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특별시)] [include(틀:관련 문서, top1=대한민국/지명)]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지역 구분)]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서울_강북.png|width=450]] [[서울특별시]]에서 [[한강]] 이북에 위치한 지역. == 역사 == 조선 성립 이후 [[한성부]] 성내([[사대문안]]) 및 [[성저십리]] 지역+양주군 일부(도봉, 노원, 중랑, 광진)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서울특별시/강남|강남]]은 1910년 이전까지 [[한성부]]의 일부가 아니었다.], 1914년 일제에 의해 성저십리 지역 대부분이 '''[[경기도]] [[고양군]]'''으로 편입된 역사가 있다. 당시에는 서울도 '''[[경기도]] [[경성부]]'''로 일개 하위 행정구역으로 전락했다. 한편 [[한강]] 이남의 [[여의도]]와 [[잠실]]은 [[한강]] 이북의 행정구역에 소속되어 있었는데, 각각 [[한성부]] [[성저십리]], [[양주군]] 고양주면의 일부였다. 물론 지금은 당연히 각각 [[한강]] 이남인 [[영등포구]]와 [[송파구]] 소속이다. == 지위 == [[조선]]의 [[태조(조선)|태조 이성계]]가 [[수도(행정구역)|수도]]를 잡으면서 성장한 지역인 만큼 역사가 깊고 관광지도 많은 곳이다. [[서울특별시]]의 전통적인 [[도심]]이었던 [[중구(서울특별시)|중구]]와 [[종로구]]가 있는 곳이고, [[대통령실]]이 위치한 [[대한민국]]에서 정치/행정상으로 중요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대법원]], [[대검찰청]]이 [[서초구]]에 있으므로 사법부에서 중요한 곳은 [[서울특별시/강남|강남]]이라고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대한민국 국회]]가 [[영등포구]] [[여의도]]에 있으니 입법부에서 가장 중요한 곳은 [[서울특별시/영등포|영등포]]라고 할 수 있다.] [[미국]], [[중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독일]], [[일본]] 등 주요국들의 주한 대사관들 역시 모두 강북에 위치해 있어 외교적으로도 중심에 해당한다. == [[서울특별시/강남|강남]]과의 경쟁 관계 == [[조선왕조실록]] 등의 정사와 민간에서 전해져 내려오는 민담의 수로 보면 당연히 한강 이남 지역([[서울특별시/영등포|영등포]]나 [[서울특별시/강남|강남]])보다도 강북 지역의 기록이 압도적으로 많다. 애초에 조선시대 때는 강남은 서울이 아니었고, 저 지역은 [[풍수]]학적으로 봤을 때도 명당이고 ([[왕십리]] 지명의 유래를 생각해 보자) [[조선]]과 [[대한민국]]의 중심 역할을 해 온 곳이다. 부자들은 다 강남에 산다는 고정관념과는 달리, 정재계 인사들은 강북의 부촌에 거주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성북동(서울)|성북동]]이나 [[한남동]]이 부촌으로 꼽힌다. 다만 [[1960년대]]부터 진행된 과밀화로 도시 기능을 [[서울특별시/영등포|영등포]]나 [[서울특별시/강남|강남]]과 분담하기 시작했고, [[2010년대]] 들어선 저 둘도 '도심'이라 불릴 정도로 성장한 상태다. 실제로 [[2013년]] 발표되었던 '2030서울도시기본계획'에서 강북, 강남, 영등포는 3대 도심으로 불렸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지금은 [[서울특별시/강남|강남]]에 비해 [[강남부심|평가 절하를 당하기도 한다.]] [[대한민국 국회]]는 [[여의도]], [[대한민국 대법원]]과 [[대검찰청]]은 [[서초구]]에 위치해 있기 때문에 행정적으로도 영등포와 강남의 중요성이 더욱 커졌다. 서울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경기도]]가 남부 위주로 성장하면서 수원, 용인, 성남 등 경기도 남부와 가까운 강남과 경기남부 쪽으로 일자리나 인구가 이동하고 있는 측면도 있다.[* 서울 내부에서만 보면, 서울에서 새로 떠오른 업무지구인 [[마곡지구]]는 한강 이남의 [[강서구(서울)|강서구]]에 있고 [[금천구]]나 [[구로구]]도 [[서울디지털산업단지]]가 있다. 반면 [[노도강]]은 여전히 베드타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기업의 본사들이나 금융업, 문화예술업 등의 서비스업, 그리고 상권이나 병원 등의 인프라가 강남 못지 않게 강북 도심 지역에 많이 있어서 강북의 도심 지역이 단기간내에 몰락하지는 않을 것이다. 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서울 내에서도 인구유출과 고령화가 강남보다 심한 지역으로 초/중/고등학교의 폐교 문제 등이 발생하고 있다. 그나마 있는 젊은층들도 경기북부 신도시 지역으로 많이 이주하고 있다. 강남과 강북은 따로 노는 지역이 아니라 서울이라는 하나의 광역자치단체 안에서 유기적으로 연결된 지역이다. 어느 한 쪽이 사라지면 다른 쪽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게 된다. == 범위 == === [[서울특별시]] 한강 이북 전역 === 기본 개념이고 대부분의 사람들 역시 그렇게 인식하고 있다. === [[서울특별시/강남|강남]]과 대비하기 위해 차용되는 개념 === 여기서 강남은 단어의 원뜻인 서울 내 한강 이남 전체 지역을 뜻하는 게 아니라 사회적인 의미인 [[강남 8학군]]에 속하는 지역을 말한다. 주로 정치/언론계에서 많이 표현하는데, 일상 생활에서도 상당수 보이는듯 하다. 인프라가 발전되고 교육 및 소득 수준이 높은 강남과 대비하기 위해 쓰인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1021514420002868|강북-강남 격차 더 커져(한국일보)]] 주로 서초/강남구와 동북부 지역과의 대비를 표현하기 위해 많이 쓰인다. === [[강북구]] === 강남의 사례와는 다르게, 강북구를 강북이라고 표현하는 사례는 실생활 속에서 그리 많지 않다. === 관련 문서 === * [[강남부심]] == 지역 구분 == 서울특별시 2030서울생활권계획 기준으로, 강북은 크게 서북권, 도심권, 동북권으로 나뉜다. 기상특보가 내려질 때에는 도심권이 서북권에 포함된다. 실제 도심과 비도심을 기준으로 도심이 강북 정중앙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도심권 서쪽과 동쪽의 생활권은 확연히 다르다. === [[서울특별시/서북권|서북권]] === * [[은평구]] * [[서대문구]] * [[마포구]] === [[서울특별시/도심권|도심권]] === * [[종로구]] * [[중구(서울특별시)|중구]] * [[용산구]] === [[서울특별시/동북권|동북권]] === * [[동대문구]] * [[성동구]] * [[성북구]] * [[중랑구]] * [[광진구]] * [[강북구]] * [[도봉구]] * [[노원구]] == 여담 == * [[2023년]] 기준, 서울 강북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은 [[동대문구]]에 위치한 [[SKY-L65]]이다. == 관련 문서 == * [[사회학]] * [[부동산]] * [[경기북도]][* 서울특별시의 강북처럼 경기북도도 [[김포시]]를 제외하면 전부 한강 이북에 있다. 경기북도는 일자리, 인프라 등에서도 강북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신도시 개발로 인해 강북에서 경기북부로 이주하는 인구 또한 많다.] [[분류:대한민국의 지명]][[분류:서울특별시의 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