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5권역 지선버스)]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 [[파일:관악8541번_뉴슈퍼FL.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54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8541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출발] 서울특별시 금천구 시흥동(벽산아파트1단지·호압사입구)[br][도착] 서울특별시 관악구 봉천동(행운동주민센터) ||<-2> 종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강남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4:50 || || 막차 || 04:40 || 막차 || 05:30 || ||<-2> 평일배차 || 13분 (1일 3회) ||<-2> 주말배차 || 토요일 13분 (1일 3회) / 공휴일 미운행 || ||<-2> 운수사명 || [[관악교통]] ||<-2> 인가대수 || 3대[* 모두 예비차로 인가되어 있다.] || ||<-2> 노선 ||<-4> (벽산아파트1단지.호압사입구 → {{{#aaa 산복터널}}} → 삼성산주공아파트 → 미림여고.미림여자정보과학고 → 대학동고시촌입구 → [[서울대학교]] → 관악구청 → 봉천사거리 →) - 행운동주민센터 - 낙성대입구 - [[사당역]] - [[이수역]] - 정금마을 - [[구반포역]] - [[신반포역]] - 고속터미널 - [[사평역]] → 진흥아파트 → 서초청소년도서관 → [[강남역]] → [[신논현역]] → 사평역 → 이후 행운동주민센터까지만 역순 || == 개요 == [[관악교통]]에서 운행하는 새벽맞춤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8.86km다. [[http://map.naver.com/?busId=1731|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8년 8월 1일 [[서울 버스 5412|5412번]] 버스가 폐선된 다음, 새벽시간대에 고정적으로 이용하던 승객들을 위해 8월 4일에 신설됐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268|관련 공지사항]] * 2011년 2월 8일에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5권역#s-10|5520번]]과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5권역#s-25|5614번]]의 [[서울 버스 6515|통폐합]]으로 '행운동주민센터 - 성현동 현대시장' 구간이 단축됐다. == 특징 == * 공휴일이 아닌 월요일 ~ 토요일 새벽시간에만 3회(04:00, 04:20, 04:40)[* 초창기 첫차 시각은 04:30이었으나, 승객들의 민원에 의해 첫차 시각이 점차 더 앞당겨졌다. 2017년 8월 1일 이전까지는 04:10부터 20분 간격으로 3회 운행이었고, 한번 더 앞당겨져서 현재는 04:00 출발인 것.] 운행한다. 이 시간대만은 신림에서 강남으로 출근하거나 강남에서 신림으로 퇴근하는 사람들의 대체 교통수단이 없어[*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운행을 시작하는 시각은 05:30이다. 비싼 심야버스와 택시 외엔 아무것도 없다.] 생계가 위협받기 때문에 특별히 노선을 따로 만든 것이다. * [[강남역]]에서 돌아올 때는 행운동주민센터 정류소에서 운행을 마친다. 때문에 다시 신림동으로 돌아오려면 행운동주민센터에서 [[서울 버스 5528|5528번]]으로 환승해서 고시촌까지 가야 한다. [[시흥동(서울)|시흥동]] 쪽으로 더 들어가고자 한다면, 고시촌에서 또 [[서울 버스 6515|6515번]]으로 환승해야 하는데 행운동주민센터에서 한 정거장만 더 가면 있는 관악구청에서 6515번과 연계가 됨에도 2번의 환승이 강제된다는 점에선 불편함이 있다. [[http://media.daum.net/society/nation/view.html?cateid=1067&newsid=20080816111306237&cp=ohmynews|관련 기사]] 다만 이 버스는 강남 주변 빌딩의 환경미화원 등 건물을 관리하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 회사원들의 출근 시간 이전에 업무[* 이 때 대부분의 일차적인 미화작업을 끝내놔야 오전에 업무를 하기가 수월해진다. 오전에는 모든 인원이 건물에 와있고, 수시로 시설을 쓰니 작업이 힘들어진다.]를 하기 위해 강남 쪽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주수요이고, 반대방향은 주야교대가 있는 업종에서 야간조 근무를 마치고 퇴근하는 인원과[* 이마저도 근무교대시간이 대부분 7시가 넘어감을 감안하면 큰 의미는 없다고 보면 된다.], 강남권에서 새벽까지 개인업무, 과제 등을 처리하거나 혹은 놀다 귀가하는 인원이 조금 이용하는 정도라서 큰 문제될 것은 없다. * [[양천공영차고지]]에서 20분 떨어져 있는 시흥2동으로 [[공차회송]]한 후 운행을 시작한다. 당연하다면 당연한 이야기지만 삼성동 주민들의 생계가 달린 노선이기 때문에, 새벽에만 운행함에도 만원버스가 일상화되어 있다. [[KBS 2TV]]에서 방송 중인 [[다큐멘터리 3일]]에서 [[https://youtu.be/6JXe6lh9_C4?feature=shared&t=2055|2015년 4월 5일에 나갔던 양천공영차고지편]]에도 강남 쪽으로 가는 사람들이 많이 나온다. 기사들의 눈에 익은 고정 승객들이 많다 보니, 기사들은 늘 승객들에게 봉사한다는 사명감을 갖고 이 노선을 운행한다고 한다. 출발하기 전에 승객들과 함께 가볍게 몸풀기도 하고. 이때 거의 호압사입구 정류소를 '''탑돌이하듯 정류소돌이를 한다. 안전운행을 위해.''' * 현금은 일반버스 요금이지만, 카드를 사용하면 조조할인 요금이다. 조조할인이 끝나기 한참 전인 06:10 정도면 막차도 강남역 회차 후 행운동주민센터에 종착한다. * 강남역까지 가는 승객은 그리 많지 않고 대부분 고속터미널이나 KCC사옥~래미안에스티지 구간에서 하차하는 편이다. 