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 [[파일:n72_220418.jpg|width=100%]] || || 보광교통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72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N72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유성운수]], [[보광교통]](N72은평) 출발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은평공영차고지) ||<-2> 종점[* [[북부운수]](N72중랑) 출발점]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동(중랑공영차고지) || ||<|2> 종점[br]행 || 첫차 || 23:30 ||<|2> 기점[br]행 || 첫차 || 23:30 || || 막차 || 03:45 || 막차 || 03:45 || ||<-2> 배차간격 ||<-4> 20~45분 (1일 9회) || ||<-2> 운수사명 || [[유성운수]] / [[보광교통]] / [[북부운수]] ||<-2> 인가대수 || 9대[* 유성운수 2대 / 보광교통 3대 / 북부운수 4대] || ||<-2> 노선 ||<-4> 은평공영차고지 - DMC첨단산업센터 - 누리꿈스퀘어.MBC - 상암DMC홍보관.YTN - 마포농수산물시장 - [[마포구청]] - 망원시장 - [[합정역]] - [[홍대입구역]] - 신촌로터리 - 서강대학교 - [[대흥역]] - [[공덕역]] - [[효창공원앞역]] - [[녹사평역]] - [[이태원역]] - [[한강진역]].블루스퀘어 - 버티고개 - [[약수역]] - [[청구역]] - 신당동떡볶이타운 - [[동묘앞역]] - [[신설동역]] - [[제기동역]] - [[청량리역]] - 전농로터리 - 장안교 - [[사가정역]] - [[면목역]] - [[상봉역]] - [[망우역]] - [[양원역(중앙선)|양원역]] - [[신내역]] - [[중랑공영차고지]] || == 개요 == [[보광교통]], [[북부운수]], [[유성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0km다.[[https://m.map.naver.com/bus/lane.naver?busID=11036980|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22년 4월 18일에 신설됐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71603|#]] 470, 7017번에서 각각 1대, 7730번에서 2대씩 감차하여 투입했다. * 배차시간 준수 어려움을 이유로 2022년 5월 30일을 기해 기점 첫차시각은 23:10에서 23:30으로 늦춰지고 막차시각은 03:50에서 03:20으로 앞당겨졌으며, 운행횟수도 8회에서 6회로 감회되었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495676|관련 게시물]][* 은평차고지 출발 기준 23:30, 00:10, 01:00, 01:50, 02:35, 03:20 (6회)] * 2022년 12월 1일부터 '신설동역 - 청량리역 - 전농동로터리 - 사가정역 - 상봉역 - 양원역 - 중랑차고지' 구간이 연장되며 '종암초등학교앞' 기존 회차구간은 폐지되고 [[유성운수]]와 [[북부운수]]가 공동배차에 참여하고 [[다모아자동차]]가 철수한다.[[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57568|#]],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transit&no=560147&page=1|#]] == 특징 == * 심야버스가 없던 상암DMC와 망원동, 이태원, 양원지구, 전농동에 들어가는 첫 노선이다. * 서쪽 구간인 [[디지털미디어시티역|DMC역]]~[[동묘앞역]]은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과 선형이 거의 동일하여, 6호선 연선의 구세주 역할을 하고 있다. 다만, [[상수역]]과 [[광흥창역]] 대신 [[서울 버스 271|271번]], [[서울 버스 710|710번]] 경로를 따라 [[홍대입구역]]과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을 경유하고, 동교동삼거리에서 한강진역 구간은 [[서울 버스 110|110번]]과 경로가 동일하다. 동묘앞역 이후 구간은 [[서울 버스 2230|2230번]], [[서울 버스 262|262번]]의 구간이 일부 결합되어 심야버스 음영지역인 전농동, 장안동, 면목동, 망우동을 연계하고 있다. * 북부운수 노선 중 유일하게 2023년 3월 1일 이후에도 현금 승차가 가능한 노선이다. 애초에 심야버스는 예외로 두었기 때문이다. * 은평측 유성운수 차량은 2회차,3회차에 출발하고 중랑회차발 6회차,7회차에 출발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4>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72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비고 || || 2022년 || 523명 || - || [* 개통일인 4월 18일부터 12월 31일까지 258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4>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시간표 === ||<-5> '''{{{#ffc600 은평공영차고지 출발}}}''' || || 23:30 || 23:55 || 00:15 || 00:45 || 01:15 || || 02:00 || 02:30 || 03:05 || 03:45 || || ||<-5> '''{{{#ffc600 중랑공영차고지 출발}}}''' || || 23:30 || 00:00 || 00:35 || 01:15 || 02:00 || || 02:25 || 02:45 || 03:15 || 03:45 || || == 연계 철도역 ==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동묘앞역]]''', [[신설동역]], [[제기동역]], '''[[청량리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합정역]], '''[[홍대입구역]]''',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신당역]], '''신설동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약수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5호선]]: [[공덕역]], [[청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월드컵경기장역(서울)|월드컵경기장역]], [[마포구청역]], [[망원역]], 합정역, '''[[대흥역]]''', '''공덕역''', [[효창공원앞역]], 삼각지역, [[녹사평역]], [[이태원역]], '''[[한강진역]]''', [[버티고개역]], 약수역, 청구역, 신당역, 동묘앞역, '''[[신내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사가정역]], [[면목역]], [[상봉역]] * [[파일:UiLine_icon.svg|width=14]]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신설동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홍대입구역, 공덕역, 효창공원앞역, '''청량리역''', 상봉역, [[망우역]], [[양원역(중앙선)|양원역]] * [[파일:GyeongchunLine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경춘선]]: '''청량리역''', '''상봉역''', 망우역, 신내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청량리역 * [[파일:AREX_icon.svg|width=14]]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공덕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청량리역(KTX-이음, ITX-청춘, 무궁화호, 누리로), 상봉역(KTX-이음, ITX-청춘[* 평일 6회]) [[분류: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분류:2022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