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상위 문서, top1=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 [include(틀:서울과학기술대학교)] [include(틀:서울과학기술대학교의 단과대학)] [목차] == 소개 == || [[파일:st창융대.png|width=100%]] || >창의융합대학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주도할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교육 목적으로 두고 있으며, 정부의 미래인재 양성정책[* 인공지능, 바이오헬스 등 미래 첨단 21개 분야 등과 관련한 학과 신·증설을 통한 교육부의 인재 집중 양성 정책 추진[br](해당 분야: D.N.A.(Data, Network, AI) + BIG3(미래차, 바이오헬스, 시스템반도체) 등)]에 따라 2021년 신설된 인공지능응용학과(신입생 60명)와 2022년 신설 예정인 지능형반도체공학과, 미래에너지융합학과 등으로 이루어진 첨단 학문분야 중심의 단과대학이다. == 소속 학과 == === 인공지능응용학과 (2021년 신설) === 인공지능응용학과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 분야를 선도할 융합형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을 산업(Industry)과 연계시켜, 인공지능 전문가를 넘어 산업과 인공지능을 리딩할 수 있는 준비된 인재를 육성하는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다. 인공지능응용학과 학생들은 1, 2학년에 인공지능의 기초 및 핵심기술에 대해 학습하고 3학년부터 인공지능 모델 개발, 인공지능 서비스 기획 등 실제로 인공지능 지식을 바탕으로 제품과 서비스를 만들어 볼 수 있는 프로젝트 기반의 교육을 받는다. 또한 인공지능 이외에 학습자의 관심분야(소프트웨어, 기계, 로봇, 환경, 전자, 반도체, 바이오, 신소재, 디자인, 건축, 화학, 인문, 경영)를 복수 전공하도록 하여 인공지능을 응용할 수 있는 각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학과의 목표로 하고 있다. === 지능형반도체공학과 (2022년 신설) === 현대 사회는 4차 산업으로 인한 인공지능, 5G, IoT, 자율주행, 등 첨단산업분야에서 급격한 기술 패러다임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의 첨단적인 변화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는 것이 지능형반도체이다. 지능형반도체공학과는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지능형 서비스 구현을 위한 최첨단 인공지능소자, 시스템-인-패키징(System-in-Packaging), 특히 차세대 이종소자집적화(Heterogeneous Integration)를 다루며, 지능형반도체 분야의 설계 및 제조공정의 학문적 발전을 선도하고 차세대 반도체 산업의 수요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무 지향적 교육을 목표로 하고 있다. === 미래에너지융합학과 (2022년 신설)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미래에너지융합학과에서는 급변하는 에너지산업 환경 변화 속에서, 에너지 전환과 첨단 에너지 기술개발을 선도할 글로벌 융합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에너지 기술에 대한 공학적 전문지식과 사회과학적 소양과의 연계를 통해, 단순한 에너지 공학도를 넘어 에너지 부문을 선도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을 갖춘 융합형 공학인재를 육성하겠다는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부문 정착을 위한 첨단에너지(재생에너지, 수소, 에너지저장장치 등) 기술에 초점을 두어 미래 에너지산업을 선도할 수 있는 고급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최종적인 목표로 삼고 있다. 미래에너지융합학과 학생들은 1, 2학년에는 기본적인 에너지 시스템 분석 및 주요 에너지공학 이론에 대해 학습하고 3학년부터는 에너지 분야 융복합 지식을 바탕으로 에너지원별 공학기술 심화(첨단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기술), 에너지 서비스, 정책 및 전략 기획 등 다양한 실무형/프로젝트 기반의 교육을 받게 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서울과학기술대학교/학부, version=108)] [[분류:서울과학기술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