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본교와 이름이 같은 초등학교 목록, rd1=교동초등학교)] [[분류:서울형혁신학교]][[분류:종로구의 초등학교]][[분류:1894년 개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서울특별시 종로구의 초등학교)] ||<-2> '''{{{#white {{{+1 서울교동초등학교}}}[br]서울校洞初等學校[br]Seoul Kyodong Elementary School}}}''' || ||<-2> [[파일:서울교동초등학교 UI.png]] || ||<-2>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46, 너비=100%)] || || {{{#black '''개교'''}}} || '''[[1894년]] [[9월 18일]]'''[* 우리나라 최초로 설립된 초등학교이다.] || || {{{#black '''성별'''}}} || [[남녀공학]] || || {{{#black '''운영형태'''}}} || [[공립]] || || {{{#black '''교장'''}}} || 임인숙 || || {{{#black '''교훈'''}}} || '''튼튼하게 / 지혜롭게 / 쓸모있게''' || || {{{#black '''상징'''}}} || 교목: [[회양목]][br]교화: [[목련]] || || {{{#black '''교직원 수'''}}} || 21명[*기준 2023.03.01.] || || {{{#black '''학생 수'''}}} || 161명[*기준] || || {{{#black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중부교육지원청]] || || {{{#black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일대로]] 446 ([[경운동]]) || ||<-2> [[http://kyodong.sen.es.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http://www.schoolinfo.go.kr/ei/ss/Pneiss_b01_s0.do?HG_CD=B100002370|[[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학교알리미)^^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운동]]에 위치한 [[공립]] [[초등학교]]로 대한민국의 국공립 초등학교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곳이다. [include(틀:올해)] 기준 개교 [age(1894-03-01)]주년이다. [[도심 공동화]] 현상으로 인해 급격한 학생 수 감소를 겪어 오랫동안 폐교 또는 통폐합 논쟁을 겪고 있다. == 학교 연혁 == [[갑오개혁]] 시기인 1894년 9월 18일에 '''관립교동왕실학교''' 또는 '''관립교동소학교'''[* 교동초등학교 사이트 연혁이나 학교 앞의 비문에는 '소학교'였다고 나오나, 소학교령이 정식으로 발표된 것은 개교 이듬해인 1895년이라 정말 소학교였는지는 확실치 않다.]로 개교. 왕실 종친과 귀족 자제들을 대상으로 한 학교로 일반인 학생은 입학할 수 없었으나, 어쨌든 관립으로서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초등교육기관]]이었다.[* 조선에 있었던 모든 소학교 기준으로 보자면 [[강화도 조약]] 직후인 1877년 [[부산광역시|부산]] 일본인 거류지에 세워진 임시 일본인 학교가 1880년 일본 소학교 체제에 준하는 수제학교(修齊學校)로 개편되고 1888년 부산공립소학교(釜山共立小學校)로 변경된 것이 최초이다. 지금의 부산 [[광일초등학교]] 자리에 있었다.] 교동(校洞)이라는 이름은 인근에 [[고려]] 때의 [[향교]][* 지금의 [[낙원동]] 280번지.]가 있었기 때문에 향교동 또는 교동이란 지명으로 불린 데서 유래했으나 일제강점기 행정구역 통폐합으로 옛 지명이 되었다. 이듬해인 1895년 〈소학교령〉 공포 및 관립한성사범학교 설치로 인해 관립한성사범학교의 부속 소학교로 지정되어 일반인 입학생을 받기 시작했다. 