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7권역 지선버스)] || [[파일:보광7730_5667.jpg|width=100%]] || [[파일:서울7730.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3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730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색동(은평공영차고지) ||<-2>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구기동(이북오도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15 || || 막차 || 23:00 || 막차 || 23:50 || ||<-2> 평일배차 || 5~13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6~15분 / 공휴일 8~18분 || ||<-2> 운수사명 || [[보광교통]] ||<-2> 인가대수 || 18대[* 토요일 16대 / 공휴일 14대 운행. 주말에 운행하지 않는 중형차량 1대는 유사시 [[서울 버스 8777|8777번]]으로 차출되어 운행한다.] || ||<-2> 노선 ||<-4> 은평공영차고지 - 수색교 - 월드컵파크9.10.11.12단지 - 상암DMC홍보관.YTN - DMC상암센트럴파크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 [[증산역(서울)|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 - [[새절역]].숭실고입구 - 응암3동주민센터 - 본서부병원 - [[녹번역]] - 유진상가 -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초등학교 - 세검정.상명대 - 구기동 - 이북5도청 || == 개요 == [[보광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0.6km다. [[http://map.naver.com/?busId=1302&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106|구 147번]] 도시형버스(고양 화전동 - 홍은동)가 전신이다. [[동해운수]]에서 운행했으며, 화전동차고지에서 출발해 유진상가까지 가는 노선이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7730번으로 변경되었다. 운수업체는 SM버스로 바뀌었다. * 2005년 9월 22일 구기동으로 연장되었다.[* 구기터널삼거리에서 U턴했다.] * 2006년 2월 21일 증산로에서 수색로로 우회전하던 것을 북가좌동 증산3교에서 증산교 구간으로 우회한 후 수색로로 진입하도록 변경되었다. * 2008년 초에 화전동차고지가 폐쇄되면서, 은평공영차고지 출발로 바뀌었다. 단축된 것은 아니고, 은평공영차고지에서 나올 때 화전을 들렸다가 구기동으로 가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구기동에서 은평차고지로 갈 때는 화전으로 가지 않았다. * 2008년 6월 1일 개편 때 '화전예비군훈련장 - 수색역' 구간을 신설한 [[서울특별시 시내버스/폐선/지선버스|7731번]][* 노선 자체는 수색역이 아닌, 북가좌삼거리까지 갔다.]에게 물려주고, 화전으로 가지 않게 되었다. 그리고 디지털미디어시티 내부와 증산지하차도 경유로 바뀌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092536|관련 기사]] * 2008년 12월 20일에 A(새절역)/B(와산교) 노선이 새절역 방향 하나로 합쳐졌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1319|관련 공지사항]]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2405315|관련 기사]] * 구기터널삼거리에서 회차하기 어려운 점[* 진흥로는 왕복6차선 도로라 한 번에 유턴하기가 힘들었고, 비봉길로 살짝 들어갔다가 회차하는 것은 좌회전금지구역에서 좌회전을 해야 했기 때문에 문제가 있었다. 게다가 출퇴근시간대에는 교통량이 많다보니, 차량들이 엉키기 일쑤였다. 물론, 배차간격 유지를 위해 회차지에서 대기하는 동안 병목현상이 생겨 길이 막히는 것도 있었다. 하지만 변경 후에 신호체계가 변경이 되어 좌회전이 허용된다.]과 이북5도청을 당시 [[서울 버스 7212|7212번]] 하나만 담당하고 있어 구기동 주민들과 북한산 등산객들이 불편한 점을 감안해 2014년 5월 19일에 이북5도청까지 연장되었다. 다만, 이 때는 풍남학사 뒷길로 들어갔다가 이북5도청으로 나와서 회차하는 방식을 사용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476172|관련 공문]] * 그러나, 비봉4길 인근 주민들이 교통사고 위험 증가와 매연, 소음 문제로 불편을 호소했고 무엇보다 풍남학사 뒷길이 주차장 건설을 위해 도로에서 지정해제된 곳이라[* 실제로 로드뷰 등으로 보면, 도로명칭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2014년 6월 19일부터 골목길로 들어가지 않고 이북5도청 옆에서 회차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51868|관련 공문]] * 2020년 2월 1일을 기해 각각 135분/125분이던 평일/토요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40분/130분으로 늘었고, 이와 동시에 평일/토요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평일/토요일의 1일 총 운행횟수도 각각 2회/3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688099|관련 공문]] * 2021년 4월 1일을 기해 본 각각 130분/110분이던 토요일/공휴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40분/120분으로 늘었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과 단축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모두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3회/4회/8회씩 감회되었다. 