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0_6736.pn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울160_3256.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0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60 노선도.png|width=100%]] }}} || ||<-2> 기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도봉동(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2> 종점 || 서울특별시 구로구 온수동(온수동종점) || ||<|2> 종점[br]행 || 첫차 || 03:57[* 첫차는 2대가 동시 출발한다.]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1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6~9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8~11분 / 공휴일 10~13분 || ||<-2> 운수사명 || [[서울교통네트웍]] ||<-2> 인가대수 || 49대(예비 1대)[* 토요일 34대 / 공휴일 27대 운행] || ||<-2> 노선 ||<-4>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 서울북부지방법원.검찰청.[[도봉역]].성황당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원남동 →/← [[혜화역]] ← 종로5가.[[광장시장]] ← 종로4가.[[종묘]] ←) - 종로1가 - [[경복궁 광화문|광화문]] - [[충정로역]] - 마포경찰서 - [[공덕역]] - [[마포역]] - {{{#aaa 마포대교}}} - [[여의도환승센터]] - [[영등포역]] - [[신도림역]] - 신도림동.[[구로역]] - 동양미래대학교.구로성심병원 - [[오류동역]] - [[온수역]] - 온수동종점 || == 개요 == [[서울교통네트웍]]에서 운행하는 주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9.58km다.[[https://m.map.naver.com/bus/lane.naver?busID=1449|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2004년 7월 1일 서울특별시 버스체계 개편 때 신설되었다. * 2013년 3월 19일에 [[서울 버스 150|150번]]에서 6대를 감차해 이 노선에 증차하였다. * 2017년 3월 1일에 양 방향 막차가 10분씩 단축되어 도봉산역 광역환승센터 막차가 22시 2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7년 4월 1일에 온수역 첫차가 5시 45분, 막차가 0시 10분으로 조정되었다. * 2018년 8월 16일에 일 운행횟수가 기존보다 평일 기준 6회 감회되어 배차간격이 1분 가량 늘어났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5850728?fileIdx=1#pdfview|관련 공문]] * 2019년 6월 10일부터 첫차와 두번째 차량은 2대가 같이 출발한다. * 2019년 8월 26일부터 첫차만 2대가 같이 출발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18525048|관련 공문]] * 2021년 8월 17일부로 04:00/22:20이던 첫/막차시각이 03:57/22:10으로 당겨지고,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54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261분으로 7분 늘었다.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면서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 9회, 토요일/공휴일 6회 감회되었다. [[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602408|관련 공문]]. 첫차는 그동안 비공식적으로 4시 정각 전에 출발했으므로 사실상 인가만 현실화하는 셈이다.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기종점이 모두 1호선과 7호선의 환승역이지만, 그 외에는 7호선과 만나지 않는다. * 서울 밖을 지나지 않지만 노선 총 길이가 70km에 육박한다. 노선 선형이 거의 직선이고, 중앙버스전용차로 이용 구간이 전체의 약 90%에 달한다. 1호선이 굽이굽이 돌아가느라 커버하지 못하는 지역을 이 노선이 채워 주고 있다. * 여의도나 도심으로 출근하는 구로구 거주 직장인들이 많이 이용한다. 1호선과의 시간 차이가 크지 않을 뿐더러 경인로-여의도환승센터-마포대로를 최단 경로로 연결한다. * 종로5가 이북 구간은 [[서울 버스 140|140번]], [[서울 버스 150|150번]]과 노선이 100% 일치하다. * 온수동 차고지에 들어갔다가 몇 분 가량 휴식 후 회차한다. 온수동 차고지에 160번 전용 주차 대기열이 있으며, 회차시각을 휴게실 입구에 부착된 일지에 회차시간을 기록한 후 잠시 쉬었다가 출발한다. 수궁동주민센터 근처의 버스 정류소에서 대부분의 시간대에 '회차대기'라고 뜨며 버스가 오지 않는 것은 이 때문이다. * 2021년 4월 11일 [[다큐멘터리 3일]]에서 '이 땅에 살기 위하여 - 서울 160번 버스 72시간'이라는 제목으로 방송됐다. [[https://youtu.be/IumCG-CCJxg|#]] * 온수동 방향으로 가는 첫 차는 두 대가 동시에 출발할 정도로 새벽에도 이용객이 엄청 많다. [[서울 버스 140|140번]], [[서울 버스 150|150번]]과 첫차 수요를 분산해도 전부 다 터져 나간다. 특히 새벽 건물 청소를 하러가는 승객이 매우 많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60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33,770명 || - || || 2014년 || 34,110명 || {{{#red △ 340}}} || || 2015년 || 33,737명 || {{{#blue ▽ 373}}} || || 2016년 || 33,047명 || {{{#blue ▽ 690}}} || || 2017년 || 32,232명 || {{{#blue ▽ 815}}} || || 2018년 || 31,149명 || {{{#blue ▽ 1,083}}} || || 2019년 || 32,250명 || {{{#red △ 1,101}}} || || 2020년 || 27,033명 || {{{#blue ▽ 5,217}}} || || 2021년 || 26,528명 || {{{#blue ▽ 505}}} || || 2022년 || 29,176명 || {{{#red △ 2,543}}}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종로5가역]][* 도봉산 방면 운행 시 정차], [[종로3가역]], [[종각역]], [[영등포역]], [[신도림역]], [[구로역]], [[구일역]], [[개봉역]], [[오류동역]], [[온수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충정로역]], 신도림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종로3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혜화역]][* 도봉산 방면 운행 시 정차]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 종로3가역, [[광화문역]], [[서대문역]], 충정로역, [[애오개역]], [[공덕역]], [[마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공덕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도봉산역, 온수역 * [[파일:GJLine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공덕역 * [[파일:AREX_icon.svg|width=17]] [[인천국제공항철도]]: 공덕역 * [[파일:Ui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성신여대입구역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width=60]] 일반 철도역: 영등포역(KTX, ITX-새마을, 새마을호, 무궁화호) == 둘러보기 == [include(틀:도봉산광역환승센터 경유 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1권역]][[분류:2004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주간선버스]][[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