이후 수 차례 교명 변경을 겪으면서도 오늘까지 근현대 초등교육의 산 역사로 남아 있다. 1963년에는 재학생 수가 5,320명에 이르는 과밀 학교였고, [[중학교]] 입시가 존재하던 1967년까지는 매년 수백 명의 졸업생을 당시 전국 최고의 중학교였던 [[경기고등학교|경기중학교]]/[[경기여자고등학교|경기여자중학교]]에 입학시키는 등 명문학교로 군림했다. 그러나 중학교 입시가 폐지된 후에는 도심의 급격한 인구 감소로 인해 100주년인 1994년에는 재학생 수가 600명 아래로 떨어져 이 시점에서 이미 미니학교로 전락했고, 2011년에는 마침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52&aid=0000342546|신입생 수가 9명]]으로 감소해 1자리수를 찍는 기염을 토했다. 이때 이후로 교동초등학교의 신입생 수가 몇 명인지를 보도하는 기사가 매년 항례로 나오기도 했으나, 다시 점점 신입생 수가 증가해 근년에는 20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전교생 수는 2017년까지만 해도 [[서울]] 시내에서 단연 최하위였으나, 100명대 초반까지 떨어진 이후로는 꾸준히 소폭 증가 또는 현상 유지를 해온 덕에 2018년에는 그래도 서울 최하위에서는 벗어났다.[* 2017년끼지 줄곧 교동초 다음 순위이던 [[동작구]] 소재 서울본동초등학교가 꾸준한 급락세에 따라 결국 2018년 서울 최하위를 기록했다.] * [[조선]] * 1894년([[고종황제|고종]] 31년) 9월 18일: '''관립교동왕실학교'''(또는 관립교동소학교)로 개교. * 1895년 5월: 〈[[소학교]]령〉 및 〈한성사범학교관제〉 의해 '''관립한성사범학교부속소학교'''로 지정. 심상과와 고등과를 설치. * [[대한제국]] * 1906년 9월: [[한국통감부|통감]] 정치 시기 〈[[보통학교]]령〉에 의해 '''관립교동보통학교'''로 개칭. * 1910년 4월: '''교동공립보통학교'''로 개칭. * [[일제강점기]] * 1938년 4월: 〈제3차 [[조선교육령]]〉에 의해 '''경성교동공립심상소학교'''로 개칭. * 1941년 4월: 〈[[국민학교]]령〉에 의해 '''경성교동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미군정]] * 1947년 10월: '''서울교동공립국민학교'''로 개칭. * [[대한민국]] * 1950년 6월: '''서울교동국민학교'''로 개칭. * 1996년 3월: '''서울교동초등학교'''로 개칭. * 2021년 3월: 중부교육지원청지정 영재교육원협력학교 * 2023년 3월: 중부교육지원청지정 영재교육원협력학교 == 학교 특징 == === 신입생 대책 === ||<-12> '''서울교동초등학교 연도별 신입생 인원''' || || '''연도''' || 2009 ||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23 || || '''인원''' || 15 || 12 || 9 || 12 || 15 || 21 || 21 || 27 || 28 || 29 || 32 || 당국에서는 2000년대 들어 꾸준히 [[폐교]] 또는 인근 초등학교와의 통폐합을 검토했으나, 학교 측, 졸업생 및 학부모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혀 왔다. [[종로구]] 등은 학교를 폐교하면 그 자리에 [[주차장]]이나 문화시설 등을 세워 활용할 계획이었던 반면, 반대 측은 우리나라 최초의 학교를 단순히 경제 논리만으로 없앨 수 없다는 입장. 다행히 [[조희연]] 교육감이 취임한 이후에는 교동초를 포함한 서울시 폐교 위기 학교 5개를 '''서울형 작은학교'''로 선정해 특별 지원하기로 하고 2017년 3월부터 시범 운영 중에 있는데, 이 정책의 성공 여부가 학교의 운명에도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인다. 홍보에 따르면 지원책 중 하나로 서울의 타 학구에 거주하더라도 부모의 직장이 학교 인근이면 자녀를 전·입학시킬 수 있게 한다는데, 이 덕분인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8951676|기사]]에 따르면 원래 2017년 취학 통지를 받은 취학예정자는 12명이었으나 예비소집일에 20여명이 몰렸다고 하며, 실제 신입생은 28명이 되었다. 