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 1권역 지선버스)] || [[파일:IMG_0140(1711_8997).jpg|width=100%]] || [[파일:IMG_4775-1.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71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711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동(청덕초등학교) ||<-2> 종점 || 서울특별시 마포구 공덕동(공덕역) || ||<|2> 종점[br]행 || 첫차 || 04:30 ||<|2> 기점[br]행 || 첫차 || 05:15 || || 막차 || 23:00 || 막차 || 23:40 || ||<-2> 평일배차 || 4~9분 ||<-2> 주말배차 || 7~10분 || ||<-2> 운수사명 ||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 ||<-2> 인가대수 || 24대[* 토요일 / 공휴일 18대 운행.] || ||<-2> 노선 ||<-4> 청덕초등학교 - 국민대학교 - {{{#aaa 북악터널}}} - 평창동롯데캐슬 - 평창동주민센터 - 상명대학교 - {{{#aaa 자하문터널}}} - 경기상고 - [[경복궁역]] - [[세종문화회관]] - 시청앞.[[덕수궁]]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3번 승강장 →/← 7번 승강장 ←) - [[숙대입구역]] - [[남영역]] - 원효로2가 - 도원삼성래미안아파트 - [[공덕역]] || == 개요 == [[도원교통(서울)|도원교통]]에서 운행하는 지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9.93km다.[[http://map.naver.com/?busId=908&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100번대#s-80|구 135번]] 도시형버스(국민대 - 공덕역)가 전신이다. 이 때는 도원교통과 [[유성운수]]에서 공동 배차로 운행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노선 변동없이 번호가 1711번으로 변경되었고, 도원교통에서 단독 운행하게 되었다. * 2004년 8월 9일 자하문길 왕복 운행으로 변경되었다. * 2005년 5월 19일 공덕역 - 대흥역 - 마포세무서 - 광흥창역 - 합정역 → 홀트아동복지회 → 새서울의원 → 망원정입구 → 성산초교 → 합정역 구간이 연장되었다. * 2006년 4월 13일 다시 공덕역으로 단축되었다. [[http://www.sbus.or.kr/change/view.htm?inseq=914|관련 공지사항]] * 2013년 9월 N62번 신설로 1대가 감차되었고, 2016년 11월 28일에는 N62번 증차로 1대가 감차되었다. * 2022년 8월 22일을 기해 평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122분에서 125분으로 늘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는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각 요일별 1일 총 운행횟수는 182회/142회/142회에서 7회/2회/2회씩 감회된 175회/140회/140회로 조정되었으며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평일의 최소/최대 배차간격이 4~8분에서 4~9분으로 조정되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6608384|관련 공문]] == 특징 == * 주 수요처는 [[국민대학교]], 상명대학교, [[평창동]], 세검정, [[청운동]] 등 종로구에서 나오며 대부분 세종문화회관, 시청, 서울역에서 다 내리고 또 도심에서 타 용문동에서 많이 내린다. 물론 공덕역 수요도 많다. 자하문로 완주하는 노선들 중에서 제일 배차가 좋아 가장 인지도가 높은 노선이며, 7016번이 등/하교시간에는 앞문까지 꽉 차므로 등교 때는 세검정교회에서 [[서울 버스 종로13|종로13번]]을 타고 오거나 언덕을 걸어올라가고, 하교 때는 언덕을 내려가서 1711번을 탄다. * [[서울예술고등학교]]를 지나가므로 평창동~갈월동에서 하교시간에 북새통이 된다. 여러 지역에서 오는 학생들 특성상 등굣길엔 보통 사설 셔틀을 이용하지만 하교 때에는 대중교통을 많이 이용기에 이 노선이 셔틀버스나 다름 없다. * 가스 충전은 대진여객 차고지에서 한다. 이때 차고지 내 하차 승객이 있으면 [[서울 버스 171|171번]] 출발점에서 하차시킨 후 이동하며, 차고지 들어오기 전에 승객이 다 내리면 차고지를 거치지 않고 곧장 대진여객 차고지 방향으로 간다. * 도심 집회 등으로 우회 운행 시 우회 경로 상의 정류장에서 하차는 물론 승차 요청 시 승차도 받도록 회사 차원에서 기사교육을 한다고 한다. 이를 아는 일부 승객들은 우회 시 아예 기사에게 [[서대문역]]에 승하차 요청을 한다. 보통 우회 운행 시 경유하는 정류장에서 하차만 주로 시켜준다는 점[* 서울시에서 시행하는 우회 공문에도 하차요구 시 하차 시켜줄 것만 명시되어 있다.]을 생각해보면, 회사가 시민을 배려함을 알 수 있다. 물론 중앙버스전용차로 상의 일부 우회 정류소는 하차 요청이 없을 시 옆 차로로 그냥 통과할 수 있다. * [[서울 버스 1020|1020번]]은 부암동주민센터와 자하문고개를 경유하지만, 이 노선은 자하문터널을 통과하므로 평시에는 도심까지 비교적 빨리 이동한다. 출근시간에는 터널에서 정체가 심해 1020번이 더 빠르다. * --용문시장을 직접적으로 경유하는 유일한 노선이다.-- [[서울 버스 0017|0017번]]도 용문시장을 새창로를 통해 양방향 경유하며 효창원로를 통해 새마을금고 앞 시장 입구까지도 커버한다. * 공덕역→서울역버스환승센터 이동 시 [[서울 버스 173|173번]], [[서울 버스 261|261번]], [[서울 버스 463|463번]], [[서울 버스 604|604번]], [[서울 버스 7013|7013번]]이 더 빠르다. 