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include(틀:WK리그/유니폼)] [목차] [clearfix] == 2005 시즌 == || [[파일:박은선 서울시청 2005.jpg|width=100%]] || || [[파일:서울도쿄여자축구.jpg|width=100%]] || [[푸마]]에서 제작한 유니폼. 이때는 홈 유니폼이 노란색이었다. 사진은 '2005 서울국제여자축구대회'에서의 [[박은선]]. == 2006 시즌 == || [[파일:서울시청 2006.jpg|width=100%]] || [[KIKA]]에서 제작한 유니폼.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으로 포인트를 준 유니폼이다. == 2007~08 시즌 == || [[파일:서울시청 2008.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 2007.jpg|width=100%]] || [[호마#s-2|Joma]]에서 제작한 유니폼. 홈 유니폼은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원정 유니폼은 하늘색 바탕에 붉은색으로 포인트를 준 것이 특징이다. == 2009 시즌 == || [[파일:SK004_20090630_120101.jpg|width=100%]] || || [[파일:200905180438.jpg|width=100%]] || FINTA에서 제작한 유니폼.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 [[파일:서울시청2009원정.jpg|width=100%]] || 원정 유니폼은 하늘색 바탕에 붉은색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 [[파일:현대제철2009_홈.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09화이트.jpg|width=100%]] || 무슨 이유에서인지 위와 같은 수제(...) 유니폼을 착용한 사진도 발견된다. == 2010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0.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 2010 어웨이.jpg|width=100%]] || [[키카|KIKA]]에서 제작한 유니폼. 유니폼 중앙에 'HAECHI SEOUL' 로고가 들어갔다. 홈 유니폼은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원정 유니폼은 하늘색 바탕에 붉은색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 2011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1.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 2011.jpg|width=100%]] || FINTA에서 제작한 유니폼. 홈 유니폼은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원정 유니폼은 하늘색 바탕에 붉은색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 2012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2.jpg|width=100%]] || || [[파일:20131107121626455737.jpg|width=100%]] || FINTA 로고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홈 유니폼은 다시 붉은색 바탕에 노란색 포인트를 준 디자인으로 회귀했다. 원정 유니폼은 하늘색 바탕에 붉은색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 2013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3_홈.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13_어웨이.jpg|width=100%]] || [[FC 서울]]과의 협약으로 유니폼을 지원받게 되었다. [[FC 서울]]의 [[FC 서울/유니폼#s-6.1|2013시즌 유니폼]]과 디자인이 같다. == 2014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4_홈.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14_어웨이.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 2014 GK.jpg|width=100%]] || 유니폼 지원 협약으로 인해 [[FC 서울]]의 [[FC 서울/유니폼#s-6.3|2014시즌 유니폼]]과 디자인이 같다. == 2015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5.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 2015.jpg|width=100%]] || [[FC 서울]]과의 유니폼 지원 협약이 종료되었다. [[험멜|Hummel]]에서 유니폼을 제작하였다. 홈 유니폼은 빨강-검정, 원정 유니폼은 하늘-검정 조합으로 디자인되었다. 상의 하단에는 [[서울특별시]] 휘장이 새겨졌다. == 2016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6.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빨강-검정 조합에 금색으로 포인트를 주고 상의 하단에 [[서울특별시]] 휘장을 새겼다. [[전북 현대 모터스]]의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s-7.8|2014시즌 유니폼]]과 같은 템플릿이다. == 2017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7.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빨강-검정 조합에 흰색으로 포인트를 주고 상의 하단에 [[서울특별시]] 휘장을 새겼다. 옆구리 부분에도 [[험멜|Hummel]] 특유의 V자 문양이 새겨진 것이 특징이다. == 2018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8.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홈 유니폼은 빨강-검정 스트라이프 디자인에 금색으로 포인트를 주었다. ~~FC 서울..?~~ 사진은 2019년 WK리그 신인선수 선발 드래프트에서 1순위로 지명된 [[장창(축구선수)|장창]]. || [[파일:180917_0106.jpg|width=100%]] || 원정 유니폼은 짙은 파랑 색상으로 제작되었고, [[서울특별시]] 휘장이 새겨졌다. == 2019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19_홈.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19_어웨이.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얇아진 빨강-검정 스트라이프가 특징이다. 어웨이 유니폼은 [[인천 유나이티드]]의 [[인천 유나이티드 FC/유니폼#s-4.2|2016시즌 어웨이 유니폼]]과 똑같은 디자인이다. == 2020 시즌 == || [[파일:953ac7252000d8453cd009e29a20e125.pn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20.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20A.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홈 유니폼의 경우 기존의 붉은색 팀컬러에서 벗어나 한강을 연상시키는 청량한 하늘-파랑 스트라이프를 도입했다. 자세히 보면 홈 유니폼은 [[수원 FC]]의 [[수원 FC/유니폼#s-6.5|2019시즌 유니폼]]과 같은 템플릿인 것을 알 수 있다. == 2021 시즌 == || [[파일:166761891_4005353766175235_3804938775421125631_n.jpg|width=100%]] || [[파일:167115575_807284293206255_7529065783745691489_n.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21.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또 한 번 팀컬러가 바뀌었다. 남색 바탕에 적백청 무늬가 중앙을 가로지르는 디자인이다. == 2022 시즌 == || [[파일:서울시청2022_홈.jpg|width=100%]] || || [[파일:서울시청2022_어웨이.jpg|width=100%]] || [[험멜|Hummel]]에서 제작한 유니폼. 변경된 WK리그 로고와 두꺼워진 적백청 무늬를 제외하고는 전 시즌과 비슷한 디자인이다. == 2023 시즌 == || [[파일:6096b896a276d.jpg|width=100%]] || 홈 유니폼은 전 시즌 유니폼에 분홍색 포인트를 준 디자인이다. || [[파일:e532faa695c59.jpg|width=100%]] || 원정 유니폼은 분홍색 바탕에 적백청 무늬가 그려져 있는 디자인이다. [[분류:서울시청 여자 축구단]][[분류:유니폼/WK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