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종합운동장)] ||||<#002244> '''{{{#ffffff {{{+1 서울종합운동장 올림픽주경기장}}}}}}''' || ||<-4><#0103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주경기장.jpg|width=100%]]}}}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주경기장내부.jpg|width=100%]]}}} || ||<-4> '''▲ 현재 모습'''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올림픽주경기장조감도1.jpg|width=100%]]}}} || ||<-4> '''▲ [[국제교류복합지구#s-2.4.1|리모델링]] 조감도'''[* 2023년 8월 착공, 2026년 12월 완공 예정.] || ||<-1><:>'''위치'''||<-3><(>[[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5 ([[잠실동]])[* 지번: 잠실동 10번지.] || ||<-1><:>'''개장'''||<-3><(>[[1984년]] [[9월 29일]][* 1977년 11월 28일에 착공해 1984년 9월 29일에 완공했다. 참고로 [[구자춘]] [[서울특별시장]]이 참석한 기공식은 1977년 12월 20일에 개최했는데 기공식은 공사 시작을 알리는 행사의 의미로 실제 계약서 등에 공식 기재되는 법적인 공사 착공 일자와는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1><:>'''홈 구단'''||<-3><(>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서울 유나이티드]] (2007~2012)[* 2011년도부터 대관료 문제로 [[제2 홈구장]]이었던 [[노원마들스타디움]]에서 주로 경기를 펼치다가 2012년에 간간히 올림픽경기장을 사용했다. 2019년부터는 노원마들스타디움을 홈구장으로 사용하고있다.] [br] [[서울 이랜드 FC]] (2015~2022)[* 2021년까지 사용한 이후 재개발 이슈로 공사 기간 동안 [[목동종합운동장]]을 임시로 사용하게 되었으나 리그 개막 직후에 당시 목동의 잔디가 경기를 치를 수 없는 상태였기에 2022년 3월 27일 안양전까지는 잠실에서 치렀다.][br] [[FC 서울]] (2021)[*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잔디 교체 공사로 2021 K리그1 파이널 라운드 한정.][br]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2022)[* 한시적이다.]|| ||<-1><:>'''운영'''||<-3><(>[[서울특별시]] 체육시설 관리사업소 || ||<-1><:>'''설계'''||<-3><(>[[김수근]] / 리모델링:(주)나우동인건축사사무소[[http://www.nowarch.com/works/view?idx=207&return_url=%2Fworks%2Flist%3Ftitle%3D%26type%3D2%26keyword%3D0%26region%3D0%26gross%3D1000-5586000%26max_gross%3D5586000%26years%3D1994-2023%26max_years%3D2023|#]] || ||<-1><:>'''시공사'''||<-3><(>[[대림산업|[[파일:대림산업 구 로고.svg|width=100]]]][* 총 건설 비용은 당시 돈으로 463억원(주경기장), 28억원(보조경기장)으로 실제 1,025억원이 들어간 [[서울종합운동장]] 건설 비용의 50% 가까이가 이 경기장 건설에 사용되었다. 설계는 건축가 [[김수근]]이 맡았다. 참고로 지붕의 형태가 곡선인데 이는 [[조선백자]]에서 모티브를 얻었다고 한다.] / 리모델링:[[현대건설|[[파일:현대건설 국문 로고.svg|height=18]]]][* 총 건설비용 약 4000억원, 전액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설 관련 공공기여금 재정에서 충당됨.]|| ||<-1><:>'''좌석 수'''||<-3><(>69,599석[* 스탠딩석 포함한 수용인원 10만명.]|| ||<-4>{{{#!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장소=서울올림픽주경기장,너비=100%,높이=225px)]}}}|| [목차] [clearfix] == 개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253NWFVEAAZvP-.jpg|width=100%]]}}}||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25 ([[잠실동]])에 위치한 [[서울종합운동장]]의 메인 [[스타디움]]. 언론에선 서울종합운동장과 그 주경기장을 비슷하게 지칭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서울종합운동장의 부속 시설 중 하나인 메인 경기장이 바로 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다. 통상적으로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라는 공식 명칭보다는 '''[[잠실 주경기장]]'''(~~잠주경~~) 또는 '''잠실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서울특별시]] 내 복수의 종합운동장이 있고, 저마다 주경기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규모 == [[파일:external/pds.joins.com/htm_201304021414030103011.jpg]] 약 10만여 명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고, 실제 좌석 수는 69,599석으로 과거 A매치 등의 입장권도 이에 맞춰 판매되었다. 경기장 시설의 기준 때문에 오해가 생기는데, '수용 인원'은 좌석 외에 통로 등의 스탠딩까지 계산해 넣는 것이다. 주경기장의 공식 수용 인원은 현재도 10만명으로 되어 있다. == 역사 == === 상징성 === [[1986 서울 아시안 게임]]과 [[1988 서울 올림픽]]을 치른 주경기장답게 한국 스포츠사에서 매우 상징성이 큰 건물이다. 때문에 [[강남3구]]에 위치한 금싸라기 땅이라 경기장은 딴데 옮겨버리고 재개발하자는 떡밥이 종종 나오지만 그때마다 [[대한체육회]]는 반발하고 있다. 세계사적인 측면으로도 [[1976 몬트리올 올림픽]]부터 자유진영과 공산진영이 교대로 10년 넘게 이어온 올림픽 집단 보이콧이 끝나고 진정으로 세계화합의 장이 이루어진 기념장소로 여겨진다. 그러나 끝내 [[북한]]은 서울올림픽에 불참하였기 때문에 남북한의 만남은 좌절되었다.[* 북한은 이전 [[1984 LA 올림픽]]에도 불참하였기 때문에 남북간의 만남은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 가서야 다시 이루어졌다. 