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파일:제일5382.jpg|width=100%]] || [[파일:제일7808.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4번}}} || ||<-6> {{{#!wiki style="margin: 0 auto; max-width:600px"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704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송추반석전원교회)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봉래동2가(서울역버스환승센터) || ||<|2> 종점[br]행 || 첫차 || 04:00 ||<|2> 기점[br]행 || 첫차 || 05:03 || || 막차 || 22:30 || 막차 || 23:32 || ||<-2> 평일배차 || 9~18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9~18분/공휴일 12~22분 || ||<-2> 운수사명 ||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 ||<-2> 인가대수 || 17대(예비 1대)[* 공휴일 15대 운행] || ||<-2> 노선 ||<-4> 송추반석전원교회 - 장골부대 - 송추초등학교.송추검문소 - 72보병사단 - 우이령.오봉산석굴암입구 - 노고산예비훈련장 - 효자2통 - [[북한산성]]입구 - 백화사 - 은평뉴타운푸르지오.아이파크 - 진관중고교.약수사앞 - [[구파발역]] - [[연신내역]].연서시장 - [[불광역]] - [[녹번역]] - [[홍제역]] - [[무악재역]] - [[독립문역]].한성과학고 - 영천시장 → [[서대문역]]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 승강장) → [[숭례문]] → [[남대문시장]] → 롯데영프라자 → [[조계사]] → 덕성여중고 → [[세종문화회관]] →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 [[서대문역]]사거리 → 영천시장 → 이후 역순 || == 개요 == [[제일여객(서울)|제일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 거리는 54.3km다. [[http://map.naver.com/?busId=1258|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124|구 156번]] 도시형버스(부곡리 - 광화문)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704번으로 바뀌었다. * 은평뉴타운 조성 공사로 인해 북한산길이 폐쇄되면서, 2007년 12월 13일에 지축교 경유로 바뀌었다. * 회차지를 서울역에서 홍대로 변경하고 772번으로 번호를 변경할 예정이였으나 취소되었다. * 2017년 11월 1일에 [[서울 버스 7723|7723번]]의 폐지 구간을 대체하기 위해 '백화사 → 관음사입구 → 약수사입구 → 구파발역’ 구간이 '백화사 → 하나고교 → 기자촌네거리 → 구파발역’으로 바뀌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3593914#pdfview|관련 공문]] 그리고 [[서울 버스 773|구 706번(현 773번)]]이 녹번동으로 단축되면서 1대가 증차되었다. * 2018년 10월 15일 첫차부터 은평뉴타운 2단지를 포함한 은평뉴타운 2지구 경유가 아닌 다시 은평뉴타운 1지구 경유로 환원되었다. 다만 2017년 10월까지의 방식 그대로 [[북한산로]]를 경유하는 형태는 아니고, [[진관4로]]를 경유하도록 수정 환원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6157496|관련 공문]] * 2019년 5월 27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기간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1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되었으며, 1일 총 운행횟수도 일시적으로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7회씩, 공휴일의 경우 6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의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보인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884349|관련 공문]] * 2019년 11월 4일부터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15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60분으로 5분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각각 2회씩 감회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배차간격 변동 수준은 미미할 것으로 예상된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229627|관련 공문]] * 2020년 5월 