 석바위지하상가가 위치해 있고 연결 통로로 출구가 연결되어 있다. 상단 지도 참고. 이 역의 북쪽으로는 [[주안 더 월드 스테이트]]라는 대단지 아파트가 자리잡고 있어 상당수의 이용객이 주거하고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인천 도시철도 2호선|[[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6년 || 6,297명 || [* 개통일인 7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15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7년 || 7,830명 || || || 2018년 || 8,610명 || || || 2019년 || {{{#f5a251 8,824명}}} || || || 2020년 || 6,015명 || || || 2021년 || 6,232명 || || || 2022년 || 6,92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www.ictr.or.kr/main/board/data.jsp|인천교통공사 자료실]] || }}} 하루 평균 이용객은 7,830명으로 인천 2호선 평균을 살짝 넘는 수준이다. 석바위라는 지역은 인천에서 꽤 인지도가 높은 곳으로써 인천 구도심에서 [[부평구]], [[남동구]], [[연수구]]로 경로가 갈라지는 교통의 요지이다. 이 때문에 예로부터 유동인구가 많았던 덕분에 전통시장 등의 소규모 상권이 형성되어, 상권/교통 모두 기반이 있는 곳이다. 그렇기에 석바위역은 인천 2호선 개통 전에 수요가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 역 중 하나였으나 실제로는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그 이유는 역의 위치가 지하상가 때문에 교차로의 동쪽에 치우쳐졌기 때문이다. 이름의 유래가 된 석바위시장은 교차로 동북쪽에 형성되어 있고, 그 외 상권도 대체로 교차로 서북쪽에 밀집되어 있다. 게다가 이 역에서 한 정거장만 더 가면 [[인천 1호선]]과의 [[환승역]]인 [[인천시청역]]이 나오기 때문에, 교차로의 동쪽은 인천시청역 역세권에 포함되는 곳임에도 이 역은 교차로 동쪽에만 출입구가 있다. 석바위시장과도, 기타 상권과도 출입구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이 상권에서 열차를 타려면 횡단보도를 한 번 이상 건너가야 하는 단점이 있다. ~~사실 지하상가가 역과 연결되어 있어서 굳이 건널 필요는 없다~~ ~~거리가 멀어서 그렇지~~ 중심 상권이 있는 교차로 한복판을 놔두고, 굳이 인천시청역과 역세권이 겹치는 위치에 역을 세우는 바람에 훨씬 많은 수요를 낼 수 있었음에도 스스로 제약을 만든 꼴이 된 것이다. 애당초 건설할 당시에 교차로 쪽으로 위치를 조정해서 만들었다면 이 역의 승하차 인원은 지금의 2배 가까이 낼 수도 있었을 것이고, 현재의 이용객들도 복잡한 교차로를 건널 필요 없이 편리하게 열차를 탈 수 있었을 테니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단 교차로에는 석바위 [[지하상가]]가 역이 생기기 훨씬 전부터 자리잡고 있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만약 교차로 위치에 역을 지었더라면 지하상가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좀 더 깊은 심도로 역을 지었을테고, 이랬다면 [[대구 도시철도 2호선]]처럼 '''너무 지하 깊이 지어서 접근성이 떨어진다는''' 새로운 단점이 생겼을 수도 있다. ~~사실 석바위시장역 아래부터 석천사거리역까지 지형을 보면 상당히 언덕같은 지형이어서 깊게 팔 수밖에 없었다. 1호선 인천시청역도 지하 5층 수준의 깊이라는 걸 감안하면...~~] 다만 주안도서관을 이용하는 사람이라면 2번 출구[* 정확히는 2번 출구 쪽에 있는 엘리베이터 및 석바위 지하도상가 12번 출구가 골목길로 들어가는 곳과 가까우므로 석바위시장역 2번 출구 계단보다는 엘리베이터나 석바위 지하도상가 12번 출구를 이용하는 게 더 나으며 특히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게 가장 편리하다.]로 나온 후 골목길을 통해 주안도서관으로 갈 수 있어서 이들의 입장에선 편리할지도 모른다. 주안도서관 바로 앞에서 정차하는 [[인천 버스 55|55번 버스]]의 배차간격이 워낙 긴데(평일은 19~22분, 토요일은 21~26분, 일요일을 포함한 공휴일은 25~30분) 석바위시장역에서 주안역까지의 거리가 충분히 걸어서 갈 수 있는 정도라서 인천 2호선이 나름대로 55번 버스의 대체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55번 버스를 아깝게 놓친 이들은 인천 2호선을 타고 석바위시장역에서 내려서 주안도서관에 갈 수도 있다.[* [[인명여자고등학교]] 정류장에서 놓쳤을 경우에는 [[인천터미널역]]으로 가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계양역|계양행]] 또는 [[박촌역|박촌행]] 열차를 타고 [[인천시청역]]에서 인천 2호선 [[검단오류역]] 방면으로 갈아타면 되며, [[시민공원역]] 정류장이나 교보생명 정류장 내지는 [[주안역]] 정류장에서 놓쳤을 경우 시민공원역 정류장이나 교보생명 정류장에서는 시민공원역으로, 주안역 정류장에서는 주안역으로 가서 인천 2호선 [[운연역|운연행]] 열차를 타면 된다.] 또한 1번 출구 앞으로는 힐스테이트 인천시청역[* 백운1구역 재개발. 