또한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공휴일 최소 배차간격이 8분에서 9분으로 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561151|관련 공문]] * 2022년 4월 18일을 기해 1대 존재하던 고정 예비차량과 평일에 운행하던 단축운행차량 1대가 감차되면서[* 감차분은 [[서울 버스 N72|N72번]]으로 이동되었다.]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129회에서 126회로 3회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경으로 인한 평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없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5717666|관련 공문1]][[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5763586|관련 공문2]] == 특징 == * 구기동과 세검정 일대에서 유일하게 수요가 매우 저조하다. 이 쪽 주민들의 교통 수요 패턴은 불광역이나 경복궁역으로 나가는 것이 일반적인데, 두 곳 모두 경유하지 않기 때문이다. * 주 수요처는 응암3동주민센터-서부병원-[[녹번역]] 구간과 퇴근 시간대의 DMC첨단산업단지 - [[증산역(서울)|증산역]],[[새절역]] 구간이다. 특히, 응암로에서는 배차간격이 [[서울 버스 7025|7025번]], [[서울 버스 7719|7719번]]보다 짧다보니 녹번역까지 이용률이 높은 편이다. * 이북5도위원회에서 이북5도청보다 윗쪽에 있는 청운양로원에서 회차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하천을 복개하지 않는 이상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비봉로 자체가 왕복2차선인데, 현재는 이북5도청 옆길(이면도로지만 길 자체는 넓은 편이다.)에 후진으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형식으로 회차한다. 이곳으로 연장되면 근처에 들어갈 만한 곳이 없어 회차가 불가능하다. 들어갈 만한 곳이 아예 없는 건 아닌데, 주거건물 차고로 들어가는 사유지라 사실상 못 쓴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7176171|관련 공문]] * 회차지가 타 권역으로 변경되었지만 번호 변경은 이루어지지 않은 사례 중 하나다. 회차지점 권역이 종로구임에도 번호가 70xx이 아닌 77xx이다.[* 사실 70xx 번호를 받았더라도 70xx대 지선버스 노선 중 유일하게 도심 구간을 지나지 않았을 것이다.] * 6호선 DMC역 플랫폼의 바로 위에 있는 증산지하차도를 [[서울 버스 571|571번]], [[서울 버스 7019|7019번]]과 함께 지난다. DMC 안쪽의 월드컵북로와 통하기 때문에, 저 두 노선처럼 남쪽의 월드컵터널까지 지나가는 나머지 DMC역을 아예 패싱해버리는 것보다는 낫지만, 이 역도 DMC역과의 연계가 영 좋지 않다. 이북5도청(북쪽/동쪽) 방향은 역과 꽤 거리가 있는 상암휴먼시아아파트 다음 정류소가 증산지하차도를 넘어간 증산시장/증산중 정류소이며, [[은평공영차고지]](남쪽/서쪽) 방향은 6호선 2/3번 출구 바로 앞에 정차하긴 하지만 증산동에서 내려오는 입장에서는 심하게 우회하는 경로 형태이다. * 2020년 10월 26일부터 3대가 자전거 휴대 승차 시범 운영을 하고 있었으나, 일자미상으로 거치대가 모두 철거되었다. 그 흔적은 후면 광고 부착면 쪽에 추가 부착된 가로형 번호판으로만 남았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3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2,990명 || - || || 2014년 || 12,553명 || {{{#blue ▽ 437}}} || || 2015년 || 12,469명 || {{{#blue ▽ 84}}} || || 2016년 || 11,882명 || {{{#blue ▽ 587}}} || || 2017년 || 11,421명 || {{{#blue ▽ 461}}} || || 2018년 || 11,134명 || {{{#blue ▽ 287}}} || || 2019년 || 11,173명 || {{{#red △ 39}}} || || 2020년 || 8,813명 || {{{#blue ▽ 2,360}}} || || 2021년 || 8,712명 || {{{#blue ▽ 101}}} || || 2022년 || 9,125명 || {{{#red △ 413}}}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7730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이북오도청'''[br]'''01279''' || ||<|2> 승가사입구[br]01148 ||<|2> ||<-2> {{{#ffffff ←}}} ||<|2> ||<|2> 승가사입구[br]01154 || || || || || 구기동현대빌라[br]01149 || || || || || 구기동현대빌라[br]01246 || || 구기동[br]01152 || {{{#ffffff ↓}}} || || || {{{#ffffff ↑}}} || 구기동[br]01153 || || 국민은행세검정지점[br]01132 || || || || || 국민은행세검정지점[br]01146 || || 세검정초등학교[br]01133 || {{{#ffffff ↓}}} || || || {{{#ffffff ↑}}} || 세검정초등학교[br]01144 || || 세검정.