30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기간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되었으며,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5회씩, 공휴일의 경우 4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0462509|관련 공문]] * 2021년 5월 24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기간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7회씩, 공휴일의 경우 5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901936|관련 공문]] * 2022년 5월 16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기간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4회/91회/82회인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 각각 7회씩, 공휴일의 경우 5회 감회되어 87회/84회/77회로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2901936|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2대가 [[서울 버스 N75|N75번]]으로 이동하고, [[서울 버스 7211|7211번]] 예비차 2대 중 1대가 이 노선으로 이동했다. 이에 따라 운행댓수가 평일은 단축운행차량 2대가, 토요일은 정상운행차량 1대가 감축되었으나, 투입된 예비차량이 평일/토요일에는 정상운행차량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게 되면서 이번 조치에 의한 운행횟수 및 배차간격 변동 발생은 없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286024|관련 공문 1]]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321987|관련 공문 2]] * 2022년 11월 28일부로 송추 - 진관 간 공차회송 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송추반석전원교회 - 솔고개.교현예비군훈련장' 구간이 단축됨과 동시에, 기점이 진관공영차고지로 변경되어 '''진관(기점) → 서울역(회차) → 구파발 → 솔고개 → 구파발 → 진관(종착)''' 순으로 운행하도록 변경될 예정이었으나, 양주시 장흥면 주민들의 민원이 폭주하면서 대체 방안이 마련될 때까지 노선 조정이 보류되면서 연기되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212040|704번 단축 관련 민원답변]][[https://m.dcinside.com/board/transit/565115|관련 게시물]] * 2023년 일자 미상으로 평일과 토요일에 정상운행차량과 동일한 형태로 운행하던 예비차량이 더 이상 투입되지 않고, 동시에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단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4회/91회/82회에서 86회/86회/81회로 8회/5회/1회 감회되었다. 또한 평일/토요일 각각 9~15분/10~20분이던 배차간격도 평일/토요일 모두 9~18분으로 변경되었다. * 2023년 5월 16일부터 동년 8월 31일까지 하절기 기간 가스충전 횟수 증가에 따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일시적으로 감축 운행되며, 이에 따라 본래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86회/86회/81회인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6회 감회되어 80회/80회/74회로 운영된다. 또한 이 기간동안 9~18분이던 평일/토요일 배차간격이 10~20분으로 증가하며, 공휴일의 최대 배차간격도 22분에서 25분으로 증가한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8409113|관련 공문]] == 특징 == * 1953년에 신설되어 현존하는 서울특별시의 가장 오래된 시내버스노선이다. * 개편 전부터 장흥면(송추) 교현리, 부곡리 일대 주민들의 서울행과 [[북한산]] 등산 수요가 많은 노선이다. 또한 [[서울 버스 108|108번]]이 폐선됨에 따라 서울시내버스 중 사실상 유일한 양주시 경유 노선이 되었다.[* [[서울 버스 서울05|서울05번]]도 있으나, 맞춤버스이기 때문에 정규 노선으로는 유일하다.] 또한 [[장흥면|양주시]] 기점은 [[1권역]]에 속하지만 [[도봉구]]의 정반대인 [[은평구]] 쪽으로 들어오기 때문에 [[7권역]] 노선이다. * 서울 도심.서북권의 예비군 훈련장들을 경유하기 때문에, 예비군 훈련일만 되면 만차가 된다. 또한 노선 연선에 군부대들도 많이 있어서, 토요일 아침만 되면 북한산 등산객에 외출/외박 나오는 병사들까지 더해져 만차가 된다. * [[북한산#s-2.2.1|북한산성 코스]]를 경유하는 관계로 주말의 수요도 많다. 실제로 주말에 구파발역 2번출구에 나가 보면 등산복 차림의 사람들이 몰려있는데, 십중팔구 이 노선 아니면 8772번을 기다리는 사람들이며, 704번과 함께 쌍으로 터져나간다. 