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6권역 지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8043738286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 6713번 아폴로.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713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713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경기도 광명시 철산동(세풍운수종점) ||<-2> 종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동교동(홍대입구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25 || || 막차 || 22:20 || 막차 || 23:35 || ||<-2> 평일배차 || 10~12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1~17분 / 공휴일 12~18분 || ||<-2> 운수사명 || [[세풍운수]] ||<-2> 인가대수 || 20대[* 토요일 16대 / 공휴일 14대 운행] || ||<-2> 노선 ||<-4> 세풍운수종점 - 철산현대아파트 - 철산교 - [[개봉역]] - [[구일역]] - 신도림동.[[구로역]] - [[신도림역]] - 도림새마을금고 - [[신풍역]].백악관웨딩문화원앞 - 신길힐스테이트클래시안/신길중앙새마을금고신길4동지점 - 신길한성아파트/보라매SK뷰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 - {{{#aaa 서강대교}}} -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 신촌로터리 → [[홍대입구역]] → 서교동주민센터.마포신문사 → 동교로사거리 → 홍대입구역 → 이후 역순 || == 개요 == [[세풍운수]]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39.5km다.[[https://m.map.naver.com/bus/lane.naver?busID=119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47|구 121번]] 도시형버스(철산1동 - 서울대)가 전신이다. 1980년대 초까지는 광명사거리가 종점이었으나 철산주공아파트가 건설되면서 철산동으로 연장되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구 30번이 폐선되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해 광복시장, 철산교 경유로 변경되면서 6513번으로 번호가 바뀌었다. 기존 121번의 '철산2동사무소 - 광명시청 - 광명역(현 광명사거리역) - 진성학원' 구간은 6638번으로 분리 신설하였다. * 2005년 10월 18일에 여의도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걸로 바뀌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791|관련 공지사항]] * 2018년 11월 19일에 [[서울 버스 6615|6615번]]의 신설에 따라 상용차 1대가 넘어가면서, 이 노선의 일 운행횟수가 평일과 공휴일에는 6회, 토요일에는 5회 감회되었으며 배차간격도 기존보다 1분가량 늘었다. 또한 이 노선의 예비차도 이 날부터는 6616번, 6638번과 공동 사용하게 되었다.[[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4314|관련 공지사항]] * 2019년 6월 1일에 1대가 감차되면서, 운행댓수도 평일에 한해 1대 감차되었다. 토요일/공휴일의 운행계통은 그대로 유지되며, 감차된 1대는 [[서울 버스 6638|6638번]]에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운행횟수도 5회 감회되고, 배차간격도 1~2분가량 늘어나게 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7879641|관련 공문]] * 2019년 8월 19일에 1대가 '감차되어 [[서울 버스 6615|6615번]] 증차분으로 투입됨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차량이 1대씩 감축되었으며 1일 총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6회씩 감회되었다. 이와 동시에 각 요일별 최소/최대 배차간격도 전반에 걸쳐 1분씩 늘어났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476793|관련 공문]] * 2022년 6월 20일을 기해 예비차 1대가 감차되면서 본 노선 소속의 고정 예비차는 없게 되었다. 다만 비투입 예비차량에 대한 감차이기에 각 요일별 1일 총 운행횟수나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6153844|관련 공문]] * 2022년 10월 17일을 기해 '신도림역 - 영등포역 - 여의도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서울지방병무청 - 서울공업고등학교 - 신대방삼거리 - 롯데관악점 - 신림사거리.신림역 - 서원동문화교 - 대학동고시촌/신성초등학교 - 서울산업정보학교.삼성교 - 서울대학교' 구간이 '신도림역 - 도림새마을금고 - 신풍역.백악관웨딩문화원앞 - 신길힐스테이트클래시안[* 홍대입구역 방면.]/신길중앙새마을금고[* 철산동 방면.] -[* 해군호텔은 정차하지 않고 신길지하차도로 그대로 통과한다.]신길한성아파트/보라매SK뷰 - 서울지방병무청 - 샛강역.여의도자이 - 여의도역 - 국회의사당 - 광흥창역.서강동주민센터 - 신촌로터리 - 홍대입구역'으로 변경되었다.[* 당초 신길뉴타운 구간은 신풍로, 보라매역, 강남중학교로 갈 계획이었으나 영등포구에서 가마산로 동쪽지역 교통난을 이유로 신길지하차도 쪽으로 바꾼 것이다.] 이와 동시에 노선번호 역시 기존 6513번에서 6713번으로 변경되었으며, 기점 막차시각이 22:30에서 22:20으로 10분 앞당겨졌다. 이번 노선변경으로 인가 운행소요시간은 165분에서 175분으로 늘어났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됨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10회/88회/84회에서 106회/85회/74회로 감회되었으며 배차간격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9~15분/10~15분/10~16분에서 10~17분/11~17분/12~19분으로 확대 조정되었다.[* 같은 날을 기해 '여의도역 - 신대방삼거리 - 모자원고개' 구간을 동일하게 운행하던 [[서울 버스 163|153번(단축 후 163번)]]까지도 대방역 회차로 단축되면서 상도로, 보라매로 구간을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따라 [[서울 버스 461|461번]], [[서울 버스 753|753번]]의 부담이 더욱 커질 전망인데, 신대방삼거리/모자원고개 등 신림선 역으로부터 거리가 먼 지역 입장에서는 여의도 방향 버스 중 2개 노선(두 노선을 합산한 평일 기준 일 운행횟수는 노선조정 직전 시점 기준 271회)이 한번에 감축되면서 2022년 10월 현재 평일 기준 일 120회 운행되는 461번 1개 노선만 남겨질 뿐인데다 공급량 감축 폭 완화를 위한 추가적인 조치마저 마련된 바도 전무했기 때문이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6940734|관련 공문(서울정보소통광장)]][[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437|관련 공문(서울특별시버스운송사업조합)]] {{{#!folding [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6513 노선도(2022).png|width=100%]] }}} * 2022년 11월 28일을 기해 평일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75분에서 180분으로 늘었고, 평일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 역시 또 감축되면서 이에 따라 평일의 1일 총 운행횟수가 기존 대비 2회 감회된 104회로 조정되었다. 