반대로 남한은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에 반대하는 차원에서 [[1980 모스크바 올림픽]]에 불참하였다.] 실제로 서울 올림픽이 자유진영의 개도국인 대한민국이 [[한강의 기적]]을 통해 올림픽 개최국까지 된 것을 보고 공산진영 국가들이 큰 충격을 먹은 사건으로, 공산진영의 국가들이 공산주의·사회주의에 대해 크게 회의감을 품으며 결국 [[냉전|냉전체제]]가 무너지는 도화선 역할을 했다. 국내 대중문화에 있어서 상징성과 대표성 역시 큰 경기장이다. 당시 권위주의적인 사회적 분위기의 한계로 인해 1999년 HOT의 공연 전까지는 한국 가수는 아무리 인기가 많더라도 '증빙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주경기장에서의 공연이 허가되지 않았지만, 인터넷의 발전으로 팬클럽의 규모가 쉽게 증명 가능해지면서 한국 가수들에게도 주경기장 단독 공연의 문이 활짝 열렸고, KPOP이 세계화되고 국민 소득수준과 건설기술 역시 88년과 비교가 어려울 정도로 발전된 2023년 현재에도 __국내 모든 경기장과 공연장을 통틀어 이곳을 넘어서는 관객 수용 능력을 지닌 장소는 국내에 존재하지 않으며[* 한반도 전체로 그 범위를 넓히면 북한에 [[릉라도5월1일경기장]]이 있기는 하다. 무려 수용인원 기준 세계 2위. 다만 통일 이전에는 절대로 사용할 수 없고 설렁 통일이 되더라도 부실시공이 확정적인 곳이라 이쪽도 리모델링은 필수적이다.], 많은 좌석수[* 관람석 절반이 무대설치로 가려져도 플로어 좌석설치 포함 평균 1회 4만5000여석이 나온다]때문에 매진 역시 쉽지 않기 때문__에, 이곳에서 콘서트를 개최하고, 동시에 전 좌석을 매진시켰다는 것은 '''해당 아티스트가 소위 국민가수의 반열에 올랐다'''는 것과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또한 해외 초대형 아티스트들의 경우에도 이곳의 사용 가능 여부에 따라 내한 여부가 결정될 정도로,[* 실제로 [[테일러 스위프트]]의 경우 내한 추진중 이곳의 리모델링 일정에 따라 적절한 공연기간을 확보하지 못해 내한이 불발된 바 있기도 하다]한국 문화계에 있어 주경기장 공연 타이틀은 가장 명예로운 트로피와 같은 취급을 받는다. 또한 기존 [[동대문운동장|서울운동장]](성동원두)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개장된 시점에서 거의 60년 가까이 된 노후한 운동장인데다, 이를 보완할 [[효창운동장]] 역시 작은 수용능력 때문에 대형 이벤트를 치러야 하는 공간이 반드시 필요했다. 애초에 이 경기장이 올림픽을 목적으로 신축한 것이 아닌 서울특별시 주도의 '남서울 개발계획'에 포함이 된데다, 결정적으로 2020년대 현재 시점에서 서울에 대형경기장을 지을 만한 부지가 그린벨트로 묶인 곳이 아닌 이상은 거의 없다고 보면 이는 오히려 시대를 앞선 혜안으로까지 봐야 한다.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위해 상암에 [[서울 월드컵 경기장]]이 들어서기 전까진 축구장 관련해서도 나름 성지로 여겨지는 곳이었으나[* 이 경기장에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이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남자 축구 금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아시안게임 축구에서 대한민국이 처음으로 획득한 '''단독''' 금메달이며, A대표팀이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차지한 마지막 대회이기도 하다. [[2002 부산 아시안 게임]]부터 남자부에 한해 U-23 대표팀이 출전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은 2014년과 2018년, 2023년에 3회 연속 우승했다.], 정작 축구를 관람하긴 국내에서 최악을 달린다. 서울올림픽 주경기장의 시야는 한국의 종합운동장 중에서도 [[부산 월드컵 경기장|부산 아시아드]]와 [[대구스타디움]] 수준으로 좋지 않으며, [[피치]]에서 가장 가깝다는 W석에서조차 선수들의 등번호를 구분하기 힘들다.[* 이와 비슷한 기믹을 가진 경기장이 [[1976 몬트리올 올림픽]] 주경기장이었던 [[스타드 올랭피크 드 몽레알]](Stade Olympique de Montréal)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워싱턴 내셔널스]]의 [[몬트리올 엑스포스]] 시절 이 경기장을 야구장으로 개조하여 사용했으나 [[크고 아름다운]] 관중석 규모와 시선에 맞지않은 관중석 구조로 야구 경기를 관람하는데는 최악의 경기장으로 악명 높았다. 이의 반대가 되는 경기장이 애틀랜타 풀턴 카운티 스타디움에 대체할 목적으로 지은 [[1996 애틀랜타 올림픽]]의 [[터너 필드|센테니얼 올림픽 스타디움]].] 때문에 이 경기장을 축구전용구장으로 리모델링 하자는 의견이 있지만 다소 현실성이 떨어지는 의견이다. [[맨체스터 시티]]의 홈 구장인 [[에티하드 스타디움]]이나 현재 [[웨스트햄 유나이티드]]의 홈 구장으로 사용 중인 [[런던 스타디움]][* [[2012 런던 올림픽]] 주 경기장 이었다]처럼 종합 운동장을 축구전용구장으로 리모델링 한 사례들은 몇몇 있지만 그런 경기장들은 애당초 경기장 설계시부터 축구전용구장으로의 리모델링을 고려하여 설계된 경기장인 반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은 철저하게 종합 운동장으로 설계되었다. 설령 축구전용구장으로의 전환이 가능하다 하여도 전환시에는 축구 그라운드를 현재보다 지하로 내리고 육상트랙 부분에 관중석을 채워넣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현재도 엄청난 경기장 수용인원이 더 늘어나게 된다. 이 경우 거의 [[웸블리 스타디움]]에 필적하는 수용인원이 예상되는데 이는 한국에서는 국가대표팀 경기의 경우에도 만석을 채우기 꽤나 힘든 규모이다. 또한 경기장 자체가 올림픽 [[육상]] 경기가 치러진 상징성이 있는 곳이며, 한국 육상계에도 지대한 영항을 끼친 경기장이기 때문에 육상 트랙을 없앤다는 발상은 필연적으로 육상계의 거센 반발을 불러올 수 밖에 없다. 다른 의견으로는 주 경기장 옆에 붙어있는 보조 경기장을 축구전용구장으로 개조하자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이 경우에는 보조 경기장이 주 경기장과 [[올림픽대로]], [[탄천]] 등에 둘러싸여 여유공간이 너무 적기 때문에 개조가 불가능하다.[* 서울 이랜드 FC가 보조경기장을 축구전용구장으로 개조하려는 계획을 잡긴 했지만 이 역시 유휴공간 부족 문제로 취소했다.] 여러모로 상징성이 큰 구장이다 보니 2020년대 초중반에 펼쳐지는 잠실운동장 국제교류지구 사업에서도 다른 모든 구기종목 경기장[* [[잠실야구장]], [[잠실실내체육관]], [[서울특별시 학생체육관]]]이 헐리고 인근의 다른 위치에 재건축될 예정인 상황에서 주경기장만 리모델링 선에서 끝내는 정도다. === 올림픽 이후 === 어찌됐든 한국 스포츠사에서 매우 큰 의미를 지닌 경기장이지만 땅값이 비싼 강남에 위치한 지라 이 부지를 노리는 집단들이 많다. 