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670421987160.jpg|width=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107_서74사5092.jp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7번}}} || ||<-6> {{{#!wiki style="max-width: 700px; margin: auto"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107 노선도.png|width=100%]]}}}}}} || ||<-2> 기점 || 경기도 의정부시 민락동(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2> 종점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6가(동대문) || ||<|2> 종점[br]행 || 첫차 || 04:10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2:30 || 막차 || 00:10 || ||<-2> 평일배차 || 10~13분 ||<-2> 주말배차 || 토요일 14~17분 / 공휴일 17~21분 || ||<-2> 운수사명 || [[대원여객]] ||<-2> 인가대수 || 25대(예비 1대)[* 토요일 18대 / 공휴일 14대 운행][* 예비차는 [[서울 버스 106|106번]], [[서울 버스 111|111번]]과 공동사용.] || ||<-2> 노선 ||<-4> 민락엘레트19단지후문 - 송양초등학교 - 송양고등학교 - 단독주택단지 - 송현고등학교 - 민락주공2단지 - 송산1동주민센터 - 구306보충대 - 동국대사범부속영석고등학교 - 신곡지하차도 - 장암주공5단지 - 도봉차량기지앞 - [[도봉산역]] - [[도봉역]] - [[방학역]] - [[쌍문역]] - [[수유역]].[[강북구청]] - [[미아역]] - [[미아사거리역]] - 길음뉴타운 - 돈암사거리.성신여대입구 - 삼선교.한성대학교 → 혜화동로터리 → [[창경궁]].서울대학교병원 → 이화동([[이화장]]) → [[동대문]] → 종로5가.효제초등학교 → [[혜화역]].마로니에공원 → 삼선교.한성대학교 → 이후 역순 || == 개요 == [[대원여객]]에서 운행하는 간선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61km다. [[https://map.naver.com/v5/bus/bus-route/-/bus-route/774?c=14136238.8880451,4533330.6590943,11,0,0,0,dh|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0번대#s-36|구 12-1번]] 도시형버스(민락동 - 종로5가)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107번으로 바뀌었다. * 2005년 3월 1일 1152번 지선버스가 수유역에서 노원역으로 단축되는 과정에서 증차가 이뤄졌다. * 2012년 12월 12일 낙양동 차고지 이전 및 민락2지구 교통편 마련을 위해 민락2지구까지 연장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3514|관련 공지사항]] 당시엔 민락동 상가지구와 부용마을3단지 쪽 도로가 개통되지 않아 이마트 의정부점으로 우회하였다. 이후 도로가 완공되면서 민락동 상가지구/부용마을3단지 경유로 변경되었다. * 2016년 8월 22일 굴곡 완화를 이유로 부용마을아파트정문, 송산초교를 거치지 않고 송양고에서 송산주공아파트 2.3.5.6단지로 바로 간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9271443|관련 공문]] * 2017년 12월 31일 종로 중앙버스전용차로의 완공으로 기존 종로6가(종로5가역 4번 출구) 정류소가 폐쇄되면서 무정차 통과한다. * 2018년 1월 1일 [[서울 버스 106|106번]]에서 감차된 차량 중 3대가 투입되었고 막차의 차고지 도착시간을 앞당기기 위해 막차시간이 40분 당겨졌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4257121|관련 공문]][* 실은 이미 2016년 2월 말에도 비슷한 이유를 들어 막차를 40분 앞당기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당시 서울시에서 검토 결과 부적절하다면서 무산시켰었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7719569|출처]]] 그런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및 패럴림픽 기간 동안 저상버스 4대와 운전 기사까지 지원을 가면서, 연초에 증차했던 의미가 한 동안 사라지다시피했다. * 2020년 1월 29일 정규차 4대와 예비차 1대가 감차되었으며, 감차된 차량들은 모두 같은 날 신설된 [[서울 버스 01A, 01B(폐선)|01번]]으로 이동되었다. 