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남동구의 법정동)] ||<-2> '''[[남동구|{{{#000000,#dddddd 남동구}}}]]의 [[법정동|{{{#000000,#dddddd 법정동}}}]]'''[br]'''{{{+1 서창동}}}'''[br]西昌洞 | Seoch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동구 서창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동구 || || '''행정표준코드''' || 2820010500 || || '''관할 행정동''' || 장수서창동, 서창2동 || || '''면적''' || 4.05㎢ || [목차] [[파일:namdong.gif|width=320]] [[파일:20181212_133944.png|width=320]] [[파일:서창2동.jpg|width=320]] == 개요 == [[인천광역시]] [[남동구]] 동쪽에 위치한 [[법정동]]. 서쪽으로는 [[만수동]], 동쪽으로는 [[운연동]], 남쪽으로는 [[논현동(남동구)|논현동]], 북쪽으로는 [[장수동(남동구)|장수동]]에 접해 있다. 남동구의 근교지역이다. 명칭 유래는 [[세금]]으로 [[농산물]] 내는 농지세를 보관하던 [[창고]]에서 번창하는 동네로 바뀌었다. [[https://www.namdong.go.kr/dong/sub/history.jsp?dong=jangsuseochang|#]] == 교통 == ||<-2> [[파일:남동구 CI.svg|height=15]] {{{#81c3dd 서창동의 대중교통}}} || ||<#ff0000> [[광역버스(인천)|{{{#FFFFFF 광역버스}}}]] || [[광역급행버스 M6439|M6439]]ㆍ[[인천 버스 1302|1302]]ㆍ[[인천 버스 9100|9100]] || || [[직행좌석버스(경기도)|{{{#FFFFFF 직행좌석}}}]] || [[광명 버스 3002|3002]] || ||<#6e2db9> [[급행버스(인천)|{{{#FFFFFF 급행버스}}}]] || [[인천 버스 급행99|급행99]] || ||<#3d5bab> [[간선버스(인천)|{{{#FFFFFF 간선버스}}}]] || [[인천 버스 5|5]]ㆍ[[인천 버스 6|6]]ㆍ[[인천 버스 6-1|6-1]]ㆍ[[인천 버스 14-1|14-1]]ㆍ[[인천 버스 15|15]]ㆍ[[인천 버스 21|21]]ㆍ[[인천 버스 33|33]]ㆍ[[인천 버스 38|38]]ㆍ[[인천 버스 47|47]]ㆍ[[인천 버스 62|62]] || ||<#5bb025> [[지선버스(인천)|{{{#FFFFFF 지선버스}}}]] || [[인천 버스 532|532]]ㆍ[[인천 버스 535|535]]ㆍ[[인천 버스 순환54|순환54]]ㆍ[[인천 버스 순환56|순환56]] || [[영동고속도로]]와 [[제2경인고속도로]]의 분기점인 [[서창JC|서창분기점]]이 있는 동이다. 90년대 후반 계획된 주거지구인만큼 도로가 잘 닦여져 있기에 도로교통은 좋은 편이다. 자차를 이용하는 경우라면 인천 내 최상 입지라고 할 수 있다.[* 고속도로에 관해서라면... [[무네미로]] 항목 참고.] 남동구의 최외곽지역이기에 버스가 많이 다니는 편은 아니지만 [[2014년]]부터 본격적으로 시공이 완료되는 서창2보금자리주택지구의 입주가 시작되면 교통편이 더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현재 2024년이 되어가는 시점으로 서창2지구의 입주가 이미 모두 끝났으나 여전히 '''8년이 넘었음에도''' 교통이 많이 늘어나지 않는다. 오히려 2021년 1월 개편 이후로 더 늦는 경우가 많다. 버스를 놓쳤다면 택시를 강제로 타야하는 경우도 많다.] 지하철역은 없지만 바로 옆 운연동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운연역|운연('''서창''')역]]이 위치하고 있다. [[2018년]] 9월 기준으로 서창1지구에서 운연역 가는 도로가 공사되어서 가기 편해졌다. 