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敍]][[勳]]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훈장(상훈))]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국가유공자)] 명예칭호(title of honor)를 부여하는 것이다. 서구권에서는 주로 기사단(order)과 결합한다. 소련이 붕괴한 이후에는 러시아에서도 구 러시아 제국 시절의 기사단을 군주국의 색채를 지우고 재활용하고 있다. === 한국 === ==== 고려 ==== 훈관(勳官)과 공신호를 병용했다. 공신호에 관해서는 [[공신]]을 참고. 고려에서 사용했던 훈관의 칭호로는 상주국(上柱國), 주국(柱國), 상호군(上護軍), 호군(護軍), 상경거도위(上輕車都尉), 경거도위(輕車都尉), 상기도위(上騎都尉), 기도위(騎都尉), 효기위(驍騎尉)가 있다.[* 이상은 고려시대 史料 Database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제도의 원류인 당·송에는 이 밑에 비기위(飛騎尉), 운기위(雲騎尉), 무기위(武騎尉)가 있었다. 고려에서도 이들을 썼는지는 확인이 필요하다.] ==== 조선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공신, 문단=1.2)] === 기사단(order) === 각 기사단은 명목상으로는 군부대에 해당하므로, 그 단원은 명목상으로는 현역에 해당한다. 따라서 각 기사단별로 제복과 계급이 규정되며, 각 기사단의 각 계급별로 규정된 계급장[* 이것이 바로 훈장이고 셀프훈장이 생기는 이유이다.]과 녹봉[* 이것이 바로 대한제국 때 훈장연금을 규정한 이유다.]이 수여된다. ==== 덴마크 ==== || 명칭 || 계급과 정원 || 비고 || || 코끼리 기사단 Elefantordenen ||기사(riddere) 50인[* 30인에서 50인으로 확대되었다. 단, 덴마크의 왕족과 외국인은 정원 외이다.]||덴마크의 대훈위에 상당 || || 단네브로[* 덴마크의 국기 이름이다.] 기사단 ||단네브로 대십자사령관(Storkommandør) 대십자(Storkors) 단네브로 1등급 사령관(Kommandør af 1. grad af Dannebrog) 단네브로 사령관(Kommandør af Dannebrog) 단네브로 1등급 기사(Ridder af 1. grad af Dannebrog) 단네브로 기사(Ridder af Dannebrog)|| || ==== 스웨덴 ==== || 명칭 || 계급과 정원 || 비고 || || 왕립 치천사 기사단 Kungliga Serafimerorden ||기사||스웨덴의 왕족과 외국의 국가원수 및 이에 준하는 자에 한한다.|| || 왕립 검 기사단 Kungliga Svärdsorden || || || || 왕립 북극성 기사단 Kungliga Nordstjärneorden || || || || 왕립 바사 기사단 Kungliga Vasaorden || || || || 왕립 칼 13세 기사단 Kungliga Carl XIII:s orden || || || ==== 영국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훈장(상훈)/영국)]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영전, version=49)] == 인물 == === [[고대]] [[중국]] [[후한]] 말의 인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훈(후한))] === [[徐]][[勳]]: [[정치인]] === [[서훈(1942)]] 참고. === [[문재인 정부]] 제34대 국가정보원장이자 제4대 국가안보실장 === [[서훈(1954)]] 참고. [[분류:동명이인]][[분류:동음이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