하지만 이 정도는 양반인 것이, 도심 방향으로 이 노선이나 34번을 탈 경우, 송추 쪽으로 하산한 등산객들이 이미 자리를 깔고 온 상태라 만차 상태이며, 더 못 태워서 지나치는 경우가 부지기수이다. 그래서 이러한 패턴을 잘 아는 등산객들은 가급적 북한산성 쪽으로 하산하지 않는 편이며, 대부분 구기동이나 평창동 쪽으로 하산한다. 그 외에도 주말/공휴일에 종점인 송추차고지 앞에서 [[양주 버스 365|365-2번]]을 이용하여 기산리나 마장호수로 갈 수도 있다. * 이 노선 외에 [[의정부 버스 34|34번]]도 [[북한산성]] 앞을 경유하나 [[의정부시]]쪽 수요도 충분히 많은데다 배차간격도 길다. 관할 광역자치단체가 달라 요금 차이도 발생한다. * 2004년 개편 직후에는 이 노선의 지선격인 [[서울 버스 7725#s-3|7023번]](구 156-1번, 송추영업소 - 송추검문소 - 장흥유원지 - 일영유원지 - 효자동주민센터 - 구파발역 - 불광동 - 홍제동 - 독립문 - 서울역 - 숭례문 - 조계사 - 광화문)도 있었으나 수 차례 단축 끝에 2008년 폐선되었다. * 2004년 11월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270081|맞춤버스]] 정책에 따라 주말.공휴일에 [[서울 버스 8772|8772번]]이 이 노선을 보조해 운행한다. 등산객을 위한 노선답게 이쪽은 [[진관공영차고지]]에서 [[북한산성]]까지만 운행하며, [[서울 버스 720|720번]]의 주말 감축분이 이 노선에 투입된다. * 부곡리 기점부터 서울 시계까지의 구간은 서울교통정보센터(TOPIS)에서 제공하는 BMS에 통신 시스템 충돌로 인해 차량 운행 상황이 잡히지 않아 대중교통 앱 등으로 직접 확인해야 했으나, 2015년 11월부터 신형 LTE 단말기의 BMS 기능이 정식 가동을 시작하면서 검색이 가능하게 되었다. * 2014년 12월 송추차고지의 이동식 충전소 철거에 따라 공차 거리가 발생하여 2~3분 정도 배차가 늘어났다. [[진관공영차고지]]로 가서 충전하며, 부곡리차고지에서 진관공영차고지까지는 14km 떨어져 있다. 충전 차량은 차량 앞쪽에 충전소 행 안내판을 달고 다닌다. * 의정부를 직접 경유하지는 않지만, [[의정부 버스 34|34번]] · [[의정부 버스 360|360번]]과 함께 [[은평구]]에서 [[의정부시]]로 넘어갈 때 자주 이용된다. 이 노선을 이용하면 송추 가마골로 연선에서 [[의정부 버스 23|23번]]으로 환승해서 의정부로 가면 된다. * 심야 시간대에는 구파발역의 구원자같은 노선이다. 구파발역에서 은평뉴타운 방향으로 가는 대부분 버스들은 뉴타운 방향이 종점 방향이라 막차가 23:00대에 거의 다 끊긴다. 기점이 상대적으로 훨씬 위쪽(송추)이라서 꽤 늦게까지 다니는 편. * 종로(광화문)에서 구파발로 갈 때 매우 혼잡한 720번이나 741번을 편도로 (특히 야간에) 백업한다. 하지만 종로 중앙차로 공사 때문에 471번이 서울역으로 갔을 적에는 당연히 이 노선도 혼잡도가 심해졌다. * 현재 서울특별시 면허로 읍/면지역을 경유하는 몇 안 되는 버스 노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나머지는 [[서울 버스 1155|1155번]]([[남양주시]] [[별내면]]), [[서울 버스 774|774번]]([[파주시]] [[파주시/행정|광탄면, 파주읍]]). === 2017년 은평뉴타운 구간변경 === * 2017년 11월 1일, 서울시 7권역 노선개편안에 따라 [[서울 버스 7723|7723번]]이 은평뉴타운 2, 3지구 운행을 폐지하면서 이 노선이 7723번을 대체하는 노선으로 결정되었으며 기존 진관중고교 앞 경유에서 하나고, 삼천사, 진관사입구를 경유하여 7723번 폐지 구간을 대체한다. 또한 [[구파발역 환승센터]]를 양방향 경유한다. * 개편 후부터 제각말 아파트(2단지)에서 [[구파발역]]으로 갈 때 [[구파발역 환승센터]]에 경유하기 위해 갑자기 [[통일로]]로 진입해 롯데몰을 한바퀴 돈다. 전 정류소인 진관동주민센터에서 구파발역까지 걸어갈때보다도 오래걸리기 때문에 대부분의 은평뉴타운 주민들은 진관동주민센터에서 걷는 경로를 택한다. 시간이 없을 경우 진관동주민센터에서 걸어가자. 이는 구파발역 환승센터 구조가 엉뚱해서 생긴 문제라 어쩔 수 없다. * 그러나 몇몇 단축 노선들을 [[구파발역]]에서 커버하는 수요가 갑자기 늘어나, [[진관동]] 구간에서 심각한 헬게이트가 벌어지고 있다. * 2018년 10월 15일부터 지금까지 말도 많고 탈도 많았던 704번이 다시 변경 이전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이번 개편안은 이 노선 외에도 [[서울 버스 741|471번(현741번)]], [[서울 버스 7723|7723번]] 그리고 사실상 신설노선인 [[서울 버스 708|708번]]이 있는데, 본 안은 지난 4개월간 은평뉴타운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한 서울시의 확정안이다. 실제 진관동 커뮤니티에서 본 노선을 포함 진관동 여러 노선들을 바꾸어달라고 요구를 하였고, 서울시에서 이를 수용했기 때문에 은평뉴타운 주민들의 영향이 크다. 