단 반대방향은 이용이 불가능하며 1711번만이 서울역버스환승센터에 양방향 정차한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71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6,512명 || - || || 2014년 || 16,308명 || {{{#blue ▽ 204}}} || || 2015년 || 16,401명 || {{{#red △ 93}}} || || 2016년 || 15,704명 || {{{#blue ▽ 697}}} || || 2017년 || 14,976명 || {{{#blue ▽ 728}}} || || 2018년 || 14,771명 || {{{#blue ▽ 205}}} || || 2019년 || 14,928명 || {{{#red △ 157}}} || || 2020년 || 10,848명 || {{{#blue ▽ 4,080}}} || || 2021년 || 11,045명 || {{{#red △ 197}}} || || 2022년 || 12,857명 || {{{#red △ 1,812}}}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노선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지선버스 1711번}}} || ||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16px" ||<|2> '''공덕역'''[br]'''14153''' ||<|2> ||<-2> {{{#ffffff ←}}} ||<|2> ||<|2> 서울대동창회관[br]14152 || || || || || 공덕역10번출구[br]14135 || {{{#ffffff ↓}}} || || || {{{#ffffff ↑}}} || 공덕역10번출구[br]14134 || || 도화동현대아파트[br]14154 || || || || || 도화동현대아파트[br]14155 || || 도원삼성래미안아파트[br]03244 || {{{#ffffff ↓}}} || || || {{{#ffffff ↑}}} || 도원삼성래미안아파트[br]03243 || || 중앙하이츠빌라앞[br]03246 || || || || || 중앙하이츠빌라앞[br]03245 || || 용문시장[br]03247 || {{{#ffffff ↓}}} || || || {{{#ffffff ↑}}} || 용문시장[br]03248 || || 남정초등학교[br]03143 || || || || || 원효로2가[br]03144 || || 용산e편한세상[br]03142 || {{{#ffffff ↓}}} || || || {{{#ffffff ↑}}} || - || || 용산꿈나무종합타운[br]03346 || || || || || 용산꿈나무종합타운.원효로우체국[br]03141 || || 용산경찰서[br]03140 || {{{#ffffff ↓}}} || || || {{{#ffffff ↑}}} || 용산경찰서[br]03139 || || 남영역[br]03111 || || || || || 남영역[br]03110 || || 숙대입구역[br]03009 || || {{{#ffffff ↓}}} || || {{{#ffffff ↑}}} || 갈월동4호선숙대입구[br]03327 || || 갈월동[br]03011 || || || || || 갈월동[br]03012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강우규의거터[br]02007 || || {{{#ffffff ↓}}} || || {{{#ffffff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br]02003 || || 시청앞[br]02128 || || || || || 삼성본관앞[br]02131 || || 서울신문사[br]02137 || {{{#ffffff ↓}}} || || || {{{#ffffff ↑}}} || 시청앞.덕수궁[br]02286 || || KT광화문지사[br]01118 || || || || || 세종문화회관[br]01126 || || 경복궁역[br]01116 || {{{#ffffff ↓}}} || || || {{{#ffffff ↑}}} || 경복궁역[br]01115 || || 통인시장종로구보건소[br]01111 || || || || || 통인시장종로구보건소[br]01110 || || 효자동[br]01112 || {{{#ffffff ↓}}} || || || {{{#ffffff ↑}}} || 신교동[br]01102 || || 경기상고[br]01103 || || || || || 경기상고[br]01101 || || 자하문터널입구.석파정[br]01140 || {{{#ffffff ↓}}} || || || {{{#ffffff ↑}}} || 자하문터널입구.석파정[br]01137 || || 하림각[br]01141 || || || || || 하림각[br]01136 || || 상명대입구.세검정교회[br]01286 || {{{#ffffff ↓}}} || || || {{{#ffffff ↑}}} || 상명대입구.석파랑[br]01135 || || 세검정초등학교[br]01144 || || || || || 세검정초등학교[br]01133 || || 화정박물관[br]01164 || {{{#ffffff ↓}}} || || || {{{#ffffff ↑}}} || 갑을씨티텔앞[br]01155 || || 서울예술고등학교.평창동주민센터[br]01163 || || || || || 평창파출소[br]01156 || || 예능교회[br]01162 || {{{#ffffff ↓}}} || || || {{{#ffffff ↑}}} || 평창동주민센터[br]01157 || || 벽산평창힐스아파트[br]01161 || || || || || 일성아파트[br]01158 || || 롯데아파트[br]01160 || {{{#ffffff ↓}}} || || || {{{#ffffff ↑}}} || 롯데아파트[br]01159 || || 평창동삼성아파트[br]01293 || || || || || - || || 국민대앞[br]06107 || {{{#ffffff ↓}}} || || || {{{#ffffff ↑}}} || 국민대학교앞[br]06110 || ||<-6> '''청덕초등학교 · 청덕초교'''[br]'''08111 · 08112''' || }}}}}} || || ||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시청역(서울)|시청역]], [[서울역]], [[남영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시청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경복궁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서울역, [[숙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광화문역]], [[공덕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A 중앙하이츠빌라 하차 후 도보], 공덕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효창공원앞역[*A], 공덕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공덕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호, 공항철도 직통열차) [[분류: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0,1권역]][[분류:1987년 개업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