다만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른 평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 변동은 발생되지 않았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266462|관련 공문]] * 2022년 12월 1일을 기해 평일 최대 배차간격은 17분에서 12분으로, 공휴일 최대 배차간격은 19분에서 18분으로 줄어들었다.[* 단, 운행횟수는 변동 없음]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7330216|관련 공문]] == 특징 == * 철산리버빌아파트나 구로동 쪽 월경지만 스쳐가는 노선을 제외하고, 광명시를 거쳐가는 노선 중에서 존재감이 적은 편이다. 광복시장 정도만 스쳐가기 때문. [[광명 버스 17|17번]]과 함께 광복로로 지나간다. 철산동 최북단(철산1동)에 거주하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광명시민에게는 애매한 노선. * 도림로 도림새마을금고 ~ 신길5동주민센터 구간은 [[서울 버스 5618|5618번]]하고 겹치게 되었지만 서로 반대로 운행하며[* 성락교회사거리를 기준으로 북쪽은 영등포역(5618), 신도림역(6713)/남쪽은 대림역(5618), 신풍역(6713) 방면이다.], 여의도역이나 샛강역으로 갈 경우에는 기존처럼 5618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며, 신도림역에서 여의도역이나 샛강역으로 갈 때도 [[서울 버스 503|503번]]을 이용하는 것이 더 빠르다. * 현재 노선 변경에 대해 비판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이 개통되면서 2022년 10월 17일부로 [[서울 버스 163|153번]] 대방역 이남 구간 단축과 동시에 이 노선도 동시에 변경되었는데, 문제는 신림선이 지나가지 않는 모자원고개와 신대방삼거리에서 여의도까지 이어주는 노선이 [[서울 버스 461|461번]] 한 노선 밖에 없어 461번의 혼잡도가 더 심해졌다. 게다가 노선 변경 전 공군호텔~서울대까지 겹쳤던 6514번도 혼잡도가 심해졌다. 동시에 개봉동에서 바로 영등포역, 여의도 구간으로 이어지는 노선이 신길뉴타운을 경유하고 여의도로 이어지는 노선으로 변경하면서 수요가 증발해버렸는데[* 진짜 이게 얼마나 심각한거냐면 503, 5012, 5634번 혼잡도 또한 461번 만큼은 아니지만 극심해졌다. 오죽하면은 15분 기다려서 503, 5012, 5634 타는게 더 나은 수준.], 그나마 수요 있는 구간은 개봉동 ~ 신도림역[* 해당 구간에서는 [[서울 버스 6637|6637번]], [[시흥 버스 530|530번]]과 수요를 분담한다.], 공군호텔 ~ 여의도역[* 해당 구간에서는 [[서울 버스 461|461번]], [[서울 버스 753|753번]], [[서울 버스 5623|5623번]]과 수요를 분담한다.]인데 이 구간도 6513번 시절의 구간이다. 서울시 버스정책의 탁상행정을 제대로 보여주는 또다른 사례 라고 할 수 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4>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51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비고 || || 2013년 || 18,493명 || - || || || 2014년 || 18,316명 || {{{#blue ▽ 177}}} || || || 2015년 || 18,650명 || {{{#red △ 334}}} || || || 2016년 || 18,522명 || {{{#blue ▽ 128}}} || || || 2017년 || 17,864명 || {{{#blue ▽ 658}}} || || || 2018년 || 16,522명 || {{{#blue ▽ 1,342}}} || || || 2019년 || 13,958명 || {{{#blue ▽ 2,564}}} || || || 2020년 || 10,065명 || {{{#blue ▽ 3,893}}} || || || 2021년 || 9,526명 || {{{#blue ▽ 539}}} || || || 2022년 || 10,008명 || {{{#red △ 482}}} || [* 1월 1일부터 노선변경일 직전인 10월 16일까지 289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4>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6713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비고 || || 2022년 || 6,871명 || - || [* 노선변경일인 10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 76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4>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9년에 전년도에 비해 승객이 2500명이나 줄었는데, 이는 한해동안 3대나 감차됐기 때문이다. * 노선 대폭변경으로 인해 신길동과 홍대입구쪽 수요로 인해 163, 5713번 수요분산 등 새로운 수요가 기대될 것으로 보였으나 앞서 전술했듯이 구간 수요 증발 등으로 인해 3,000명 이상이나 감소했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개봉역]], [[구일역]], [[구로역]], [[신도림역]], [[대방역]][*A 공군호텔 하차.]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 [[신촌역(도시철도)|신촌역]], [[홍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도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광흥창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 [[샛강역]], 여의도역, [[국회의사당역]] * [[파일:Sillim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신림선]]: [[서울지방병무청역]], 대방역[*A], 샛강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강대역]][* 신촌로터리 하차], 홍대입구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홍대입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분류:1987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광명시 경유 관외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