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 [[파일:N15신.jpg|width=100%]] || [[파일:SAM_3700.jpg|width=100%]] || || 우신운수 차량.[** 이차량은 현제 페차돼었다] || 동아운수 차량.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wiki style="margin: auto; max-width: 700px" [[파일:서울 N15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동아운수]](N15우이) 출발점] || [출발]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성원아파트)[br] [도착] 서울특별시 강북구 우이동(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 ||<-2> 종점[* [[우신운수]](N15사당) 출발점]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남태령역) || ||<|2> 종점[br]행 || 첫차 || 23:40 ||<|2> 기점[br]행 || 첫차 || 23:50 || || 막차 || 03:35 || 막차 || 03:40 || ||<-2> 배차간격 ||<-4> 15~30분 (1일 12회) || ||<-2> 운수사명 || [[동아운수]] / [[우신운수]] ||<-2> 인가대수 || 12대[* 회사별 6대 운행.] || ||<-2> 노선 ||<-4> (우이동성원아파트 →) 우이동도선사입구 - 방학동신동아아파트 - 방학사거리 - 도봉보건소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보문역]] - [[신설동역]] - [[동대문역]] - 종로2~6가 - [[을지로입구역]].광교 - [[남대문시장]]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갈월동 - [[숙대입구역]] - [[삼각지역]] - [[신용산역]] - {{{#aaa 한강대교}}} - [[노들역]] - [[노량진역]] - [[장승배기역]] - 신대방삼거리 - 롯데백화점관악점 - [[신림역]] - [[봉천역]].봉천초등학교 - 봉천사거리.[[서울대입구역]]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남태령역]] || == 개요 == [[동아운수]]와 [[우신운수]]에서 운행하는 심야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4.4km다.[[http://map.naver.com/?busId=55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14년 11월 17일에 [[서울 버스 N10|N10번]]과 [[서울 버스 N40|N40번]]을 통합하여 신설됐다. 기존 노선과 달리 삼양로 대신 도봉로를 경유한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959|관련 공지사항]] * 2016년 11월 28일 8대로 증차된다. 동아운수는 151번에서 1대, 우신운수에서는 4212번 1대씩 증차분으로 투입된다. * 2017년 7월 17일부터 3대가 각각 [[서울 버스 101|101번]], [[서울 버스 151|151번]], [[서울 버스 163|153번(현 163번)]]의 예비차로 공동사용된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2629351|관련 공문]] * 2017년 12월 8일부터 2018년 1월 1일까지 2대를 추가 투입하는데, [[서울 버스 101|101번]], [[서울 버스 4212|4212번]]에서 1대씩 다중노선 설정을 통해 투입했다. 다만 101번의 경우 한성운수 차량을 차출해 왔다. * 2018년 12월 1일부터 30일까지 기존 운행차량(8대)에 우신운수, 한성운수 차량이 각 1대씩 한시적으로 증차되어 10대로 운행했다. * 2019년 12월 17일부터 1달간 한성운수 [[서울 버스 101|101번]] 차량 1대가 증차되어 9대로 운행했다. 다만 우신운수는 증차없이 다닌다. * 2020년 1월 17일에 우이동 방향의 도선사입구 정류장,,(ID 09-297),,이 전산에서 삭제됐다. 이로 인하여 우이동 방향은 연산군.정의공주묘로 노선이 단축됐다. *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1월 1일까지 인가댓수가 한시적으로 8대에서 9대로 증차됐다. 이 기간동안 최소 배차간격이 30분에서 25분으로 줄어들었다.[[https://www.seoul.go.kr/news/news_report.do#view/350629|관련 게시물]] * 2022년 7월 18일부터 우이동 방향 종점이 연산군.정의공주묘에서 우이동도선사입구.북한산우이역으로 연장됐다.[* 정확히는 해당 구간이 편도 정차에서 왕복 정차로 바뀌는 것이다.] 동시에 운행 계통이 현실화되어 양사 운행시간이 240분으로 통일되며, 왕복 운행 거리도 76km에서 74.4km로 변경됐다.[[https://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seq_no=5376&off_docu_yn=C|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4대가 증차되어, 00:00이던 첫차가 우이 23:40 / 사당 23:50으로 당겨지고 25~35분이던 배차간격이 15~30분으로 줄어든다. 차량은 동아운수 163번, 우신운수 4212번에서 각각 2대씩 투입된다. [[https://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463&off_docu_yn=C|관련 공지사항(공문 1)]]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286024|관련 공문 2]]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309265|관련 공문 3]] == 특징 == * [[서울 버스 103|103번]][* 길음뉴타운-을지로입구 구간. 