참고로 [[2002 한일 월드컵]] 때도 [[서울 월드컵 경기장|상암 신축]] 대신 잠실 개축안이 나온적이 있었는데 그때도 상암 신축을 아득히 초월하는 금액이 나와 포기했다.[* [[서울월드컵경기장]]의 총 건축비는 약 2,000억 원이다.] 그래서 여기를 철거하고 아파트 단지로 재개발하자는 주장도 있었으나 경기장의 상징성과 [[대한체육회]]의 강력한 반발 때문에 수그러들었다. 이러한 사건이 있었기 때문에 아예 서울종합운동장을 근대문화재로 지정해서 건드리지 못하게 해버리자고 주장하는 급진파도 있다. 하지만 2002 월드컵 이후 사실상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경기장이 [[서울월드컵경기장]]이 된 이상 서울종합운동장은 자연히 대형 콘서트 및 행사 유치는 몰라도 프로리그 경기 및 대형 경기를 유치하지 못해 서울시로서는 천덕꾸러기나 다름 없었다. 오죽했으면 상술된 것처럼 1년 내내 스포츠 경기가 열린게 연고전 딱 하루였던 경우도 있었다. 그나마 2013년 [[동아시안컵]]으로 경기장 전광판과 좌석 일부를 보수했으나 K리그 등의 프로 경기를 유치하지 않는 이상 경기장을 다시 이용하기란 요원한 이야기이다. 하지만 철거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놀릴 수도 없어 어떻게든 잠실에 제2 프로축구팀을 유치하자고 여러 곳에서 언플을 날리다 2014년 이랜드가 축구팀을 만들어 이곳을 연고지로 삼겠다고 발표했다. 국가대표팀 축구 경기 역시 주로 1980년대에서 90년대까지는 주로 이 곳에서 열렸다. 그러나 2000년 5월 30일에 있었던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유고슬라비아]]와의 친선 경기를 끝으로 그 기능이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위시하여 [[2002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지어진 월드컵 경기장들로 넘어갔다. 2002 한일 월드컵 이후로 한국 대표팀의 경기가 이 곳에서 열린 사례는 [[홍명보호]] 시절이던 [[2013년]] 7월 28일에 열린 [[EAFF 동아시안컵]] 일본과의 경기(1:2 패배)가 유일하다. [[파일:external/www.seoulutd.com/178a8c3ffba7a34cb0c0718c50b693e2.jpg]] 참고로 해당 경기에서[* 사실 2013년 7월 26일 여자부 경기에서부터 걸개를 미리 걸어놨으나, TRI들이 특정팀 이름이 드러나면 안된다며 철거를 해버렸다. ] [[서울 유나이티드]]의 서포터즈들이 걸개를 통해 팀의 프로진입과 잠실로의 복귀[* 위에도 설명했지만, 대관료 문제로 다른 구장을 옮겨다녀야 했다. 현재는 [[K4리그]]에 참가하며 [[노원마들스타디움]]을 정기적으로 쓰고 있다.][* 2012년 경주와의 챌린저스리그 홈 개막전의 경우는 잠실에서 경기하기도 했다.]를 염원하기도 했다. 다만 밑의 문구까지 드러난 온전한 걸개는 경기종료 직전에서야 드러났는데, 이는 특정팀의 이름이 드러나면 안된다는 TRI들의 제재로 인한 것이었다.[* 잠실에 새로운 K리그 팀이 창설되길 기원하는 붉은악마의 걸개는 조치가 없었다. 사실 비슷한 취지의 걸개인 셈인데, 서유빠들 입장에서는 두고두고 아쉬움으로 남는일이 되었다.] 그나마 팀 이름이 걷어올려진 상태나마 중계화면에 하프타임에 즈음하며 노출된게 성과라면 성과.[* 위 이야기들에 대해서는 http://www.seoulutd.com/194831나 [[http://www.xportsnews.com/?from_mobile=1&ac=article_view&entry_id=355757|#]] 등에서 관련 기사들도 확인 할 수 있다.] 그러나 2014년 프로진입 목표는 서울시가 연고협약을 맺는 것을 거부함으로 인해 무산되고 말았다. 2015년을 목표로 다시 프로입성을 추진하기로는 했으나, 갑자기 이랜드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역시나 난관이 예정되어 있는 상황. 2015 시즌부터 [[서울 이랜드 FC]]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게 된다. 그 외에 콘서트나 일부 종교 단체의 행사 등으로 활용되고 있다. 2014년 9월과 2016년 9월에는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위장단체인 HWPL(하늘문화세계평화광복)이 이곳에서 종교대통합 만국회의를 개최하기도 했다.[[https://n.news.naver.com/article/421/0002283111?sid=102|#]] 2012년부터는 이곳에서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인 [[울트라 코리아]]를 개최하고 있다. 2019년에는 잠시 [[AMG 에버랜드 스피드웨이]]로 가기도 했지만 2020년부터는 다시 여기서 진행한다. 또한 [[마이클 잭슨]]이 최초로 내한했던 1996년 HIStory World Tour때 10월 11일과 13일에 2일간 공연했는데 [[반미]]주의자들과 개신교 목사들이 주축이되어 공연 반대위원회가 꾸려졌고 표를 판매하기로 한 태원예능에게 서점들과 은행 등에서 표를 판매할 경우 해당 서점과 은행의 불매 운동을 전개하겠다고 협박했고 태원예능은 협박에 굴복, 표 판매를 철회하고 전 직원들이 동원되어 밤낮으로 돌아다니며 수작업으로 표를 판매했다고 한다. 게다가 퍼포먼스가 자극적이라는 이유로 성인용으로 판정되기까지했다. 이에 10만명도 넘는 관중을 여러번 동원했으며 매진이 안되면 이상하다는 소리를 듣는 마이클 잭슨 조차도 매진에 실패하여 1일차 40,000명 2일차 50,000명이라는 이름값에 비하여 초라한 기록을 남겼다. 또한 2006년 [[메탈리카]]의 단독 공연이 이곳에서 열렸고, 2012년 [[레이디 가가]]의 3번째 월드투어 Born This Way Ball 투어의 시작점 역시 이곳이었다. 역시 개신교 단체와 신자들이 동성애, 폭력적, 음란적 퍼포먼스라는 이유로 공연 당일에도 몰려나와 데모를 하는 등 마이클 잭슨 내한때와 마찬가지의 모습을 보여줬다. 이런 난리통 덕에 갑작스레 공연 관람가능 연령이 19세로 올라가 버렸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레이디 가가의 투어 공연은 53,000여명을 동원해 마이클 잭슨에 이어 두번째로 국내 단독 공연 최다 관객 기록을 수립하게 되었다. 2013년 현대카드 슈퍼콘서트의 일환으로 개최된 [[시티브레이크]]도 역시 잠실 종합운동장에서 열려 이곳이 메인 무대로 쓰였다. 당시 헤드라이너는 뮤즈와 메탈리카. 2015년에는 [[폴 매카트니]]가 드디어 내한하여 역시 45,000여명의 관중을 동원했다.[* 차후에 폴 매카트니 측에서 발표한 관객수는 38,212 명이었다. 참고로 레이디 가가의 2012년 공연의 공식 발표 관객수는 51,684명.] 