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폐선)] || {{{#!folding [ 사진 모음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margin-top: -5px; margin-bottom: -5px" || [[파일:img_5304_jeonnongin.jpg|width=91%]] || [[파일:북부05번_G뉴비예비.png|width=100%]] || || 2003년식 BS090 로얄미디.[* 노랑색 시트와 봉, 수많은 손잡이가 달린 특이한 옵션이었지만, 현재 프리머스로 대차되었다.] || 2211번 출신 NEW BS090 예비차. || || [[파일:서울05_alynesinc.jpg|width=91%]] || [[파일:북부05번_B크롬예비.png|width=100%]] || || 272번 출신 BS106 로얄시티.[* 현재는 272번으로 되돌아갔고 17년식 뉴 슈퍼 에어로 시티 F/L 저상으로 대차되어 운행 중이다.] || 272번 출신 BS106 F/L 예비. 다시 272번으로 돌아갔다. || || [[파일:남산05e프리머스.png|width=100%]] || [[파일:DSCF9339.jpg|width=100%]] || || 현재는 전멸한 e-프리머스. || 프리머스 CNG. 현재는 노란색으로 재도색되었다. || ||<-2> [[파일:북부05번_현대일반.png|width=100%]] || ||<-2> 2017년식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 }}}}}}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순환버스 05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N서울타워) ||<-2> 종점 || 서울특별시 중구 예장동(N서울타워) || ||<|2> 팔각정 출발 || 첫차 || 07:30[* 매년 1월 1일 05:30 - 단순 배차간격 조정이 아닌, 증회운행을 한다.] ||<|2> 충무로 출발 || 첫차 || 07:45 || || 막차 || 23:30 || 막차 || 23:45 || ||<-2> 평일배차 || 17~21분 ||<-2> 주말배차 || 13~17분 || ||<-2> 운수사명 || [[북부운수]] ||<-2> 인가대수 || 4대[* 토요일, 공휴일 5대 운행] || ||<-2> 노선 ||<-4> [[N서울타워]] → [[남산도서관]] → [[남대문시장]] → [[명동역]] → [[남산한옥마을]] → [[충무로역]] → [[퇴계로(서울)|퇴계로5가]] → [[광희문]] → [[충무아트홀]] → [[청구역]] → [[약수역]] → [[동대입구역]] → [[국립극장]] → N서울타워 || == 개요 == [[북부운수]]에서 운행했던 순환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1.2km다. == 역사 == * '남대문시장/명동 - 남산' 연계를 위해 2009년 4월 7일에 [[서울 버스 02|02번]]에서 분리 신설되었다. 당시에는 02번처럼 명동역에서 바로 남산으로 갔다. * 2011년 8월 25일부터 신당동을 추가로 경유하게끔 변경되었다. [[http://topis.seoul.go.kr/renewal/notice/NoticeView.jsp?seq=2845|관련 공지사항]] * 2019년 10월 28일부터 동년 11월 15일까지, 남산공원 구내 도로 정비에 따라 한시적으로 기점 막차시각이 23:30에서 21:10으로 '''2시간 20분''' 앞당겨졌고, 같은 기간동안 정상운행차량의 대당 일 운행횟수도 일시적으로 감축 운영되어 1일 총 운행횟수도 평일의 경우 8회, 토요일/공휴일의 경우 각각 10회씩 감회되었다.[[http://opengov.seoul.go.kr/sanction/18950179|관련 공문]] * 2020년 1월 29일에 03번과 통합하여 04번이 되어서 폐선되었다.[[http://m.dcinside.com/board/transit/201557|관련 게시물]] == 특징 == * 다른 순환노선에 비해 배차간격이 좋지 못하였다. * 순환버스 중 유일하게 신당동을 경유하는 만큼, 신당동 일대에서 남산으로 가기에 가장 좋은 노선이었다. 서울 동북부에서 접근하기 가장 쉬운 노선이기도 했었다.(특히 동대문구, 중랑구, 광진구, 성동구 이쪽 지역.) * 지속되는 배차간격 벌어짐으로 인한 민원 등으로 인해 결국 2017년 11월에 전기버스 대차분으로 순환도색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차량이 투입되었다. * 한동안 방치되어 있던 전기버스들이 전부 대차되어 배차간격이 다시 원활해졌으며, 이후에도 주말에는 동일하게 예비차량을 이용하여 증차운행을 했었다(주로 2211번 차량 2대가 추가로 투입되었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순환버스 05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2,096명 || - || || 2014년 || 2,257명 || {{{#red △ 161}}} || || 2015년 || 1,843명 || {{{#blue ▽ 414}}} || || 2016년 || 2,156명 || {{{#red △ 313}}} || || 2017년 || 1,987명 || {{{#blue ▽ 169}}} || || 2018년 || 1,842명 || {{{#blue ▽ 145}}} || || 2019년 || 2,099명 || {{{#red △ 257}}} || || 2020년 || 1,878명 || {{{#blue ▽ 221}}}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폐선 당시 기준이다.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A 광희문.광희동사거리 하차 후 도보], [[신당역]] * [[파일:Seoulmetro3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3호선]]: 충무로역, [[약수역]], [[동대입구역]] * [[파일:Seoulmetro4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4호선]]: [[명동역]], 충무로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A]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5호선]]: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A], [[청구역]] * [[파일:Seoulmetro6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당역, 청구역, 약수역 [[분류: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분류:2009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2020년 폐지된 버스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