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초등학교)] ||<-2> '''{{{+1 서울청계초등학교}}}[br]Seoul Cheonggye Elementary School'''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청계초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전신 1895년 9월 1일 실제 [[1992년]] [[5월 6일]] || || {{{#white '''유형'''}}} || [[초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공립]] || || {{{#white '''교장'''}}} || 김명일 || || {{{#white '''교감'''}}} || 김미경 || || {{{#white '''학생 수'''}}} || 289명[br]2022.01.02 || || {{{#white '''교직원 수'''}}} || 31명[br]2022.01.02 || || {{{#white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북부교육지원청]] || || {{{#white '''주소'''}}} ||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431 || || {{{#white '''홈페이지'''}}} || [[https://scg.sen.e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clearfix] [목차] == 개요 == [[서울특별시]] [[노원구]]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다. [[중구(서울)|중구]] 수하동에서 1895년 개교하고 1969년 [[폐교]]한 구 청계초등학교를 계승하여 1991년에 설립되었다. 이런 식으로 오래전 폐교한 학교를 계승해서 개교하는데, 폐교 이전 구 학교 졸업자들의 학적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 즉 1960년대 이전 청계초등학교 졸업자들의 생활기록부 졸업증명 관리 및 발급 등의 업무를 현재의 학교가 하는 것. 학적이 연결되므로 이름만 같은 전혀 다른 학교가 아닌 계승으로 보고 학교연혁에 과거의 학교도 넣는 이유가 이것이다. 단, 학교에 따라 학교상징이나 제 몇대 교장 누적 졸업자 수 이런것까지 연결되는 경우, 이 부분은 아예 리셋하는 경우의 차이는 있다. == 학교 연혁 == || 1991년 10월 30일 || 청계국민학교로 설립인가 || || 1992년 3월 1일 || 초대 이만복 교장 부임 || || 2018년 9월 1일 || 제10대 김명일 교장 부임 || || 2021년 2월 10일 || 제 89회 졸업식 || == 학교 상징 == * 교목: '''[[은행나무]]''' 이다. '곱고 아름다운 은행잎처럼 고상한 멋을 지나고 늘 푸른 꿈을 가꾸는 청계어린이를 뜻하자'라는 의미이다. * 교화: '''[[개나리]]''' 이다. '강건하고 희망차며 강인한 생활력을 지니고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을 가진 꽃이다'라는 의미이다. == 교가 == == 학교 특징 == == 출신 인물 == * [[마광수]] * [[이긍종]] - 전 국회의원 * [[이남이]]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청계초등학교 || [[서울 버스 1120]] || || 중계역 || [[서울 버스 100]], [[서울 버스 102]], [[서울 버스 105]], [[서울 버스 111]], [[서울 버스 146]], [[서울 버스 1135]], [[서울 버스 1137]], [[서울 버스 1139]], [[서울 버스 1140]], [[서울 버스 노원09]], [[서울 버스 노원15]] || === 지하철 === || 역 이름 || 노선 || ||<|1> [[중계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분류:노원구의 초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분류:1895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