이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의 경우 4대,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3대씩 줄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16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감회되었으며 전일에 걸쳐서 최소 배차간격은 1분씩, 최대 배차간격은 2분씩 늘어났다. [[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671659|관련 공문1]][[http://opengov.seoul.go.kr/sanction/19678662|관련 공문2]] * 2020년 11월 23일부터 11월 30일까지 전기버스 출고에 의한 차량 이동 및 그에 따른 재도색 작업 실시를 위해 한시적으로 평일의 운행 댓수가 1대씩 줄었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4회 감회 운영되었다. 다만 이 기간동안 최소/최대 배차간격에 대한 변동은 없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21631520|관련 공문]] * 시기미상으로 의정부민락BRT정류소앞 정류장을 양방향 추가 정차하고 있다. * 2021년 8월 2일 송현고등학교-어룡역-충의중학교 구간을 용민로 직통으로, 그리고 민락초등학교-산들마을2단지-[[민락중학교]] 구간은 용현로 직통으로 변경하며 이와 동시에 현재 04:00/22:20인 기점 첫막차시각이 04:10/22:30으로 10분씩 늦춰진다. 또한 이번 노선 조정으로 운행거리가 줄면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235분이던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 220분, 토요일/공휴일 215분으로 줄어들고,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전일에 걸쳐 증편되었다. 이번 노선조정 및 운행계통 변경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의 경우는 각각 4회씩, 공휴일의 경우는 3회 증회되었으며, 다만 최소/최대 배차간격은 전일에 걸쳐 변동 없이 유지되었다.[[http://www.sbus.or.kr/2018/bus_info/list.htm?Page=1&seq_no=5085&off_docu_yn=C&search=&searchkey=|관련 공문]] * 2021년 9월 6일 인가 운행소요시간이 평일 230분, 토요일/공휴일 225분으로 늘어나면서 전일에 걸쳐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가 감축되고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124회/104회/87회에서 120회/100회/84회로 감회되었다. 다만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이번 운행계통 변경에 의한 최소/최대 배차간격의 변동은 없을 예정이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647577|관련 공문]] * 2021년 10월 5일 3대가 감차되었다.[* 감차분은 [[서울 버스 341|341번]] 증차분으로 투입되었다.] 이번 감차로 평일/토요일/공휴일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도 3대씩 감축되었고 1일 총 운행횟수도 120/100/84회에서 108/88/72회로, 전일에 걸쳐 12회씩 감회되었다. 이번 감차 및 운행계통 변동에 따라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도 7~11분/10~13분/11~15분에서 9~12분/11~15분/13~18분으로 크게 늘어났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3796365|관련 공문]] * 2021년 11월 22일부터 동년 11월 28일까지 [[서울 버스 2416|2416번]] 신설 준비에 따라 운행 댓수가 평일은 2대, 토요일/공휴일은 각각 1대씩 감축되었고, 동년 11월 29일부터는 4대가 정식으로 감차되어[* 감차분은 모두 [[서울 버스 2416|2416번]]에 투입되었다.] 전일에 걸쳐 운행 댓수가 4대씩 감축되었다. 이에 따라 1일 총 운행횟수가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 평일/토요일/공휴일 각각 4회씩 감회되었고 여기에 11월 29일부터는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2회씩 추가로 감회되었다. 이번 조치에 따라 우선 11월 22일부터 28일까지 1주 동안은 평일 배차간격에는 큰 변동이 없으나 토요일/공휴일의 배차간격이 11~15분/13~18분에서 11~16분/14~19분으로 늘었었고, 11월 29일부터는 평일/토요일/공휴일의 각 배차간격이 기존 9~12분/11~16분/14~19분에서 10~13분/14~17분/17~21분으로 늘어나게 되었다.