서창자이아파트, 꿈에그린 등에서는 도보로 10~15분 정도면 갈 수 있을 정도.[* 다만 서창2지구 중 더포레스트아파트, 서창퍼스트뷰, 에코에비뉴 등 운연역과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 '''걸어서 30~40분 정도 걸린다.'''] 제2경인선을 만들 때, 운연역을 환승역으로 하거나 인천2호선을 운연역에서 서창동으로 연장하여 서창역을 만든다면 이용 고객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차라리 [[남부순환선]], [[인천 대순환선]]([[인천3호선]])을 추진하여 인천대공원-운연-서창-논현-송도로 이어지는 구간을 연결하는 것도 좋아보인다. 또한 [[서해선]]과의 연계도 좋아보인다.(신천동과 거리상으론 엄청 가깝기 때문)[* 그러나 2024년이 되어가는 현재도 착공 시행 가능성이 어려워보인다. 개통이 된다 해도 2028년~2030년 혹은 그 이후에 가능성이 높다.] 지도를 보면 인천이 면적이 넓어, 1호선, 7호선, 인천1호선, 인천2호선, 수인선 등이 지나지만 철도 소외 지역이 엄청 많다. 인천 내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것이 필요해보인다. [[2019년]] 12월 서창2지구 - [[신천IC]]간 연결도로가 개통할 예정이다. 실제로는 조금 지연되어 2020년 12월 29일에 개통되었다. [[2019년]] 10월 23일 국토교통부 광역버스 [[광역급행버스 M6439|M6439]]이 [[인천터미널]]에서 서창도서관 - 서창센트럴푸르지오 - 센타빌딩 - LH7단지후문 - 서초자이아파트 - 서초동삼성아파트 - [[서초역]] - [[교대역(서울)|교대역]] - [[강남역]] - [[역삼역]]으로 운행을 시작했다. 이 노선이 운행을 시작하면 서울 강남권 이동이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보이나 2021년 3월 기준 60분에 육박하는 배차간격으로 이용 승객이 많이 보이지 않는다.[* 22년도 11월 기준으로 평일 90분, 주말 및 공휴일 120분이다.] [[2019년]] 7월 5일 [[제2경인선]]의 예비타당성조사 착수사업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향후 2024년 착공 2029년 상반기 개통을 목표로 진행하고 있다. 2020년 현재, 계획을 보면 서창동과 관련된 노선으로는 제2경인선, 인천2호선 독산 연장, [[인천2호선]] 논현 연장이 있다. 인천2호선 독산 연장은 인천대공원에서 독산까지 연장으로 인천대공원역이 운연역 다음이므로 수혜지역이 될 것으로 보이나, 인천대공원역에서 바로 신천역으로 가는 루트가 본선이 되고, 현 운연역 노선은 지선이 될 가능성이 크다보니 만일 독산역 방면으로 연장된다면 서창동 교통의 개선은 커녕 있던 운연역도 거의 버려지는 꼴이 된다. 반면 [[인천2호선/연장|논현 연장]]은 남동구청에서 서창을 거쳐 논현까지 연장되는 노선으로 이 역시 서창동 교통을 크게 개선시키는 요인이 될 듯하다. 2021년 6월 29일 [[제2경인선]]이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에 확정되었으며, 7월 5일 확정고시되었다.