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徐有榘 (1764~1845) == 개요 == [[조선]] 후기의 [[실학자]]. 본관은 대구 서씨,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 시호는 문간(文簡). == 생애 == 이조판서를 지낸 서호수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형 서유본의 부인은 여성 실학자 [[이빙허각]]이다.] 18세가 되었을 때 연암 [[박지원(실학자)|박지원]]을 찾아가 학문을 사사했다. 1786년 23세에 진사시에 급제했고 1790년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정약전]], 김달순과 함께 초계문신으로 뽑혔다. 1795년 아들 서우보가 태어났고 [[순조]] 때 [[의주군|의주]]부윤, 대사성, [[강화군|강화]]유수, 형조판서, 예조판서, 대사헌 등 여러 벼슬을 지내기도 했으나 1806년 숙부 서형수가 김달순의 옥사에 연루되면서 삭직을 청하는 상소를 올려 체직되며 중앙 정계로부터 멀어진다. 이후 서유구는 농사를 지었고 서우보의 도움을 받으며 『[[임원경제지]]』를 저술하기 시작했다. 1827년 서우보가 먼저 세상을 떠난 후 1836년 74세에 [[수원시|수원]]유수로 임명되었다. 수원에서 매일 업무 기록을 남겨 『[[화영일록]]』이란 책을 썼다. 1837년 고향 금릉(지금의 [[경기도]] [[장단군]] 금릉리)에 있던 세간을 번계(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북구]] 번동)로 옮기고 벼슬을 그만두기 전이라 번계와 서울을 오가며 생활하다가 1839년 76세에 관직을 은퇴했으며 『임원경제지』를 임원 생활에 적용하고 시험해봤다. 1841년 두릉(지금의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으로 거처를 옮긴 후 오비거사생광자표(五費居士生壙自表)를 집필했으며 1845년 두릉에서 82세에 사망했다. [[분류:조선의 실학자]][[분류:대구 서씨]][[분류:1764년 출생]][[분류:1845년 사망]][[분류:파주시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