이 구간은 2001년 신설된 32번 심야전용버스 운행 구간 일부를 계승] [[서울 버스 130|130번]][* 우이동 - 미아사거리 구간], [[서울 버스 152|152번]][* 미아리고개 - 동대문, 롯데백화점본점-신림역 구간(종로구간 제외)], [[서울 버스 461|461번]][* 신대방삼거리 - 사당역 구간] 노선들을 조합하여 종로로 연계해주는 노선이다. * [[서울 지하철 4호선]]의 막차가 끊겼을 때 유용한 노선이다. [[신용산역]]~[[동대문역]], [[성신여대입구역]]~[[쌍문역]] 구간이 겹친다. * 이 노선을 통하여 [[사당역]]까지 이동한 다음, [[수원 버스 7770|7770번]]으로 환승할 수 있다. 단, 평일만 가능하다.[* 유일하게 [[서울역]]-[[사당역]]-[[수원역]]을 연계하는 노선 조합이 된다.] * 양사의 차고지에서는 승하차 불가능하다. === 시간표 === ||<-6> '''{{{#ffc600 우이동 출발 }}}''' || || 23:40 || 23:55 || 00:10 || 00:30 || 01:00 || 01:30 || || 01:55 || 02:15 || 02:35 || 02:55 || 03:15 || 03:35 || ||<-6> '''{{{#ffc600 남태령 출발}}}''' || || 23:50 || 00:10 || 00:30 || 00:50 || 01:10 || 01:30 || || 01:50 || 02:05 || 02:20 || 02:40 || 03:10 || 03:40 ||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c600 서울특별시 심야버스 N1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4년 || 918명 || || || 2015년 || 939명 || {{{#red △ 21}}} || || 2016년 || 916명 || {{{#blue ▽ 23}}} || || 2017년 || 1,182명 || {{{#red △ 266}}} || || 2018년 || 1,264명 || {{{#red △ 82}}} || || 2019년 || 1,405명 || {{{#red △ 141}}} || || 2020년 || 1,107명 || {{{#blue ▽ 298}}} || || 2021년 || 751명 || {{{#blue ▽ 356}}} || || 2022년 || 1,154명 || {{{#red △ 403}}}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2014년 자료는 개통일인 11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45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연계하는 철도역은 많지만, 심야시간에 운행하기 때문에 지하철 환승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굵은 글씨'''는 막차가 끊기는 역이다.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1호선]]: [[신설동역]], '''[[동묘앞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종로3가역]], [[종각역]], '''[[서울역]]''', [[남영역]][* 숙대입구역 하차 후 도보], [[용산역]][*용 신용산역 하차], [[노량진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4]]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설동역''', '''[[을지로입구역]]''', [[신림역]], [[봉천역]], '''[[서울대입구역]]''', [[낙성대역]], [[사당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동대문역, '''서울역''', [[숙대입구역]], [[삼각지역]], [[신용산역]], '''사당역''', [[남태령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4]] [[서울 지하철 6호선]]: [[보문역]], 동묘앞역, 삼각지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4]] [[서울 지하철 7호선]]: [[장승배기역]], [[신대방삼거리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4]] [[서울 지하철 9호선]]: [[노들역]], 노량진역 * [[파일:AREX_icon.svg|width=14]]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4]]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용산역'''[*용] * [[파일:UiLine_icon.svg|width=14]]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 성신여대입구역, 보문역, '''신설동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당곡역]], 신림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용산역(KTX, ITX-청춘,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용]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분류:2014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