이 버스는 서운로를 따라가다가 서이초교 교차로에서 좌회전하고 다시 우성아파트 앞에서 좌회전해 강남역으로 가기 때문에 강남역까지 쭉 타고 가기에는 좀 돌아가는 형태며, 그래서 이면도로인 서운로상에 내린 뒤 목적지까지는 그냥 걷는 것이 낫기 때문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4> {{{#ffffff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54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운행일수 || || 2013년 || 310명 || - || 300일 || || 2014년 || 316명 || {{{#red △ 6}}} || 298일 || || 2015년 || 328명 || {{{#red △ 12}}} || 299일 || || 2016년 || 319명 || {{{#blue ▽ 9}}} || 300일 || || 2017년 || 310명 || {{{#blue ▽ 9}}} || 297일 || || 2018년 || 302명 || {{{#blue ▽ 8}}} || 296일 || || 2019년 || 315명 || {{{#red △ 13}}} || 299일 || || 2020년 || 297명 || {{{#blue ▽ 18}}} || 298일 || || 2021년 || 274명 || {{{#blue ▽ 23}}} || 298일 || || 2022년 || 263명 || {{{#blue ▽ 11}}} || 299일 || ||<-4>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운행시간표 === * 호압사 출발: 04:00(1회), 04:20(2회), 04:40(3회) - 첫차가 출발하면, 뒤쪽 두 대가 순차적으로 단말기를 켜두고 대기한다. * 강남역 회차: 04:50(1회), 05:10(2회), 05:30(3회) - 교통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서울특별시 맞춤버스 8541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16px" ||<|2> 구립서초어린이도서관[br]22120 ||<|2> ||<-2> ← ||<|2> ||<|2> 래미안에스티지[br]22118 || || || || || '''강남역[br]23285''' || ↓ || || || ↑ || 진흥아파트[br]22165 || || 신논현역.구교보타워사거리[br]22193 || || || || || 서초푸르지오써밋[br]22163 || ||<-6> 이상 회차 구간 || || 제일약품사옥[br]22194 || ↓ || || || ↑ || KCC사옥[br]22162 || || 사평역[br]22195 || || || || || 사평역[br]22196 || || 고속터미널[br]22019 || || ↓ || ↑ || || 고속터미널[br]22020 || || 신반포역.세화여중고[br]22022 || || || || || 신반포역.세화여중고[br]22021 ||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br]22023 || || ↓ || ↑ || || 구반포역.세화고등학교[br]22024 || || 갯마을앞[br]22015 || || || || || 이수교(방배본동)[br]22225 || || 정금마을.방배경찰서[br]20016 || || ↓ || ↑ || || 정금마을[br]22033 || || 경문고교.배나무골앞[br]20017 || || || || || 경문고등학교[br]22031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br]20018 || || ↓ || ↑ || || 총신대입구역.남성시장입구앞[br]22029 || || 사당동우체국앞[br]20019 || || || || || 이수역[br]22027 || || 방배노인종합복지관[br]20020 || || ↓ || ↑ || || - || || 사당역9번출구앞[br]20253 || || || || || 사당역[br]22241 || || 사당1동관악시장앞[br]20141 || ↓ || || || ↑ || 남서울농협남현동지점[br]21126 || || 예술인마을[br]20142 || || || || || 예술인마을.사당초등학교[br]21125 || || 서울미술고.인헌중고[br]21101 || ↓ || || || ↑ || 인헌중고.서울미술고[br]21124 || || 낙성대입구[br]21102 || || || || || 낙성대입구[br]21123 || || '''행운동주민센터[br]21103''' || ↓ || || || ↑ || 낙성대동[br]21122 || ||<|17> - ||<|17> - ||<|17> - ||<|17> - || || 봉천사거리[br]21121 || || ↑ || 관악구청[br]21130 || || || 서울여상.서울문영여중고앞[br]21129 || || ↑ || 서울대학교.치과병원.동물병원[br]21373 || || || 서울대학교[br]21128 || || ↑ || 관악산입구.관악문화관도서관[br]21159 || || || 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br]21158 || || ↑ || 대학동고시촌입구[br]21157 || || || 서울대벤처타운역[br]21180 || || ↑ || 미림고개.고시촌입구[br]21179 || || || 미림여고.미림여자정보과학고[br]21178 || || ↑ || 신우초등학교[br]21177 || || || 삼성산성지[br]21176 || || ↑ || 산장아파트[br]21175 || || || 삼성산주공아파트[br]21174 || || ↑ || 산복터널.관악산휴먼시아2단지[br]21173 || || '''기점''' || '''벽산아파트1단지.호압사입구[br]18137'''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대입구역]][* 관악구청 하차], [[낙성대역]], [[사당역]], [[강남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고속터미널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사당역, [[이수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 이수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구반포역]], [[신반포역]], 고속터미널역, [[사평역]], [[신논현역]] * [[파일:SinbundangLine_icon.svg|width=17]] [[신분당선]]: 강남역, 신논현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대벤처타운역]][* 관악농협신림지점앞 하차 후 도보], [[관악산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2008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