(국토교통부고시 제2021-936호) == 관할 행정동 == === 장수서창동 === ||<-2> '''[[남동구|{{{#000000,#dddddd 남동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장수서창동}}}'''[br]長壽西昌洞 | Jangsuseochang-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동구 장수서창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530034 || || '''관할 법정동''' || 장수동, 서창동, 운연동 || || '''하위 행정구역''' || 32통 121반 || || '''면적''' || 11.41㎢ || || '''인구''' || 19,157명[*A 2023년 7월 주민등록인구] || || '''인구밀도''' || 1,678.97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남동구 을'''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윤관석]] ,,(3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민수(1959)|한민수]] ,,(초선),, || ||<-2> '''남동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광희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유경(1979)|이유경]]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전유형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독곡로 28 (서창동 558-2) || || [[https://www.namdong.go.kr/dong/?dong=jangsuseochang|장수서창동 행정복지센터]] || [[2000년대]] 본격적으로 개발이 시작된 동이다. 본래 아무것도 없는 허허벌판이였지만 [[1990년대]] 후반 서창(구획정리)지구로 선정되어[* [[http://www.namdong.go.kr/bbs/bbsMsgFileDown.do?bcd=file&msg_seq=33&fileno=1|결정조서]], [[http://www.namdong.go.kr/bbs/bbsMsgFileDown.do?bcd=file&msg_seq=33&fileno=2|결정도면]]] 95년 태평아파트 1단지가, 97년 태평아파트 2단지와 몇몇 빌라들이 1차로 지어졌다. 태평아파트만 덩그러니 있던 시절에는 건설현장이라 벌판만 가득했고, 학교도 없어서 2004년 서창동의 첫 초등학교인 서창초등학교가 건립될 때까지 만수6동의 남동초등학교로 통학하는 신세였다. 이후 2000년대 본격적으로 현대모닝사이드, 임광그대가, 서해그랑블, 서창자이 등의 아파트들이 차례대로 들어서면서 주거지구가 형성됐고, 그전과 다른 깔끔한 환경이 형성됐다. 이후 서창동 남쪽에 서창2보금자리주택지구 개발이 시작됐다. 서창[[지구대]] 및 장수서창동 [[행정복지센터]], 서창[[도서관]]이 있다. [[2020년]] 7월 현재 장수서창동 인구는 20,770명으로 남동구 내에서 남촌도림동 인구와 비슷하다. [clearfix] === 서창2동 === ||<-2> '''[[남동구|{{{#000000,#dddddd 남동구}}}]]의 [[행정동|{{{#000000,#dddddd 행정동}}}]]'''[br]'''{{{+1 서창2동}}}'''[br]西昌二洞 | Seochang 2(i)-dong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남동구 서창2동, 너비=100%, 높이=100%)]}}} || || '''광역자치단체''' || 인천광역시 || || '''기초자치단체''' || 남동구 || || '''행정표준코드''' || 3530194 || || '''관할 법정동''' || 서창동 || || '''하위 행정구역''' || 53통 183반 || || '''면적''' || 2.46㎢ || || '''인구''' || 38,435명[*A] || || '''인구밀도''' || 15,623.98명/㎢ || || '''정치''' ||<^|1>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2> '''국회의원 | 남동구 