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파일:9401B(1).jpg|width=100%]] || [[파일:9401B.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9401B번}}} || ||<-2> 기점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구미동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 ||<|2> 종점행 || 첫차 || 04:30 ||<|2> 기점행 || 첫차 || 05:25 || || 막차 || 23:00 || 막차 || 00:00 || ||<-2> 평일배차 || 10~15분 ||<-2> 주말배차 || 10~15분 || ||<-2> 운수사명 || 남성교통[* 현 [[남성버스]]] ||<-2> 인가대수 || 13대 || ||<-2> 노선 ||<-4> [[분당영업소|구미동차고지]] - 성우스타우스 - 무지개마을 - 오리초등학교 - 분당도서관.계원예고.이마트 - 정자2동행정복지센터 - 이매촌한신아파트.[[서현역]].AK플라자 - 백현마을1·2단지 - [[판교역(성남)|판교역]].낙생육교.현대백화점 - {{{#aaa 판교TG - 경부고속도로 - 한남대교}}} - [[순천향대병원]] - 서울백병원.국가인권위.안중근활동센터 → 우리은행종로지점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서울백병원 → 이후 역순 || == 개요 == 남성교통에서 운행했던 광역버스 노선. 총 운행거리는 72.36km였다. == 역사 == * [[서울 버스 9409(폐선)|9409번]] [[광역버스(서울)|광역버스]]가 전신이다. 관련 내용은 [[서울 버스 9409(폐선)|9409번]] 문서를 참조. * 2012년 2월 28일에 [[서울 버스 9409(폐선)|9409번]]의 죽전, [[강남대로]], 소월로 구간을 단축하고 번호를 [[서울 버스 9401|9401번]]의 지선처럼 변경했다. * [[수도권 광역버스 입석금지|입석 금지]]가 시행되면서 [[서울 버스 9401|9401번]]의 증차를 위해 2014년 7월 16일에 폐선됐다. 남는 차량은 [[서울 버스 9401|9401번]]으로 모두 이동했다. * 2023년, 9401번의 대체노선으로 이 노선과 비슷한 [[서울 버스 9401-1|9401-1번]]이 개통했다. == 특징 == * 서울특별시 광역버스 노선들 중 최초로 노선번호에 A/B 구분이 들어갔다. 다만 본선 취급을 받은 [[서울 버스 9401|9401번]]에는 A가 붙지 않았다. * [[서울 버스 9401|9401번]]과 함께 [[서울역버스환승센터]]를 경유하고 [[고속도로/대한민국|고속도로]]를 달리는 둘 뿐인 서울시 광역버스 노선이었다. * 운행 경로를 보면 알겠지만, '''[[성남 버스 9000|9000번]]과 전 구간이 완벽하게 겹쳤다.''' 아니, 먼 옛날 서울시 소재 남성교통이 광주시 소재 [[경기고속]]과 [[성남 버스 9000|9000번]]을 공동 배차하다가 개편 이후 폐선시킨 전례(9402번)가 있으니 사실상 9402번의 부활. * 비어 있는 번호인 9402번이 아닌 9401B로 한 이유는 인지도가 [[서울 버스 9401|9401번]]이 좀 더 높기 때문이라고 한다. 간단하게 생각하면 [[서울 버스 9401|9401번]] 자체를 두 회사가 공동 배차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대신 B를 붙였기에 서로 간 환승은 가능했다. * 2012년 가을에 유니버스 신차를 처음으로 도입했다. 2003년식 에어로 스페이스 가스차량 대차분이며, 4권역을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면허 광역버스 중에서는 처음 도입된 [[현대 유니버스]] 차량들이었다. * [[서울 버스 9401|9401번]]의 존재감을 이용했고, 서울시 광역버스가 경기도 직행좌석버스보다 150원 저렴했기 때문에 [[분당구|분당]]에서도 수요는 나름 있었다. 하지만 같은 구간에 [[성남 버스 9000|9000번]]이 좀 더 잘 와서 고전했다.[* 인가대수는 [[성남 버스 9000|9000번]]이 21대로 8대 더 많았다.] 승객 수는 [[분당구|분당]]-도심광역 중 '''꼴찌'''였다. ~~7007-1하고도 300명밖에 차이 안 나니까 말 다했다.~~ [[성남 버스 9000|9000번]]은 6천 명대, 물론 출·퇴근 시간에는 이 노선도 얄짤없이 미어터졌다. * [[서울 버스 9401|9401번]]처럼 차량 외부에 '[[서현역]] 직통'이라고 붙어 있었다. 다만 [[서현역]]이 길가에 있는 역이 아닌지라 초행자들은 정류장명을 숙지해야 했으며, 해당 정류장에서 [[서현역]]이 좀 떨어져 있다. 이는 [[서울 버스 9401|9401번]]과 통합된 현재도 그렇다. * [[돌마로]]를 지나는 [[서울 버스 9401|9401번]]과 달리, 한 블록 옆인 내정로[* 정자동 상록마을과 정자2동 한솔마을 사이에 있는 도로.]로 들어갔다.[* 거기서 [[탄천]] 쪽 내리막길로 한참 걸어가면, 바로 [[정자역]]이다.] 9401B번의 폐선 후, 내정로에 가는 [[서울 시내버스]]는 [[서울 버스 9404|9404번]] 뿐이다. * 정말 잘 밟고 다니던 노선이었다. 메이저 고속은 물론 [[부산교통]](!), [[경전고속]] 심지어는 폭주로 유명한 [[경원고속]] 등 스피드로 쟁쟁한 영남권 시외버스 회사마저도 따고 다닐 정도였다. [[에코드라이빙]] 따위 무시하고 기본 113~115, 심하면 135 정도도 예사. [[서울 버스 9401|9401번]]은 워낙 차가 많아서도 느려졌는데, 9401B번은 마치 '''45-2, 906, 909 스피드 3성 시절로 돌아간 듯'''한 스피드가 일품이었다. 개편 후 [[서울 시내버스]]가 맞나 의심갈 정도로 [[경부고속도로]]의 패황이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시청역(서울)|시청역]], [[종각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노선 폐지 당시 기준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 및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은 서부역에 있으니 [[숭례문]](옛 [[YTN]]타워)에 내려서는 [[답이 없다]]. 굳이 가고 싶다면, 얌전하게 서부역 가는 노선으로 환승해야 한다. 노선 폐지 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선]]은 [[서울역버스환승센터]]와 가까운 문화역서울284로 옮겨 왔고, [[인천국제공항철도]]는 환승통로가 생겼다.]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SB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오리역]], [[서현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판교역(성남)|판교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분류: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4권역]][[분류:2012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14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