다만 [[북한산로]]가 아닌 진관4로를 경유하여, [[서울 버스 7211|7211번]], [[서울 버스 7723|7723번]], [[서울 버스 708|708번]]과 함께 은평뉴타운 1지구 주민들의 발이 되어 주고 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4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0,940명 || - || || 2014년 || 10,515명 || {{{#blue ▽ 425}}} || || 2015년 || 9,523명 || {{{#blue ▽ 992}}} || || 2016년 || 9,274명 || {{{#blue ▽ 249}}} || || 2017년 || 9,330명 || {{{#red △ 56}}} || || 2018년 || 9,693명 || {{{#red △ 363}}} || || 2019년 || 10,489명 || {{{#red △ 796}}} || || 2020년 || 8,451명 || {{{#blue ▽ 2,038}}} || || 2021년 || 8,561명 || {{{#red △ 110}}} || || 2022년 || 9,564명 || {{{#red △ 1,003}}}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704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6> 우리은행종로지점[br]02139 || ||<|2> 조계사.종로경찰서[br]01201 ||<|2> {{{#ffffff ↓}}} ||<-2> {{{#ffffff ←}}} ||<|2> {{{#ffffff ↑}}} ||<|2> 롯데영프라자[br]02142 || || || || || 덕성여중고[br]01130 || || || || || 남대문시장앞.이회영활동터[br]02219 || || 세종문화회관[br]01126 || {{{#ffffff ↓}}} || || || {{{#ffffff ↑}}} || 숭례문[br]02122 || || 광화문[br]01125 || || ||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6번승강장)[br]02006''' || || 서울역사박물관.경교장.강북삼성병원[br]01123 || {{{#ffffff ↓}}} || || {{{#ffffff ↑}}} || || 경찰청.동북아역사재단[br]13039 || ||<-6> 이상 회차 구간 || || 서대문역사거리.적십자병원[br]01169 || || || || || 서대문역[br]13038 || || 영천시장[br]13037 || || {{{#ffffff ↓}}} || {{{#ffffff ↑}}} || || 영천시장[br]13036 || || 독립문역.한성과학고[br]13035 || || || || || 독립문역.한성과학고[br]13034 || || - || || {{{#ffffff ↓}}} || {{{#ffffff ↑}}} || || 안산초등학교[br]13033 || || 무악재역[br]13032 || || || || || 무악재역[br]13031 || || 인왕산.홍제원아파트[br]13040 || || {{{#ffffff ↓}}} || {{{#ffffff ↑}}} || || 홍제삼거리.인왕산한신휴플러스[br]13030 || || 홍제역.서대문세무서[br]13029 || || || || || 홍제역.서대문세무서[br]13028 || || 산골고개[br]13027 || || {{{#ffffff ↓}}} || {{{#ffffff ↑}}} || || 산골고개[br]13026 || || 녹번역[br]12027 || || || || || 녹번역[br]12028 || ||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br]12025 || || {{{#ffffff ↓}}} || {{{#ffffff ↑}}} || || 한전서대문은평.북한산푸르지오[br]12026 || || 불광역3호선.서울혁신파크[br]12023 || || || || || 불광역3호선.서울혁신파크[br]12024 || || 불광역3.6호선[br]12021 || || {{{#ffffff ↓}}} || {{{#ffffff ↑}}} || || 불광역3.6호선[br]12022 || ||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br]12019 || || || || || 동명여고.천주교불광동성당[br]12020 || || 연신내역.연서시장[br]12017 || || {{{#ffffff ↓}}} || {{{#ffffff ↑}}} || || 연신내역.연서시장[br]12018 || || 세명컴퓨터고등학교[br]12015 || || || || || 세명컴퓨터고등학교[br]12016 || ||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br]12013 || || {{{#ffffff ↓}}} || {{{#ffffff ↑}}} || || 박석고개.신도고등학교[br]12014 || || 은평성모병원[br]12451 || || || || || - || || 구파발역2번출구[br]12111 || {{{#ffffff ↓}}} || || || {{{#ffffff ↑}}} || 구파발역.롯데몰(서울도심)[br]12112 || || 롯데캐슬823동앞[br]12429 || || || || || 래미안909동앞[br]12436 || || 진관중고교.약수사앞[br]12435 || {{{#ffffff ↓}}} || || || {{{#ffffff ↑}}} || 진관중고교.