을''' || || [include(틀:무소속/행정구역)] || [[윤관석]] ,,(3선),, || ||<-2> '''인천광역시의원 | 제5선거구'''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한민수 ,,(초선),, || ||<-2> '''남동구의원 | 마 선거구'''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유광희 ,,(재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이유경 ,,(3선),, || || [include(틀:국민의힘/행정구역)] || 전유형 ,,(재선),, ||}}}}}}}}} || ||<|2> [[행정복지센터|{{{#ffffff '''행정복지센터'''}}}]] || 서창남순환로 43 (서창동 683) || || [[https://www.namdong.go.kr/dong/?dong=seochang2|서창2동 행정복지센터]] || [[2018년]] 서창동 남쪽에 서창2보금자리주택지구(서창2공공주택지구)[* [[http://www.namdong.go.kr/bbs/bbsMsgFileDown.do?bcd=file&msg_seq=34&fileno=1|결정조서]], [[http://www.namdong.go.kr/bbs/bbsMsgFileDown.do?bcd=file&msg_seq=34&fileno=2|결정도면]]]가 서창2동으로 분동 되었다. 서창LH1, 6, 7, 8, 11, 12, 14, 15단지와 청광플러스원, 서창센트럴푸르지오, e-편한세상서창, 호반베르디움, 더 포레스트, LH청아안, 서창꿈에그린, 2지구 내 단독택지가 서창2동으로 편입되었다. 후에 6, 7, 8, 11단지는 각각 에코에비뉴, 서창퍼스트뷰, 서창센트라스, 서창베라체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12년]]에 LH11 서창베라체, LH7 서창퍼스트뷰가 입주하였다. [[2012년]] 5월에 한빛초등학교가 서창2지구 LH6단지 앞에 개교하였다. [[2014년]]에 LH8 서창센트라스, LH6 에코에비뉴가 입주하였다. [[2015년]] 3월에 [[만수동]]에 있던 [[만월중학교]]가 서창2지구 e-편한세상 앞으로 이전했다. [[2015년]] 9월에 장서초등학교가 서창2지구 더 포레스트 옆에 개교하였다. [[2017년]] 1월 2일 인천 서창동 [[우체국]]이 개국하였다. [[2017년]]에 LH 청아안, 청광플러스원, 호반베르디움, e-편한세상서창, LH 15 행복주택 아파트가 입주하였다. [[2018년]]에 더 포레스트, 서창센트럴푸르지오 아파트가 입주하였다. [[2018년]] 11월 6일 서창 [[119안전센터]]가 개소하였다. [[2018년]] 11월 19일 해피프라자 2층(서창남로 35, 204~206호)에 서창2동 행정복지센터 임시청사가 개청하였다. [[2019년]]에 서창 꿈에그린, LH 14 행복주택 아파트가 입주하였다. [[2019년]] 5월에 장아초등학교가 서창2동 장아산 아래 개교하였다. [[2020년]] 3월 2일 서창2동 행정복지센터가 서창센트럴푸르지오 507동앞에 지하1층 지상3층으로 정식 개청하였다. [[2021년]] 8월 17일 2학기 개학과 함께 [[도림동(남동구)|도림동]]에 있던 [[도림고등학교]]가 서창베라체 앞으로 [[신축]] 이전하였다. [[2023년]] 6월 30일 서창센트럴푸르지오 앞 문화부지에 지하2층 지상3층 연면적 2만1천630㎡ 규모의 세대통합형 복합시설이 들어올 예정이다.