그리고 2017년에 내한한 [[콜드플레이]]가 이틀간 10만명을 동원하여, 기존 마이클 잭슨이 갖고 있던 내한 가수 최다 동원 기록을 갱신했다. 2022년 서울종합운동장부지가 ABB FIA 포뮬러 E 월드 챔피언십의 마지막 개최지로 정해져 15, 16라운드를 열리게 되며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내부로 진입하여 주경기장 내 구간에 만들어진 임시 아스팔트 트랙을 지나 들어간 문으로 다시 나오는 코스가 있다. 이처럼 모터스포츠 경기에서 시가지 서킷의 경우 이따금씩 올림픽경기장 내부를 진입하는 코스가 있다.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 사무실이 입주한적이 있었다. 현재는 주경기장 리모델링으로 인해 모두 이전했다. === 리모델링 === [[국제교류복합지구]] 개발계획의 일원으로 2020년말까지 세부설계가 완료되고 2021년에 착공 예정이었으나 연기되었으며 2023년 상반기까지도 착공하지 못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국제교류복합지구#s-2.4.1|항목]] 참조. 2023년 상반기 착공을 목표로 했으나 공사 금액 확정 및 안전관리계획서 승인 등의 이유로 사업이 지속적으로 지연되고 있는 중이다. 서울시는 [[싸이]]의 [[흠뻑쇼]]를 마지막으로 2023년 8월 착공을 예상하고 있다.[[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44529#home|#]][[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8&aid=0003155162|#]] 2023년 8월 29일, '''드디어 리모델링이 착공되었다.'''[[https://n.news.naver.com/article/056/0011554987|#]] 공사 지연이 없다면 공기는 3년 4개월여로 2026년 12월 준공예정이다. 이에 따라 해당 경기장에서 실제 행사나 콘서트 개최가 다시 가능한 시점은 2027년 봄경으로 추산된다. 공사는 [[현대자동차그룹]]의 [[글로벌비즈니스센터]] 건설에 따른 기여금으로 진행되며, 이에 따라 시공 역시 현대차그룹 계열인 [[현대건설]]이 진행한다. 사업비는 4000억원 가량이 소요된다. 좌석수는 현재 7만여석에서 6만석으로 줄어들지만, 이에 따라 관객 이동이 편리해지고 좌석간 간격이 증가하는 이점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측에만 비치된 전광판도 1기 추가 설치하여 남측 북측 모두에 비치될 예정이라고 한다. 또한 2036년 하계 올림픽 유치를 목표로, 대한육상연맹 자문을 받아 국제적 규모의 육상경기를 개최할 수 있도록 육상트랙을 개선하며, 동시에 구조체를 제외한 시설 전체의 컨디션을 올림픽 재개최가 가능한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 리모델링의 최종 목표라고 한다. [[https://www.hankyung.com/realestate/article/2023082987271|#]] === 홈 구단 === ==== [[서울 이랜드 FC]] ==== 2014년 창단, 2015년부터 활용. 서울 동남권 연고. 서울 이랜드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될때는 레울 파크라는 명칭으로 사용되며,[* 레울파크라는 명칭은 2022년부터 2024년까지 서울 이랜드가 홈경기장으로 쓰는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에도 사용된다.] 서울 이랜드 FC의 홈 경기가 열릴 때는 '''5,216명'''을 수용할 수 있는 축구전용구장으로 바뀐다. 좌석은 모두 [[가변석]]으로 채워지며 기존 좌석은 사용하지 않지만 관객이 원한다면 앉을 수 있다.[* 특히 [[가변석]]은 비를 전혀 막아 주지 못하기 때문에 우천시 사용된다. 2017년 3월 12일 경기는 [[가변석]] 매진(SOLD OUT)으로 인해 남측 일반석을 [[가변석]] 대체좌석으로 활용하였다.] || [[파일:1427932909819_original.jpg|width=500]] || ||2015년 3월 29일 [[FC 안양]]과의 홈 개막전에 첫선을 보인 [[가변석]] 전경. || 원정석과 홈 관중석이 붙어있어서 이 점에 대해 우려하는 팬들도 많은데[* [[K리그 클래식]]도 그렇지만 [[K리그 챌린지]] 역시 안양, 부천 등 강성 서포터들로 유명한 팀이 있는 리그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 서울 이랜드 프런트는 우리에게는 5만석 이상의 좌석이 남아있다고 답했다. 팬들 평가는 제법 만족스러운 편. 제일 가까이서 선수들의 대화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고,현장감도 느낄 수가 있는데다 중계방송상에서도 꽉 차보이는 느낌 덕택에 평가가 좋다. 단 경기장 사정상 [[가변석]]에는 지붕이 없기 때문에 4월부터 뜨거운 햇빛에 의한 직사광선을 그대로 받아 피부가 타고, [[가변석]]의 구조상 철제일 수 밖에 없어서 햇빛의 열을 그대로 받은 관중석이 뜨거워져 일부 팬들에게서 '''운동화 밑창이 녹아내렸다'''라는 클레임도 받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하다. [[서울 이랜드 FC]]의 홈 경기 때는 구장 출입구 방면의 육상 트랙에서 푸드트럭으로 각종 먹을거리들을 판매하고 있다. [[파일:n5zYe7c.png|width=500]] 2016년 시즌을 앞두고 원정석을 일반석으로 지정했다. [[가변석]]에 앉아보았던 팬들의 의견은 만족스러운 편이다. 거리가 매우 가까워 선수들의 대화도 들릴 정도고, 양사이드를 달리는 서울E 선수들은 전폭적인 응원을 상대쪽 선수들은 무지막지한 야유를 들으면서 플레이하게 된다. 만약 [[가변석]] 앞에서 서울E 선수들이 태클이라도 당하는 날에는 엄청난 야유가 퍼부어진다.[* 카드라도 받는 날에는 심판도 예외가 아니다.] 다만 서포터를 따로 만들지 않고 모든 팬들이 함께 응원하는 문화를 제창한 만큼 응원전에서는 원정온 서포터들과 상대팀 팬들에게 묻히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다. 경기가 끝나고 난 후에는 이기든 지든 선수들과 감독이 [[가변석]] 앞까지 와 감사의 인사를 전하는 이벤트가 있었다. 승리한 날에는 신난 선수들이 악수를 해주거나 유니폼을 건네는 경우도 있다. 2019시즌에는 서울에서 개최가 예정된 제100회 전국체전과 전국체전 개최 준비를 위한 대대적인 보수공사로 대부분의 홈경기를 주경기장에서 치르지 못하게 되었다. 이랜드측은 보조경기장을 쓰겠다고 하고 서울시측은 보조경기장도 같이 공사할 예정이라 어렵겠다고 서로 대립하고 있어 K리그2의 시즌 일정 발표에 차질을 빚었다. 결국 공사 기간 중에는 부득이하게 [[천안종합운동장]]에서 홈경기를 치르고 공사가 끝나는 8월에 주경기장으로 복귀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8월에 잠실로 복귀는 했으나 [[가변석]]은 짓지 않으면서 일반석을 사용하게 되었다. 