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34년 출생]][[분류:2015년 사망]][[분류:대한민국의 촬영 감독]] [목차] == 개요 == 한국의 촬영 감독. 1934~2015. 본명은 [[서정석]]. 1961년 <촌 오복이>로 데뷔하여 촬영감독으로 참여한 작품이 90년대에 이미 150편이 넘었다. 1세대 [[한국 영화]]의 거장으로 [[이만희(영화 감독)|이만희]], [[임권택]], [[이장호]], [[김기덕(1934)|김기덕]] 등 이름만 들어도 쟁쟁한 감독들과 함께 작업하였다. 특히 이만희 감독과의 협업이 한국 영화사에서 상당히 중요하게 여겨진다. 70대의 나이가 된 2000년대에도 젊은 감독들의 영화에서 촬영 감독을 맡으며 작품 활동을 하였다. 고등학교 때부터 사진에 푹 빠져서 암실을 차리고 학교에서 촬영과 현상을 했다고 한다. 필름 유제를 직접 만드려고 고려대 화학과에 갔다는 이야기도 전설처럼 내려온다. == 참여작 == 대부분 촬영감독으로 참여한 작품들이다. 편의를 위해 년도 역순으로 정렬하였다. * 2004년 [[어린 신부]] * 2003년 [[여고괴담 3 - 여우 계단]] * 2000년 [[리베라 메]] * 1998년 [[여고괴담]] * 1998년 [[파란대문]] * 1992년 [[아래층 여자와 위층 남자]] * 1990년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 1989년 [[서울무지개]] * 1984년 [[흐르는 강물을 어찌 막으랴]] * 1984년 [[무릎과 무릎사이]] * 1983년 [[바보선언]] * 1981년 [[어둠의 자식들]] * 1980년 [[바람불어 좋은 날]] * 1978년 [[난중일기(영화)|난중일기]] * 1976년 [[원산공작]] == 수상 == * 2001년 제38회 [[대종상]] 촬영상 《[[리베라 메]]》 * 2001년 제24회 [[황금촬영상]] 촬영상-금상 《[[리베라 메]]》 * 2001년 제9회 [[춘사영화제]] 촬영상 《[[리베라 메]]》 * 1997년 제35회 [[대종상]] 촬영상 《피아노맨》 * 1997년 제20회 [[황금촬영상]] 촬영상-금상 《피아노맨》 * 1994년 제18회 [[황금촬영상]] 촬영상-금상 《절대사랑》 * 1989년 제9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촬영상 《[[서울무지개]]》 * 1989년 제25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서울무지개]]》 * 1989년 제27회 [[대종상]] 촬영상 《[[서울무지개]]》 * 1984년 제8회 [[황금촬영상]] 촬영상-동상 《[[바보선언]]》 * 1982년 제6회 [[황금촬영상]] 촬영상-금상 《그들은 태양을 쏘았다》 * 1978년 제2회 [[황금촬영상]] 촬영상-금상 《도솔산 최후의 날》 * 1977년 제1회 [[황금촬영상]] 촬영상-동상 《초연》 * 1974년 제13회 [[대종상]] 특별상《기술》 《[[증언#s-2|증언]]》 * 1972년 제9회 [[청룡영화상]] 촬영상 《여창》 * 1967년 제5회 [[청룡영화상]] 촬영상《흑백》 《[[만추]]》 * 1967년 제3회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기술상 《[[만추]]》 * 1965년 제3회 [[청룡영화상]] 촬영상 《흑맥》 * 1964년 제7회 [[부일영화상]] 촬영상 《[[돌아오지 않는 해병]]》 * 1964년 제2회 [[대종상]] 신인상 《[[돌아오지 않는 해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