상명대[br]01134 || || || || || 세검정.상명대[br]01143 || || 홍지문[br]13173 || {{{#ffffff ↓}}} || || || {{{#ffffff ↑}}} || 홍지문.옥천암[br]13172 || || 유원하나아파트[br]13171 || || || || || 유원하나아파트[br]13170 || ||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초등학교[br]13169 || {{{#ffffff ↓}}} || || || {{{#ffffff ↑}}} || 서울여자간호대학교.홍은초등학교[br]13168 || || 문화촌현대아파트[br]13167 || || || || || 문화촌현대아파트[br]13166 || || 유진상가[br]13165 || {{{#ffffff ↓}}} || || || {{{#ffffff ↑}}} || 유진상가[br]13164 || || 홍은사거리.북한산더샵아파트앞[br]13124 || || || || || - || || 산골고개[br]13027 || || {{{#ffffff ↓}}} || {{{#ffffff ↑}}} || || 산골고개[br]13026 || || 녹번역[br]12125 || || || || || 녹번역[br]12381 || || 은평구청[br]12126 || {{{#ffffff ↓}}} || || || {{{#ffffff ↑}}} || 은평구청[br]12135 || || 은평세무서[br]12127 || || || || || 은평세무서[br]12134 || || 본서부병원[br]12128 || {{{#ffffff ↓}}} || || || {{{#ffffff ↑}}} || 본서부병원[br]12133 ||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br]12304 || || || || ||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br]12308 || || - || {{{#ffffff ↓}}} || || || {{{#ffffff ↑}}} || 백련산SK뷰아이파크아파트[br]12296 || || 응암시장[br]12305 || || || || || 서서울농협본점[br]12307 || || 응암3동주민센터[br]12427 || {{{#ffffff ↓}}} || || || {{{#ffffff ↑}}} || 응암3동주민센터[br]12439 || || 응암오거리[br]12157 || || || || || 응암오거리[br]12419 || || 새절역[br]12169 || {{{#ffffff ↓}}} || || || {{{#ffffff ↑}}} || 새절역.숭실고입구[br]12176 || || 와산교[br]12170 || || || || || 와산교[br]12175 || || 연서중학교입구[br]12423 || {{{#ffffff ↓}}} || || || {{{#ffffff ↑}}} || 연서중학교입구[br]12422 || ||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br]12364 || || || || || 증산역.증산동주민센터[br]12174 || || 증산종합시장.증산중학교입구[br]12172 || {{{#ffffff ↓}}} || || || {{{#ffffff ↑}}} || 증산종합시장.증산중학교입구[br]12173 || || 월드컵경기장북측[br]14274 || || || || || -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2번출구[br]14296 || {{{#ffffff ↓}}} || || || {{{#ffffff ↑}}} || - || || DMC상암센트럴파크[br]14164 || || || || || DMC상암센트럴파크[br]14165 || || 상암초등학교[br]14167 || {{{#ffffff ↓}}} || || || {{{#ffffff ↑}}} || 상암초등학교[br]14166 || || 상암DMC홍보관.YTN[br]14286 || || || || || 상암DMC홍보관.YTN[br]14287 || || 누리꿈스퀘어.MBC[br]14307 || {{{#ffffff ↓}}} || || || {{{#ffffff ↑}}} || - || || 월드컵파크5단지.상암중고등학교입구[br]14288 || || || || || 월드컵파크5단지[br]14289 || || - || {{{#ffffff ↓}}} || || || {{{#ffffff ↑}}} || 상암고등학교[br]14291 || || 하늘초등학교[br]14337 || || || || || 월드컵파크9.10.11.12단지[br]14335 || || 월드컵파크10단지[br]14338 || {{{#ffffff ↓}}} || || || {{{#ffffff ↑}}} || 월드컵파크11.12단지[br]14339 || || 수색교[br]14341 || || || || || 수색교[br]14340 || || 덕은교.은평차고지앞[br]12002 || || {{{#ffffff ↓}}} || || {{{#ffffff ↑}}} || 덕은교.은평차고지앞[br]12315 || ||<-6> '''- · 은평공영차고지[br]- · 35331'''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녹번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은평차고지 방면 운행 시에만 정차], [[증산역(서울)|증산역]], [[새절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20]]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 [[파일:AREX_icon.svg|width=20]] [[인천국제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역[*A]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85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