그런데 2021년 2월 기사[[https://sports.news.naver.com/news.nhn?oid=056&aid=0010983241|#]]에 따르면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2025년 예정된 잠실 스포츠·MICE(기업회의·포상관광·컨벤션·전시) 사업으로 대대적인 리모델링 대상이 되어, [[서울 이랜드]]가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목동종합운동장]]을 홈으로 사용할 계획이라고 한다. 구단 관계자는 "다시 잠실로 돌아왔을땐 1부 리그에서 활약하고 있겠다."라는 말로 각오를 불태웠다. 리모델링전 K리그2 마지막경기는 2021년 [[K리그2]] 32라운드 [[경남 FC]]와의 경기다. 결과는 1:1 무승부. 그런데 [[목동종합운동장]] 주경기장의 잔디상태가 엉망이라 2022년 3월 27일에 열리는 K리그2 2022 7라운드 [[FC 안양]]과의 경기를 치르게 된다. ==== 과거 사용 구단 ==== *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서울 유나이티드]]: [[K3리그(2007~2019)|K3리그]] 참가 구단.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서울 유나이티드]]의 홈구장으로 사용했으나나, 대관료 문제로 2011년에 [[노원마들스타디움]]으로 이전, 한동안은 [[K리그]] 경기가 열리지 않는 구장이 되었다.[* 일각에서는 비용이 너무 비싸다는 이야기가 나오기도 했으나, 잠실운동장의 대관료는 오래 전에 조례로 정해진 것이다 보니 실제로는 다른 구장들에 비해 저렴한 편이다. 주경기장의 주말 야간 체육행사 (아마추어) 기준으로 기본료가 80만원 수준인데, [[상암월드컵경기장]]이 아마추어 기준 대관료가 [[https://www.sisul.or.kr/open_content/worldcup/guidance/mainst.jsp|102만원]]이며, 수도권에서 새로 지어진 경기장 중 [[안산와~스타디움]]의 경우 동일 기준으로 240만원이다. 어디까지나 [[K3리그]]에 참가하는 서울 유나이티드에게 부담스러운 액수이고 서울의 다른 경기장이 더 저렴하기 때문에 옮겨다니는 것일 뿐이다.] * [[연고전|연고전/고연전 활용]]: 2014년까지 활용.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2018년 추가 활용. * [[FC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잔디 공사 때문에 2021년 파이널 라운드 그룹B 홈경기를 서울올림픽주경기장에서 치렀다. 따라서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의 리모델링 전 마지막 공식경기는 원래 홈구단인 서울 이랜드 FC의 K리그2가 아니라 FC 서울의 K리그1 파이널 라운드가 되었다. 이후 리모델링전 마지막 경기는 K리그1 2021 37라운드 FC 서울 대 강원 FC였다.[* 서울과 [[강원 FC|강원]]이 비기면서 서울은 잔류 확정했고 서울의 마지막 경기가 [[포항 스틸러스|포항]] 원정이다.] *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2022년 6월 9일에 홈으로 사용했다. === 역대 공연 및 행사 === 서울올림픽주경기장 공연은 한국에서 할 수 있는 최대 규모의 공연으로 인정 받고, 여기를 만원 관중으로 채울 수 있는 가수라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인정하는 인기 가수로 인정 받을 수 있다. 의외로 한국 아티스트의 단독 공연은 1999년 그룹 HOT가 최초였는데, 이는 '''당시 한국 가수는 아무리 인기가 많더라도 합동 콘서트가 아니라면 주경기장에서 단독 공연을 할 수 없다는 방침 때문이었다. 즉, HOT 이전에는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단독 공연은 오로지 외국인만 가능했었다.'''[[https://biz.chosun.com/entertainment/enter_general/2022/08/11/JWKLLHLMSIF37H225H75UAT6X4/|#]] 당시 사회적 분위기는 가수들과 그에 열광하는 팬들에게 긍정적이지 못했고, 외국가수가 한국에 돈을 내고 주경기장을 빌리는거야 외화벌이라도 되고[* 해외 유명 가수에 대한 체면 문제도 있었을 것이다.], 한국가수가 주경기장을 무리해서 빌리면 그건 나라에 부담이 가는 채무고, 사람들이 가수들 공연 보러 가는걸 시간 낭비라고 보는 시선이 강했기에 굳이 한국가수에게 적극적으로 허가를 내줄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던 것이다. 분명 서태지와 아이들의 경우, 전성기 시절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여러번 채우고도 남았을 거대한 팬덤을 보유했었지만, '증빙 자료'가 없다는 이유로 공연을 하지 못했다. 어떻게 보면 당시 권위주의와 관료주의가 얼마나 강했었는지 보여주는 사례. 결국 전성기가 한참 지난 2014년이 되어서야 주경기장에서 단독 공연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 이는 조용필 같은 다른 인기 가수들도 마찬가지였다. 참고로 1999년 공연 당시 HOT가 냈었던 '증빙 자료'는 인터넷 팬클럽의 규모였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인해 일반인인 팬들도 한국가수들의 인기를 정량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된 점이 최초의 주경기장 한국가수 공연을 만든 것이다. (물론 그 이전에 주경기장에서 공연한 외국인이라고 해봐야 스티비 원더와 마이클 잭슨이 끝이었다. 스티비 원더는 그마저도 최대 수용인원에 한참 못 미치는 10000명이라는 저조한 관중 동원을 기록했다.)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잠실주경기장_에쵸티.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잠실주경기장_에쵸티2.jpg|width=100%]]}}} || ||<-2> '''{{{#FFFFFF 국내 가수로서는 사상 최초로 단독 콘서트를 연 H.O.T.[* 1999년 당시 25만명에 달하던 공식 유료 팬클럽 [[Club H.O.T.]] 팬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곳이 서울올림픽주경기장 말고는 없었기 때문에 [[H.O.T.]] 정규 4집 [[I Yah!]] 컴백을 앞둔 소속사 [[SM엔터테인먼트]] 측은 주경기장에서 [[1999 LIVE IN SEOUL|컴백 콘서트]]를 계획했지만 한국 가수는 이 곳을 쓸 수 없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한다. [[스티비 원더]], [[마이클 잭슨]] 같은 해외 팝스타들이나 [[드림콘서트]] 같은 합동 콘서트 개최만이 가능한 정도였다. 