약수사앞[br]12430 || || 아이파크714동앞[br]12453 || || || || || - || || 아이파크701동앞[br]12431 || {{{#ffffff ↓}}} || || || {{{#ffffff ↑}}} || 아이파크708동앞[br]12457 || || 푸르지오604동앞[br]12455 || || || || || 푸르지오621동앞[br]12432 || || 푸르지오614동앞[br]12456 || {{{#ffffff ↓}}} || || || {{{#ffffff ↑}}} || - || || 삼천리골입구.56사단북한산부대[br]12237 || || || || || 삼천리골입구.56사단북한산부대[br]12230 || || 입곡삼거리[br]12441 || {{{#ffffff ↓}}} || || || {{{#ffffff ↑}}} || - || || 백화사[br]12231 || || || || || 백화사[br]12236 || || 흥국사[br]12232 || {{{#ffffff ↓}}} || || || {{{#ffffff ↑}}} || 흥국사[br]12235 || || 북한산성입구[br]12233 || || || || || 북한산성입구[br]12234 || || 효자치안센터[br]35090 || {{{#ffffff ↓}}} || || || {{{#ffffff ↑}}} || 효자치안센터[br]35089 || || 관세농원[br]35102 || || || || || 관세농원[br]35101 || || 제3697공병부대[br]35092 || {{{#ffffff ↓}}} || || || {{{#ffffff ↑}}} || 제3697공병부대[br]35087 || || 효자비[br]35081 || || || || || 효자비[br]35098 || || 효자2통[br]35079 || {{{#ffffff ↓}}} || || || {{{#ffffff ↑}}} || 효자2통[br]35095 || || 사기막골[br]35085 || || || || || 사기막골[br]35096 || || 북한산동원훈련장[br]35078 || {{{#ffffff ↓}}} || || || {{{#ffffff ↑}}} || 북한산동원훈련장[br]35082 || || 상미조경[br]35084 || || || || || 상미조경[br]35099 || || 지축예비군훈련장[br]35100 || {{{#ffffff ↓}}} || || || {{{#ffffff ↑}}} || 지축예비군훈련장[br]35077 || || 솔고개.교현예비군훈련장[br]68188 || || || || || 솔고개.교현예비군훈련장[br]68187 || || 응지마을.연대앞[br]68189 || {{{#ffffff ↓}}} || || || {{{#ffffff ↑}}} || 응지마을.연대앞[br]68220 || || 우이령.오봉산석굴암입구[br]68206 || || || || || 우이령.오봉산석굴암입구[br]68190 || || 샘골[br]68208 || {{{#ffffff ↓}}} || || || {{{#ffffff ↑}}} || 샘골[br]68207 || || 72보병사단[br]68192 || || || || || 72보병사단[br]68191 || || 이안동[br]68194 || {{{#ffffff ↓}}} || || || {{{#ffffff ↑}}} || 이안동[br]68193 || || 송추초등학교.송추검문소[br]68237 || || || || || 송추초등학교.송추검문소[br]68236 || || 푸른마을아파트[br]68229 || {{{#ffffff ↓}}} || || || {{{#ffffff ↑}}} || 푸른마을아파트[br]68209 || || 우남아파트[br]68231 || || || || || 우남아파트[br]68230 || || 부곡2리.청담에비뉴[br]68211 || {{{#ffffff ↓}}} || || || {{{#ffffff ↑}}} || 부곡2리.청담에비뉴[br]68195 || || 장냇말앞[br]68221 || || || || || 부곡리4반[br]68233 || || 장골부대앞[br]68216 || {{{#ffffff ↓}}} || || || {{{#ffffff ↑}}} || 장골부대앞[br]68234 || || 부곡1리마을회관[br]68222 || || || || || 부곡1리마을회관[br]68235 || || 송추반석전원교회[br]68224 || {{{#ffffff ↓}}} || || || {{{#ffffff ↑}}} || - || ||<-6> '''송추반석전원교회[br]68223 · 68217'''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역]], [[종각역]][* 조계사]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을지로입구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구파발역]], [[연신내역]], [[불광역]], [[녹번역]], [[홍제역]], [[무악재역]], [[독립문역]], [[안국역]][* 덕성여중고]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서대문역]], [[광화문역]][* 세종문화회관]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연신내역, 불광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역버스환승센터 경유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7권역]][[분류:1953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양주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고양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