[* 원래는 2022년 완공 예정이었으나 연장되었다.] [[2024년]]에 서창동에 [[신천역(시흥)|신천역]]을 거쳐 [[구로역]], [[노량진역]]까지 이어지는 [[제2경인선]]을 만들 계획이다. [[2020년]] 7월 서창2동 인구는 40,195명으로 남동구 내에서 논현고잔동 인구와 비슷한 규모를 갖고 있다. [clearfix] == 역사 == [[1946년]] 서창동이 됐고, [[1977년]]에 운연동을 흡수했다. [[1998년]] 인구과소동으로 뽑혀 [[장수동(남동구)|장수동]]과 합쳐져 장수서창동이라는 행정동에 속하게 됐다. [[2018년]] 장수서창동과 서창2동으로 분동하였다. == 주변 시설 == === 주거 === ||<-2> '''시공사''' ||<-4> '''단지명''' ||<-2> '''입주''' ||<-2> '''세대수''' || ||<-2> [[영남탑스빌|영남건설]] ||<-4> 서창 태평1차 ||<-2> 1995년 11월 ||<-2> 435세대 || ||<-2> 태평주택 ||<-4> 서창 태평2차 ||<-2> 1997년 12월 ||<-2> 577세대 || ||<-2> [[파일:고려산업개발_로고.png|height=20]] ||<-4> 서창 현대모닝사이드 ||<-2> 2002년 11월 ||<-2> 630세대 || ||<-2> 임광토건 ||<-4> 서창 [[그대가]] ||<-2> 2007년 1월 ||<-2> 666세대 || ||<-2> [[파일:seohae_con.png|height=20]] ||<-4> 서창 [[서해그랑블]] ||<-2> 2008년 5월 ||<-2> 523세대 || ||<-2> [[GS건설|[[파일:GS건설 로고.svg|height=20]]]] ||<-4> 서창 [[자이]] ||<-2> 2008년 12월 ||<-2> 500세대 || ||<-2> [[파일:한일건설 CI(1994-2018).svg|height=20]] ||<-4> 서창 [[한일베라체]] ||<-2> 2012년 3월 ||<-2> 938세대 || || [[롯데건설|[[파일:롯데건설 로고.svg|height=20]]]] || [[파일:대보건설 CI.svg|height=20]] ||<-4> 서창 퍼스트뷰 ||<-2> 2012년 6월 ||<-2> 1,196세대 || ||<-2> [[소노인터내셔널 건설부분|[[파일:소노인터내셔널 건설부문 CI.png|height=20]]]] ||<-4> 서창 센트라스 ||<-2> 2014년 3월 ||<-2> 566세대 || ||<-2> [[트루엘|[[파일:일성건설 로고.svg|height=20]]]] ||<-4> 서창 LH12단지 ||<-2> 2014년 4월 ||<-2> 1,534세대 || ||<-2> [[울트라건설|[[파일:ultracons_last.jpg|height=20]]]] ||<-4> 에코 에비뉴 ||<-2> 2014년 7월 ||<-2> 855세대 || ||<-2> [[파밀리에|[[파일:신동아건설 로고.svg|height=20]]]] ||<-4> 서창 LH1단지 ||<-2> 2015년 2월 ||<-2> 2,186세대 || ||<-2> [[두산중공업|[[파일:두산 로고(1996-2021).svg|height=20]]]] ||<-4> LH 청아안 ||<-2> 2016년 3월 ||<-2> 742세대 || ||<-2> [[DL이앤씨|[[파일:대림 로고.svg|height=20]]]] ||<-4> [[e편한세상]] 서창 ||<-2> 2017년 6월 ||<-2> 835세대 || ||<-2> [[호반건설|[[파일:호반건설 CI(2009-2019).svg|height=20]]]] ||<-4> 서창 [[호반베르디움]] ||<-2> 2017년 7월 ||<-2> 600세대 || ||<-2> [[파일:slide1-n.jpg|height=20]] ||<-4> 서창 [[청광플러스원]] ||<-2> 2017년 9월 ||<-2> 582세대 || ||<-2><|2> [[계룡건설산업|[[파일:KR산업 CI.png|height=20]]]] ||<-4> 서창 LH15단지 ||<-2><|2> 2017년 12월 ||<-2> 678세대 || ||<-4> 더 포레스트 ||<-2> 1,228세대 || ||<-2> [[대우건설|[[파일:대우건설 CI.svg|height=20]]]] ||<-4> 서창 센트럴 [[푸르지오]] ||<-2> 2018년 1월 ||<-2> 1,160세대 || ||<-2> [[한화건설|[[파일:한화건설 로고.svg|height=20]]]] ||<-4> 