이런 상황 속에서도 수차례 서울시에 자료를 보내고 무려 2년간 설득 끝에 허락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또한 티켓팅에 실패해 주경기장 안에 들어오지 못한 팬들은 밖에 전광판을 설치해 봤을 정도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dEpmRb6F-8A|관련영상]]][br](사진은 2018년)}}}'''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날짜''' || '''구분''' || '''이름''' || ||<-3>'''1995년''' || ||9월 15일~16일 || 콘서트 ||[[스티비 원더]] - 내한 공연 || ||<-3>'''1996년''' || ||10월 11일, 13일 || 콘서트 ||[[마이클 잭슨]] - [[마이클 잭슨/콘서트#s-3.1.3|HIStory World Tour]] || ||<-3>'''1999년''' || ||6월 25일 || 콘서트 ||[[마이클 잭슨]] - [[마이클 잭슨/콘서트#s-3.2.2|MJ & Friends]][* 1999년 6월 25일 마이클 잭슨의 단독 콘서트가 아닌 세계전쟁희생자와 불우어린이를 돕는 자선공연인 '마이클 잭슨과 친구들' 콘서트가 열렸고, 이날 거의 대부분의 관객들이 엔딩 공연을 펼친 [[H.O.T.]] 팬들이었다. 여담으론 마이클 잭슨이 아닌 H.O.T.가 엔딩을 맡게 된 이유도 이 때문으로 마이클 잭슨이 직접 H.O.T.가 엔딩 공연을 하도록 요청했다고 한다. 그리고 3개월 후에 국내가수로는 사상 처음으로 H.O.T.의 단독 콘서트가 주경기장에 열렸다.] || ||9월 19일 || 콘서트 ||[[H.O.T.]] - [[1999 LIVE IN SEOUL]][* 국내 가수 최초] || ||<-3>'''2000년''' || ||5월 14일 || 팬미팅 ||[[H.O.T.]] - Club H.O.T. 제4기 창단식[* 국내가수 최초 잠실주경기장 단독 팬미팅] || ||<-3>'''2001년''' || ||2월 27일 || 콘서트 ||[[H.O.T.]] - [[2001 H.O.T. LIVE CONCERT - H.O.T. FOREVER|H.O.T. FOREVER]] || ||4월 5일 || 콘서트 ||[[god(아이돌)|god]] - 다섯 남자 이야기 || ||10월 28일 || 팬미팅 ||[[신화(아이돌)|신화]] - 신화창조 5기 팬미팅 || ||<-3>'''2002년''' || ||3월 28일 || 콘서트 ||[[로저 워터스]] - 내한 공연 || ||3월 31일 || 팬미팅 ||[[jtL]] - From jtL 1기 팬미팅 || ||10월 13일 || 팬미팅 ||[[god(아이돌)|god]] - fangod 3기 팬미팅 || ||<-3>'''2003년''' || ||4월 18일~20일 || 콘서트 ||[[신화]] - The Everlasting Mythlolgy || ||8월 30일 || 콘서트 ||[[조용필]] - The History || ||<-3>'''2004년''' || ||9월 17일 || 콘서트 ||[[엘튼 존]] - 내한 공연 || ||<-3>'''2005년''' || ||6월 5일 || 콘서트 ||[[신화(아이돌)|신화]] - Tropical Summer Story Festival || ||9월 10일 || 쇼케이스 ||[[동방신기]] - Rising Sun 쇼케이스 || ||9월 30일 || 콘서트 ||[[조용필]] - PIL & PEACE || ||<-3>'''2006년''' || ||8월 15일 || 콘서트 ||[[메탈리카]] - 내한 공연 || ||9월 30일 || 쇼케이스 ||[[동방신기]] - The 3rd Album "O"-正.反.合. 쇼케이스 || ||<-3>'''2007년''' || ||5월 12일 || 콘서트 ||[[이승환]] - Hwantastic || ||<-3>'''2008년''' || ||5월 26일 || 콘서트 ||[[조용필]] - THE HISTORY 킬리만자로의 표범 || ||<-3>'''2009년''' || ||8월 29일 || 콘서트 ||[[조용필]] - 조용필 평화기원 희망콘서트 || ||<-3>'''2010년''' || ||5월 28일~29일 || 콘서트 ||[[조용필]] - Love in Love || ||6월 5일 || 콘서트 ||[[이승철]] - 이승철의 오케스트 락 || ||11월 27일~28일 || 콘서트 ||[[JYJ]] - [[JYJ Worldwide Concert in Seoul]] || ||<-3>'''2012년''' || ||4월 27일 || 콘서트 ||[[레이디 가가]] - Born This Way Ball || ||8월 3일 ~ 4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MF KOREA || ||<-3>'''2013년''' || ||6월 1일 || 콘서트 ||[[이문세]] - 대한민국 이문세-Thank You || ||6월 14일~15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3>'''2014년''' || ||6월 13일~14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8월 9일 || 콘서트 ||[[JYJ]] - [[2014 JYJ ASIA TOUR CONCERT THE RETURN OF THE KING]] || ||9월 2일 || 콘서트 ||[[서태지]] - Christmalowin || ||10월 25일 || 콘서트 ||[[god(아이돌)|god]] - 데뷔 15주년 기념 전국투어 앙코르 콘서트 || ||<-3>'''2015년''' || ||5월 2일 || 콘서트 ||[[폴 매카트니]] -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20 폴 매카트니]] || ||6월 12일~13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3>'''2016년''' || ||6월 10일~12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3>'''2017년''' || ||4월 15일~16일 || 콘서트 ||[[콜드플레이]] -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22 콜드플레이]] || ||5월 13일~14일 || 페스티벌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 - World DJ Festival || ||5월 27일~28일 || 콘서트 ||[[EXO]] - EXO PLANET #3 - The EXO'rDIUM[dot] 앙코르 콘서트 || ||6월 10일~11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9월 2일 || 콘서트 ||[[서태지]] - 롯데카드 무브:사운드트랙 vol.2 서태지 25 TIME:TRAVELER || ||<-3>'''2018년''' || ||5월 12일 || 콘서트 ||[[조용필]] - 조용필 50주년 콘서트 Thanks to you || ||5월 26일~27일 || 페스티벌 ||[[월드 디제이 페스티벌]] - World DJ Festival || ||6월 8일~10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8월 25일~26일 || 콘서트 ||[[방탄소년단]] - World Tour: Love Yourself || ||10월 13일~14일 || 콘서트 ||[[H.O.T.]] - [[2018 Forever High-five Of Teenagers Concert]] || ||<-3>'''2019년''' || ||10월 26일~27일, 29일 || 콘서트 ||[[방탄소년단]] - [[LOVE YOURSELF: SPEAK YOURSELF]] || ||<-3>'''2021년''' || ||10월 24일 || 콘서트 ||[[방탄소년단]] -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s-4|PERMISSION TO DANCE ON STAGE (ONLINE)]][*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온라인 스트리밍으로 진행됨] || ||<-3>'''2022년''' || ||3월 10일, 12일~13일 || 콘서트 ||[[방탄소년단]] - [[BTS PERMISSION TO DANCE ON STAGE]] || ||7월 15일~17일 || 콘서트 ||[[싸이]] - [[싸이/콘서트#s-1.17|싸이 흠뻑쇼 - Summer Swag 2022]] || ||9월 8일~9일 || 콘서트 ||[[NCT DREAM]] - [[THE DREAM SHOW2 : In A DREAM]] || ||9월 17일~18일 || 콘서트 ||[[아이유]] - [[The Golden Hour : 오렌지 태양 아래]][* 국내 여자가수 최초] || ||9월 24일 ~ 25일 || 페스티벌 ||[[울트라 코리아]] - ULTRA KOREA || ||10월 22일~23일 || 콘서트 ||[[NCT 127]] - [[NEO CITY - THE LINK#s-7|NEO CITY : SEOUL - THE LINK +]] || ||10월 28일 ~ 30일 || 페스티벌 ||[[스트라이크 뮤직페스티벌]] - Strike Music Festival || ||<-3>'''2023년''' || ||4월 22일~23일 || 페스티벌 ||2023 LOVESOME || ||5월 13일 || 콘서트 ||[[조용필]] - 2023 조용필과 위대한 탄생 55주년 콘서트[* 8번째 주경기장 공연. 역대 최다.] || ||6월 17일~18일 || 콘서트 ||[[브루노 마스]] - [[현대카드 슈퍼콘서트 27 브루노 마스]] || ||6월 30일~7월 2일 || 콘서트 ||[[싸이]] - [[싸이/콘서트#s-1.19|싸이 흠뻑쇼 - Summer Swag 2023]] || ||<-3>'''2023년 8월~ / 리모델링 공사로 사용불가''' || }}} === 성화대 === [[파일:attachment/Save0900.jpg]] [[1989년]] [[1월 15일]]에 찍힌 성화대. 지금도 E석-S석 사이에 현존하며 전광판은 [[2000년대]] 초반에 현재의 전광판으로 교체되었다. [[파일:external/img.seoul.co.kr/SSI_20120727160635_V.jpg]] 사실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을 건설할 때 성화대는 없었다. 1977년 종합운동장 설계도를 공개모집을 했을 때 건축가 [[김수근]]의 것이 최우수작으로 선정되었었는데, 이때 김수근은 종합운동장이면 당연히 성화대가 있어야 된다며, [[선견지명|훗날 여기서 올림픽 유치할지 어떻게 아느냐]]고 했다. 그러나 당시 전문가들은 돈도 없는 상황에서 올림픽 유치는 전혀 현실성이 떨어지고 돈을 조금이라도 아끼기 위해선 성화대를 만들 수 없다며 결국 성화대 없이 경기장을 건설했다. [[파일:external/photo.jtbc.joins.com/20140918113301269.jpg]] 그런데 '''4년 후인 1981년 9월 30일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독일 바덴바덴 IOC 총회에서 1988년 올림픽 개최지로 서울이 확정됐다.]]''' 결국 부랴부랴 성화대를 만들게 되는데 [[1986 서울 아시안 게임]]을 앞두고 그라운드 한쪽 구석에 높이 9m 짜리의 검정색 기둥 성화대를 하나 덩그라니 만들었다. 아시아경기대회가 끝나고 기존 성화대는 철거되었으며 이후 30억을 들여 올림픽용 성화대를 다시 만들었다. 이것도 원래 예상금액은 23억원이었다. [[1988년 서울 올림픽]] 개막식 당시의 성화 점화 방식은 상당히 신선한 충격을 줬다. 이전까지 올림픽 개막식의 성화 점화는 모두 최종 점화자가 계단으로 성화대 근처까지 뛰어가서 성화봉의 불을 성화대에 직접 붙이는 형태였지만 서울올림픽 개막식 때는 3명의 점화자가[* 당시 마라톤 선수였던 김원탁 씨, [[가거도]]의 학교 분교 선생님이던 정선만 씨, 현대무용 꿈나무였던 서울예고 재학생 손미정 씨가 최종 점화자로 낙점됐는데 복수의 사람이 성화를 함께 점화한 것도 서울올림픽이 최초였다.] 수직 승강기를 타고 올라가서 성화를 점화했다. 이후부터 올림픽 개막식의 성화 점화 방식은 매 대회마다 기상천외한 방식으로 진화하게 된다.[* 당장 다음 대회인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는 장애인 양궁선수가 성화대를 향해 불 붙은 화살을 쏘면서 성화를 점화했다.] 관중석에서 볼 때 성화대와 국기 게양대 때문에, 시야가 가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본부석 반대편 관중석은 성화대 인근 자리가 아닌 곳도 성화대 때문에 전광판이 가려진다. 서울 이랜드 FC의 [[가변석]]은 성화대의 좌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야가 가리는 문제는 없다. 성화대 주변에 푸드 트럭이 있기 때문에 서울E팬들에게는 친숙한 장소다. 리모델링이 계획되어있기 때문에 아마 새로 옮겨질 가능성이 크다. == 교통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문단=6)] == 여담 == 경기장 개장 당시 이를 기념한답시고 그 다음날인 1984년 9월 30일 일본과 축구 [[한일전]]을 벌였는데 하필이면 이 경기를 2:1로 패했다. 일본한테는 이 승리가 상당한 의미가 있는 게 일본이 한국 원정에서 거둔 최초의 원정 승리가 바로 이 경기였다. 때문에 국내에서 그 충격은 상당했는데 다음 날 신문들은 거진 참패라고 기록할 정도였다. 당시 찾아온 관객들의 야유와 비난도 엄청났다고 한다. 애니메이션 [[달려라 하니]] 3화, 5화, 7화에서 단거리 육상 대회 장소로, 마지막회에서 하니의 마라톤 출발 지점으로 나온다. 하니가 출전한 마라톤 대회는 서울국제마라톤으로 해설자가 언급한다. 다만 달려라 하니가 방영된 1988년의 서울국제마라톤은 한강변 코스에서 개최되었으며, 지금은 서울국제마라톤 풀코스와 JTBC 마라톤 풀코스/10㎞ 코스의 골인지점으로 활용되고 있다. [[마루치 아라치]] TV판인 태권동자 마루치에서도 나오는데 외계인들이 자기 기술 뽐내고자 이 경기장을 헐어서 그것도 바닥만 남겨두고 벽체만 따로 빼내서 하늘에 띄운다. 그래놓곤, 깨끗하게 원상복귀시킨다. 