[[https://opengov.seoul.go.kr/sanction/24131636|관련 공문]] == 특징 == *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다. * [[강북구]]-[[성북구]] 구간을 지나가는 버스들이 다들 그렇듯이 [[서울 지하철 4호선]] 노선과 정확히 일치하며 출퇴근 시간에는 양 쪽 다 터져나가면서 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 심야에 민락동 주민이라면 유용한 노선으로 이 노선의 막차를 놓칠 가능성이 우려되거나 이미 놓친 상황이라면 노원역/마들역/수락산역 등지로 이동한 뒤에 우선 민락2지구 방향으로는 [[포천 버스 3600|3600번]]을, 장암동/신곡동 방향으로는 [[포천 버스 3100|3100번]], [[포천 버스 3200|3200번]], [[포천 버스 3500|3500번]], [[포천 버스 3600|3600번]] 중 하나를 이용하면 된다. * 민락동 주민들이 보기에는 [[의정부 버스 10-1|10-1번]], [[의정부 버스 10-2|10-2번, 10-3번]]과 경쟁하는 노선이기도 하다.[* 참고로 이 노선을 운행하는 [[대원여객]]과 [[의정부 버스 10-1|10-1번]], [[의정부 버스 10-2|10-2번, 10-3번]]을 운행하는 [[명진여객]]은 계열사 관계이다.] 과 둘 다 민락동에서 도봉산역을 가는 데 유용한 노선이기 때문이다. 차이점은 크게 2가지. 이 노선은 [[도봉산역]]을 넘어 동대문까지 가지만, 10-1번/10-2번/10-3번은 도봉산역까지만 간다. 대신 민락동에서 도봉산역까지 걸리는 시간은 10-1번과 10-2번이 더 짧은데 이는 저 두 노선들은 [[신평화로]]를 이용해 다이렉트로 가는 반면, 이 노선은 [[굴곡 노선/버스/서울특별시|용현동도 들르고 신곡동도 들르고]] 하기 때문이다. 또 하나의 큰 차이점은, 10-1번이 107번보다 훨씬 일찍 끊긴다. 00:00 즈음이면 도봉산역에서 민락동 방향 막차가 끊긴다. * [[의정부 경전철]]과 연계되는 서울 버스 중 하나다. 나머지는 [[서울 버스 106|106번]], [[서울 버스 111|111번]], [[서울 버스 1154|1154번]]. === 일평균 승차인원 === ||<-3>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간선버스 107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8,179명 || - || || 2014년 || 17,035명 || {{{#blue ▽ 1,144}}} || || 2015년 || 16,249명 || {{{#blue ▽ 786}}} || || 2016년 || 15,414명 || {{{#blue ▽ 835}}} || || 2017년 || 15,231명 || {{{#blue ▽ 183}}} || || 2018년 || 15,692명 || {{{#red △ 461}}} || || 2019년 || 16,305명 || {{{#red △ 613}}} || || 2020년 || 12,559명 || {{{#blue ▽ 3,746}}} || || 2021년 || 11,756명 || {{{#blue ▽ 803}}} || || 2022년 || 10,415명 || {{{#blue ▽ 1,341}}}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5년에는 새로 생긴 10-2번 버스가 수요를 분산해주고 있어서 승객이 감소하였다. * 2021년 민락동 구간 직선화로 어룡역 연계 기능이 사라진데다, 더불어 타 노선 신설 또는 증차 목적의 감차가 여러 차례 시행되면서 인가 대수가 줄어든 영향으로 800명 감소하였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 [[도봉산역]], [[도봉역]], [[방학역]], [[동대문역]], [[종로5가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 [[쌍문역]], [[수유역]], [[미아역]], [[미아사거리역]], [[길음역]], [[성신여대입구역]], [[한성대입구역]], 동대문역, [[혜화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 도봉산역 * [[파일:ULine_icon.svg|width=17]] [[의정부 경전철]] : [[탑석역]][* 송산1동주민센터 하차] * [[파일:UiLine_icon.svg|width=17]]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성신여대입구역]] == 둘러보기 == [include(틀:경기도 진입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include(틀:민락2지구 경유 버스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1권역]][[분류:2000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의정부시 경유 관외 노선]][[분류:현금 승차 제한 시내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