서창 [[꿈에그린]] ||<-2> 2019년 2월 ||<-2> 1,212세대 || ||<-2> [[금호건설|[[파일:금호건설 CI.svg|height=20]]]] ||<-4> 서창 LH14단지 ||<-2> 2020년 1월 ||<-2> 950세대 || === 교육 === * 유치원 유석화유치원,에듀피아유치원,반디유치원,제니스유치원[* 사립유치원만 기술함.] * 초등학교 인천서창초등학교,인천한빛초등학교,인천장서초등학교,인천장아초등학교[* 개교순으로 기술함.] *중학교 [[인천서창중학교]],[[만월중학교]] *고등학교 [[도림고등학교]] == 기타 == * 현재는 [[개발]]이 상당수 진행된 [[신축]] [[신도시]]라서 비싼 [[부동산]] [[땅값]]을 유지하고 있지만 [[역사]]적으론 [[바다]]와 인근한 위치 때문에 짠물이 올라와서 [[농사]]짓기가 매우 곤란한지라 인기가 없는 지역이었다. * [[서창도서관]]이 위치해있다. * 서창동엔 [[고등학교]]가 없어 주로 남학생이라면 만수고, 도림고, 남동고 등으로 진학하고 여학생이라면 문일여고, 숭덕여고, 논현고 등으로 진학'''했었다.''' * [[2021년]] 8월 17일 2학기 개학과 함께, [[도림고등학교]]가 서창동 내로 [[이전]]하였다.[* 다른 학교의 이전사례를 봤을 때, 지역을 옮긴다고 해서 학교명이 변화하지는 않음. 서울의 [[마포고등학교]]와 인천의 [[동인천고등학교]], [[동인천중학교]], [[인천축현초등학교]] 참조.] * 현재 장수서창동에 서창초등학교, [[인천서창중학교|서창중학교]]가 있으며, 서창2동에 인천한빛초등학교, 장서초등학교, 장아초등학교, [[만월중학교]], [[도림고등학교]]가 있다. * 2021년 11월 15일 발생한 [[인천 층간소음 흉기난동 사건]]이 서창동의 한 빌라에서 발생됐다. * [[2014년]]부터 거의 아무것도 없다가 새로 [[계획도시]] 만들어진 최[[외곽]]지역이다[* 서창2동은 말이야 [[외곽]]이지 [[대중교통]] 수준이 [[시골]]이라 하기엔 애매하고, [[지방(지리)|지방]]이나 다름없다.] 보니 2024년이 다 되어감에도 대부분 주요 시설이 심히 부족하다. 특히 [[대중교통]]의 경우 [[인천광역시]] 내에서 가장 안 좋은편이다.[* 이게 어느 정도 냐면 지하철역이 없는 것뿐만 아니라 시내버스 중 [[인천 버스 47]]이 최소 17~30분이나 기다려야한다. 지방권이 오히려 더 빠른 경우도 있다.][* 장수서창동은 운연역이 있어서 위안이 되지만, 서창2동은 5년이 지났음에도 아무것도 없다.] [[운연역]]도 서창동이 아니라 인접한 [[운연동]]에 있다. [[부역명]]이 서창역이다. * [[철도]] 이어진거는 아니지만 같은 인천 내 다른 [[지역구]] 가는것보다 부천 시흥 가는게 오히려 더 빠를수도 있다. 이래서 [[제2경인선]] 최적지로 거론되고있다. * 인천에서 [[시흥]], [[부천]] 가기에는 가까운편이다. 물론 [[도보]]로도 쉬운 거리는 아니지만 [[신천역(시흥)|신천역]], [[월곶역]], [[송내역]]을 일부 제외하고 다른 인천 지역보다 더 빨리 갈 수있다. (송내는 [[부평]]이 더 가깝고, 월곶은 [[논현동(인천)|논현동]]이 더 가깝지만 부평보다는 월곶을, 논현보다는 송내를 더 빨리 갈 수있다) * 장수서창동이라고 하는만큼 [[장수동(인천)|장수동]] [[인천대공원]]과 가깝다. * [[서창JC]] 도로가 있다. * 2019년부터 지역특화 관광축제인 서창별빛거리 축제를 진행하고 있다 서창2지구 회전교차로 일원에 겨울과 크리스마스에 어울리는 별빛거리를 조성하여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선사하고 연말연시 따뜻한 위로와 희망을 전하고있다. 2019 제1회 [[파일:제1회서창별빛거리안내문.jpg]] 2020 제2회 [[파일:제2회서창별빛거리안내문.jpg]] [[분류:남동구의 법정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