사실, 외계인들도 나쁜 게 아니라 악역인 팔라팔라에게 속아서 지구로 쳐들어온 거였고 모든 오해가 풀리자 사죄하고 지구를 떠나버린다. [[파일:fifa98 - Seoul Main Stadium.jpg]] 1997년 발매된 EA스포츠의 축구 게임 [[FIFA: Road to World Cup 98|FIFA 98]]에서 세계 각국 경기장들과 함께 이 경기장이 등장한다. 하지만 성화대는 나오지 않고 육상트랙, 2층 전광판은 완벽하게 구현되지 않았다. 1999년 개봉한 영화 [[쉬리]]의 촬영장소이기도 했다. 1998년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프랑스 월드컵]]을 앞두고 열린 대한민국 vs 중국 전[* 이 경기에서 [[황선홍]]이 중국의 [[쿵후축구]]에 제대로 당해 프랑스 월드컵 본선 무대를 단 1초도 밟지 못했다.]에서 제작진과 한석규가 몰래 입장해 촬영했으며 나머지 장면은 따로 촬영했다. 2005년 5월 15일, [[창가학회]]는 잠실종합운동장 올림픽 주경기장에서 2005 나라사랑대축제를 개최했다. 가수 인순이, 주얼리, 김덕수 사물놀이 패 등이 참여했다.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이 끝난 이후 정부가 [[2032 브리즈번 올림픽|2032년 하계 올림픽]]을 [[북한]]과 공동 유치하겠다고 나서면서, 이 경기장이 다시 올림픽 경기장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제기됐으나 올림픽 유치가 무산되면서 그럴 일은 없게 됐다. 무엇보다 공동 개최 파트너로 거론되던 북한이 여전히 [[대북제재|국제적인 경제 제재]]를 받고 있었고[* 그런데 아이러니하게도 과거 북한에선 이 건물을 견제한답시고 [[능라도 경기장|새로운 종합운동장]]을 지어놨는데, 지어놓고 나선 지금까지 국제 [[스포츠]] 대회에 쓴 일이 없다는 웃픈 얘기가 있다.] 이후 남북관계도 경색 국면을 맞으면서 올림픽 유치 논의는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으나, 재당선된 [[오세훈]] 서울시장이 [[2036 올림픽]] 유치를 준비하기로 하면서 다시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쓰이게 될 가능성이 생기게 되었다. 다만 서울시내는 물론이고 국내 모든 경기장을 통틀어도 이곳보다 더 큰 종합경기장은 없고, 이미 올림픽을 한 차례 치렀던 곳이라는 상징적 의미를 고려한다면 올림픽 경기장으로 활용될 가치는 있다. 해외 사례를 보면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세움]]이 올림픽 사상 유일하게 두 번이나 올림픽 주경기장으로 사용된 기록이 있다.[*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는 육상 경기와 폐회식장으로 사용될 예정이어서 무려 세 번이나 올림픽 경기장으로 사용되는 역사를 쓰게 된다.] 경기장 주변에는 서울올림픽을 기념하는 각종 조형물들이 세워져 있다. 또한 서울시 차원에서 운영하는 '서울올림픽 전시관'도 있다. 콜렉션 수준은 송파구 올림픽 공원에 위치하는, 대한체육회에서 운영하는 '서울 올림픽 기념관'보다 한수 아래. 2023년 1월 폐관했다. 애니메이션 [[바이클론즈]]에서도 서울올림픽주경기장이 등장한다. 2022년 8월 ABB FIA 포뮬러E 챔피언십 2022 서울 E-Prix를 개최했다. 2023년 9월 18일,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재건축에 따른 [[두산 베어스]], [[LG 트윈스]]의 대체구장으로 거론된 것이 알려졌다. 두 야구단의 최우선 선호안이나 서울시는 추가 리모델링 공사에 따른 건물 안전 문제, 인근 대규모 공사로 인한 관람객 출입 안전 문제 등을 들어 난색을 표하고 있다. == 둘러보기 == ||||||||||<#FFFFFF,#191919>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35&theme=light]][[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width=35&theme=dark]] {{{#000,#e6e6e6 '''역대 [[올림픽|{{{#000,#e6e6e6 하계올림픽}}}]] 주경기장'''}}} [[파일:external/pixabay.com/olive-30264_960_720.png|width=25]] ,,{{{#000,#e6e6e6 '''(Citius, Altius, Fortius)'''}}},,|| ||<:> 23회 ||<:><|2> {{{+1 → }}} ||<:> 24회 ||<:><|2>{{{+1 → }}} ||<:> 25회 || ||<:> [[1984 LA 올림픽]] [br] [[로스앤젤레스 메모리얼 콜리시엄]] ||<:><#DCDCDC,#333b40> '''[[1988 서울 올림픽]]''' [br] {{{#000,#e6e6e6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br] [[에스타디 올림픽 데 몬주익]] || ||||||||||<#FFFFFF,#191919>
<:>[[파일:오륜기(여백X).svg|width=35&theme=light]][[파일:오륜기(여백X)_흰색.svg|width=35&theme=dark]] '''역대 [[올림픽|{{{#000,#e6e6e6 하계올림픽}}}]] 남자축구 결승전 개최 경기장''' ⚽️ ,,'''(Citius, Altius, Fortius)''',,|| ||<:> 23회 ||<:><|2> {{{+1 → }}} ||<:> 24회 ||<:><|2>{{{+1 → }}} ||<:> 25회 || ||<:> [[1984 LA 올림픽]][br][[로즈 볼]] ||<:><#DCDCDC,#333b40> '''1988 서울 올림픽[br]서울올림픽주경기장''' ||<:>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br][[캄 노우]] || ||||||||||<#FFFFFF,#191919>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width=35]] '''역대 하계 아시안 게임 개폐회식장''' || ||<:> 9회 ||<:> {{{+1 → }}} ||<:> 10회 ||<:> {{{+1 → }}} ||<:> 11회|| ||<:> [[1982 뉴델리 아시안 게임]] [br] [[자와할랄 네루 스타디움]] ||<:> {{{+1 → }}} ||<:><#DCDCDC,#333b40>'''[[1986 서울 아시안 게임]]''' [br] '''서울올림픽주경기장''' ||<:> {{{+1 → }}}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br] [[베이징 노동자 스포츠 센터]] || == 관련 문서 == * [[서울종합운동장]] * [[1988 서울 올림픽]] * [[서울 이랜드 FC]] [[분류:서울종합운동장]][[분류:다목적 경기장]][[분류:대한민국의 축구장]][[분류:대한민국의 공연장]][[분류:서울 노원 유나이티드 FC]][[분류:서울 이랜드 FC]][[분류:FC 서울]][[분류:서울시청 여자 축구단]][[분류:1984년 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