다만 단지 이름에 [[인천시청역]]이 들어간 것과 달리 실제 거리는 [[석바위시장역]]과 훨씬 가깝다. 아무래도 인천시청역이 [[환승역]]이라는 프리미엄이 붙었기 때문에 환승역의 이름을 붙인 듯.]이 공사중이며, 2번 출구로 나가면 주안도서관 바로 맞은편에 대규모 아파트 단지 [[주안 캐슬&더샵 에듀포레]]가 새로 건설되었고, [[더샵 아르테]] 등 다른 재개발 구역도 공사가 완료되어 입주가 시작되면 수요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코로나로 수요가 대폭락한 2020년부터는 이용객이 6천명대 초반에 머물렀다가, 에듀포레의 입주가 시작된 2022년부터 다시 크게 상승 중이기 때문에 더샵 아르테까지 입주가 시작되면 수요가 더 늘어날 가능성은 충분하다. == 승강장 == || [[파일:석바위시장역.jpg|width=500]] ||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승강장 || || [[파일:석바위시장역이용안내도.png|width=500]] || || 역이용안내도 || ||<-4> [[시민공원역|시민공원]] ↑ || || {{{#ffffff 하}}} || ㅣ || ㅣ || {{{#ffffff 상}}} || ||<-4> ↓ [[인천시청역|인천시청]] || || {{{#ffffff 상}}} ||<|2> [[파일:Incheonmetro2_icon.svg|width=17]]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주안역|주안]]·[[석남역|석남]]·[[검암역|검암]]·[[검단오류역|검단오류]] 방면|| || {{{#ffffff 하}}} ||[[만수역|만수]]·[[남동구청역|남동구청]]·[[인천대공원역|인천대공원]]·[[운연역|운연]] 방면|| 석바위시장역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으로 운영하고 있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 여담 == * [[2017년]] [[1월 31일]], [[청소년|10대]] 후반으로 추정되는 무리 4명이 [[인천 지하철 2호선]] 석바위시장역을 출발하고 있던 열차 내부의 비상정지 버튼을 장난으로 눌러 급정거시켰다.[* 이 학생들은 당시 [[인제고등학교(인천)|인제고등학교]] 재학생이었다고 한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9005094|관련기사]]''' 인천교통공사는 10대 4명을 검거해 달라고 경찰에 수사 의뢰했고, 또한 이들을 대상으로 열차 지연에 따른 손해배상을 청구할 계획이다.[* 철도안전법 제48조 제10호 위반, 철도안전법 제81조 제10호에 따라서 1천만원의 과태료를 부과하는 처벌을 받는다.] == 연계 버스 == * 1번 출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1 {{{#373a3c,#dddddd '''석바위시장역(37374)'''}}}}}} || ||<-2> '''석바위/석바위시장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8|{{{#ffffff 8(인천대학교공과대학)}}}]]}}}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33|{{{#ffffff 33(인하대병원)}}}]]}}} || || [[지선버스(인천)|{{{#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em" [[인천 버스 540|{{{#fff 540(540번종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em" [[인천 버스 566|{{{#fff 566(우아미가구)}}}]]}}} || * 2번 출구 ||<-2> {{{+1 {{{#373a3c,#dddddd '''석바위시장역(37373)'''}}}}}} || ||<-2> '''인천교회 방면''' || || [[간선버스|{{{#ffffff 간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8|{{{#ffffff 8(송내역남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8|{{{#ffffff 8A(송내역남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66cc; font-size: .95em" [[인천 버스 33|{{{#ffffff 33(장수공영차고지)}}}]]}}} || || [[지선버스(인천)|{{{#ffffff 지선}}}]] ||{{{+1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em" [[인천 버스 540|{{{#fff 540(남동중학교)}}}]]}}}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5bb025; font-size: .9em" [[인천 버스 566|{{{#fff 566(시청광장입구)}}}]]}}} || }}} [각주] == 둘러보기 == [include(틀: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역 목록)] [[분류:2016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인천 도시철도 2호선]][[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분류:인천광역시의 지하철역]][[분류:미추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