그런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396688|2007년 기사]]를 보면 이때도 이미 재학생의 30%가 인근에 직장이 있는 부모를 따라온 아이들이라고 나오는데, 이미 이때나 그 이전부터 학생들을 이런 식으로 유치해 왔던 것으로 보이며,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4897941|2011년 기사]]에서도 학교장 허락으로 타 학군에서 입학이 가능하다고 나오는 걸 보면 이 부분은 작은 학교 정책과 상관없이 원래 가능했던 모양. == 학교 시설 ==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학교 일과 ===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하시기 바랍니다.|| ==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 === [[버스]] 노선 === || 종로사우나/낙원상가 || [[서울 버스 종로01]], [[서울 버스 종로02]] || [[마을버스]] 외에 직접 [[삼일대로|인접 도로]]를 지나는 [[시내버스]]는 없으나, 안국역 정류장 또는 창덕궁 정류장[* [[서울 버스 109]], [[서울 버스 151]], [[서울 버스 162]], [[서울 버스 171]], [[서울 버스 172]], [[서울 버스 272]], [[서울 버스 601]], [[서울 버스 710]], [[서울 버스 7025]]가 정차한다.]에서 내려서 걷는다면 500m 정도 거리이다. === 철도 === * 지하철: [[서울 지하철 3호선]] [[안국역]] 4번 출구,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 지하철 3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 [[종로3가역]] 5번 출구 == 출신 인물 == * [[강수연]]: [[배우]] * [[구봉서]]: [[코미디언]] * [[김기배]]: [[제12대 국회의원|제12]]·[[제13대 국회의원|13]]·[[제14대 국회의원|14]]·[[제16대 국회의원|16대]] [[국회의원]] * '''[[김두한]]''': [[조직폭력배]], [[제3대 국회의원|제3]]·[[제6대 국회의원|제6대]] [[국회의원]][* [[국회 오물 투척 사건]] 당시 본인이 직접 교동공립보통학교를 중퇴했다고 하지만, 관련 자료 부족으로 진위 여부는 불분명.] * [[김상협]]: 제16대 [[국무총리]] * [[김상홍]]: 전 [[삼양사|삼양그룹]] 회장 * [[김성수(주교)|김성수]]: 2대 [[서울교구장]], 초대 [[성공회 한국관구장|한국관구장]] * [[김수근]]: [[건축가]] * [[김순남]]: [[음악가]] * [[김영기(농구)|김영기]]: [[농구 관련 인물(한국)|농구인]], [[한국농구연맹]] 제3·8대 총재 * [[김영무]]: [[김앤장]] 대표 * [[김용완]] * [[김용준(법조인)|김용준]]: 제2대 [[헌법재판소 재판관|헌법재판소장]] * [[김원길]]: [[제14대 국회의원|제14]]·[[제15대 국회의원|15]]·[[제16대 국회의원|16대]] [[국회의원]], 제39대 [[보건복지부장관]] * [[김정호(가수)|김정호]]: [[가수]] * [[김택기]] * '''[[박미경]]''': [[가수]] * [[박신자]][* 졸업은 [[서울수송초등학교|서울수송국민학교]].]: [[농구 관련 인물(한국)|농구인]] * [[반상균]] * [[심훈]]: [[소설가]] * [[양현석]]: [[YG 엔터테인먼트]] 설립자. * [[오세응]]: [[제9대 국회의원|제9]]·[[제10대 국회의원|10]]·[[제11대 국회의원|11]]·[[제12대 국회의원|12]]·[[제14대 국회의원|14]]·[[제15대 국회의원|15대]] 국회의원 * [[유리(쿨)]]: [[가수]] * [[윤극영]]: 아동문학가 * [[윤보선]]: 제4대 [[대한민국 대통령|대통령]], 제2대 [[서울특별시장]] * [[윤석중]]: 아동문학가, [[독립운동가]] * [[윤시내]]: [[가수]] * [[윤치영]]: 초대 [[행정안전부장관|내무부 장관]], 제13대 [[서울특별시장]] * [[전용원]] * [[정명환]]: [[배우]] * [[정성근]]: [[언론인]], [[정치인]] * [[조남철]]: [[바둑기사]] * [[지청천]]: [[독립운동가]] * [[최병우]]: [[종군기자]] * [[최일구]]: [[언론인]] * [[최정호(디자이너)|최정호]]: 1세대 [[한글]] [[글꼴]] [[디자이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