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 [[파일:제일여객 N75번.jpg|width=100%]] || [[파일:한남여객 N75번 전기.jpg|width=100%]] || || 제일여객 차량 || 한남여객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7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75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제일여객]](N75진관) 출발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진관공영차고지) ||<-2> 종점[* [[한남여객운수]](N75신림) 출발점] ||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서림동차고지) || ||<|2> 종점[br]행 || 첫차 || 23:30 ||<|2> 기점[br]행 || 첫차 || 23:30 || || 막차 || 03:30 || 막차 || 03:30 || ||<-2> 배차간격 ||<-4> 30~40분 (1일 8회) || ||<-2> 운수사명 ||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 / [[한남여객운수]] ||<-2> 인가대수 || 8대[* 회사별로 4대씩 배차.] || ||<-2> 노선 ||<-4> 진관공영차고지 - [[구파발역]].롯데몰 - [[연신내역]].로데오거리 - [[구산역]].예일여고 - 신사오거리.[[응암역]] - 응암오거리 - 명지대학교 - 모래내시장.[[가좌역]] - 동교동삼거리 -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 [[이대역]] - [[아현역]] - [[서대문역]] - 광화문 - 시청앞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숙대입구역]] - [[녹사평역]] - 용산구청.크라운호텔 - {{{#aaa 반포대교}}} - 고속터미널 - [[반포역]] - [[논현역]] - [[신논현역]] - [[강남역]] - [[교대역(서울)|교대역]] - 남부터미널 - 성뒤마을.교육연수원 - 예술인마을 - 낙성대입구 - [[서울대입구역]] - [[봉천역]] - [[신림역]] - 서림동차고지 || == 개요 ==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과 [[한남여객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85.9km다.[[https://m.map.naver.com/bus/lane.naver?busID=11036973|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22년 4월 18일에 신설되었다. [[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71603|#]] * 한남여객은 [[서울 버스 506|506번]] 2대, [[서울 버스 5516|5516번]] 1대, [[중부운수]]에서 1대 차출했고[* 차량 1대를 말소한 뒤 새로이 면허를 전환하여 신차를 출고하는 형태로 차출하였다.], 제일여객은 [[서울 버스 720|720번]], [[서울 버스 7211|7211번]] 각각 2대씩 차출했다. == 특징 == * 현존하는 심야버스들 중에서 굴곡이 가장 심하다.[* 이는 은평구, 서대문구 지역에서의 도심지역 이동 수요와 N61번의 강남 - 신림 구간의 승차량 분산이 동시에 반영된 결과이다.] * N40번의 노선조정 이후 오랜만에 고속터미널을 경유하는 심야버스 노선이다. * 사당역에서 평일 한정으로 24시간 운행하는 [[수원 버스 7770|7770번]]과 연계된다. 단, 이 노선도 [[서울 버스 N61|N61번]]처럼 남부순환로상에서 좀 걸어가야 한다. * 동축로로 입출차하는 [[서울 버스 7734|7734번]]을 제외한 다른 진관공영차고지 착발 노선과 달리 차고지 출차 후 동산동능모퉁이.한국지역난방공사,,(서울시 ID 35-160, 경기도 ID 19-291),, 정류소에 정차하지 않는다. 정황 상 서울시 측이 여기에 추가정차시킬 계획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고양시와 협의 흔적 자체가 없기 때문.([[:파일:N75노선 동산동능모퉁이 무정차 관련 답변(담당자 이름 삭제).png|관련 민원 답변]]) * [[서울 버스 401|401번]][* 용산구청~논현역 구간], [[서울 버스 421|421번]][* 숭례문~녹사평역 구간], [[서울 버스 571|571번]][* 연신내역~새절역 구간], [[서울 버스 721|721번]][* 가재울뉴타운~광화문 구간], [[서울 버스 753|753번]][* 연신내역~새절역 구간], [[서울 버스 761|761번]][* 진관공영차고지~구산역], [[서울 버스 5413|5413번]][* 신림역~성뒤마을 구간], [[서울 버스 5516|5516번]][* 서림동종점~신림역 구간], [[서울 버스 7611|7611번]][* 새절역~아현역 구간]이 조합된 노선이다. * 심야시간대 고속터미널의 구세주나 다름없다. 특히 강북 쪽으로 갈 때 매우 유용한데, 142번 막차가 끊기면 이 노선을 타고 서울역으로 가서 N15번이나 N16번으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으며, 강남 또는 강동, 송파로 갈 땐 이 노선을 타고 강남역에서 N13번, N34번, N61번을 타면 된다. 하지만 강남 방향의 경우 앞문이 열리지 못할 정도로 만차 상태가 되어 오는 경우가 잦으니 주의. == 연계 철도역 ==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서울)|시청역]], '''[[서울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이대역]], [[아현역]], [[충정로역]], 시청역, [[강남역]], [[교대역(서울)|교대역]], [[방배역]], [[사당역]], [[낙성대역]], '''[[서울대입구역]]''', [[봉천역]], [[신림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구파발역]]''', [[연신내역]], [[고속터미널역]], 교대역, [[남부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사당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충정로역, [[서대문역]], [[광화문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역, [[구산역]], '''[[응암역]]''', 삼각지역, [[녹사평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반포역]], [[논현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 '''[[신논현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가좌역]],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논현역, 신논현역, 강남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신림역, [[서원역]], [[서울대벤처타운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분류:2022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