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영등포구)] [[파일:영등포01_5247.png]]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영등포01번}}} || ||<-2> 기점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신도림역) ||<-2> 종점 ||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동(구로디지털단지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40 ||<|2> 기점[br]행 || 첫차 || 06:00 || || 막차 || 23:30 || 막차 || 00:00 || ||<-2> 배차간격 ||<-4> 6분 || ||<-2> 운수사명 || [[형일교통]] ||<-2> 인가대수 || 11대 || ||<-2> 노선 ||<-4> [[신도림역]] - 도림동주민센터 - 도림고가.동아에코빌 - 도림사거리 - 성락교회 - 신길5동주민센터 - 수녀원.[[신풍역]] - 태양의집 - 대림1동주민센터 - 포교원 - 신대림한솔솔파크아파트.충심교회 → [[구로디지털단지역]]→ 구로디지털단지입구(구.사조참치) → 한국산업단지공단.이마트구로점 → 보람아파트 → 신대림한솔솔파크아파트.충심교회 → 이후 역순 || == 개요 == [[형일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http://map.naver.com/?busId=1637&enc=b64|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영등포구 16-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영등포01번으로 바뀌었다. == 특징 == * 영등포 마을버스에 속하는 데도 '''[[인 ○○ 노선|인 영등포 노선]]'''이다. 기점이 신도림역, 종점이 구로디지털단지역이기 때문. 그리고 [[서울 버스 구로09|구로09]]번과 기종점은 같지만 중간에 경유하는 지역이 완전히 다르므로 주의할 것. 특히 구디역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 [[구로디지털단지역]]에서 신도림역 방향으로 운행시(정확히는 구로디지털단지 인근을 편도회차하면서) 구로E마트를 경유한다. 구로E마트 쪽으로 가고자 한다면 구로디지털역에서 대기중인 앞 차를 타기를 권장한다. 시간이 많다면 그 차에 그대로 있어도 되지만, 언제 출발할지는 모른다. [* 대부분 3~5분 내로 출발한다. 여유있다면 느긋하게 앉아가는 것도 추천. 구로디지털역에서 신도림역까지 20~30분이면 가기 때문.] * 영등포구의 [[디지털로]] 대림1, 2동 구간을 일주하는데(구로1교 ~ 태양의 집(썬플라자)) 이 구간에는 '''노선이 이거 하나뿐이다!!''' 그래서 디지털로 연선의 주민들 수요가 아주 많다. * 또한 신도림역에서 구로디지털단지역 방향으로 갈 때에는 [[신풍역]] 3번 출구를 경유하지만, 반대방향의 경우 그보다 한 블럭 앞인 수녀원쪽으로 지나간다. 따라서 신풍역에 가려면 수녀원에서 내려 한 블럭을 걸어가야 한다. * 도림마을금고부터 신길5동주민센터 구간은 [[서울 버스 5618|5618번]]과 [[안양 버스 5|5번]] 버스와 똑같게 운행한다. 정류장의 개수는 이쪽이 훨 많지만 어쩐지 전혀 뒤쳐지지 않는다. 그 이유는 신풍역까지 가는 경로가 같아 5번 버스와 탑승객 호환이 가능하기에 5번이 먼저 수송하느라 비슷한 것이다. * 구로디지털단지역 안쪽으로 들어가지만, 1번 출입구 바로 앞의 환승센터로 들어가지 못한다. 환승센터의 구조가 시흥대로의 남쪽(금천 방향)에서 좌회전해서 들어오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졌는데, 이 둘은 그렇지 않고 오히려 북서쪽의 신도림역 쪽에서 들어오기 때문이다. 환승센터 앞에 4층 벽돌의 허름한 상가건물이 있는데 그 건물 너머의 깔깔거리 입구 근처에 있다. [[서울 버스 구로09|구로09번]]도 마찬가지라서, 60m 옆에 정류장이 있다. 회차지점이고 또 유동인구가 많은 중요한 역이라, 인도까지 좁혀가면서 각각(구로09도 마찬가지) 도로 밑에 '버 스'라고 써 있는 전용 정차장이(17967번) 만들어져 있다. * 영등포구 차적인데도 기/종점(노선의 시작과 끝)이 영등포구가 아니라 구로구(신도림역: 구로5동)이다.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교통]]의 사례로 볼 수도 있다. 비슷하게 [[서울 버스 양천04|양천04번]]도 양천구 차적이지만 기/종점이 모두 신도림동이다. * 신풍역 및 그 북쪽/동쪽의 7호선과, [[구로디지털단지]] 일대, 특히 구디단역 바로 앞이 아닌 다소 거리가 있는 안쪽을 오갈 때는 대림역을 통한 환승보다 신풍역에서의 이 버스를 통한 환승이 나은 경우가 상당히 많다. 대림-구디단역 2호선 고작 한 칸 타는 것도 [[환승저항]]이 생기는데, 더군다나 [[대림역]]은 유명한 [[막장환승]]이기 때문이다. * [[신풍역]] ~ [[신도림역]]은 도림고가차도에서 90도 꺾기 때문에 보다 유려한 선형의 [[서울 버스 영등포13|영등포13번]]에 선형상 밀린다. 하지만 배차간격이 6분으로 13번의 12분에 비해서 훨씬 좋기 때문에 일장일단이 있다. 신도림역에서는 영등포13번 대비 쏟아지는 수준으로 배차가 짧다. 신도림역 정류장 내에서 대기하면 교통 흐름이 마비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 이상을 대기하는 차량은 신도림역을 빠져나가 신도림교에서 유턴을 한 뒤 다리 위에서 줄지어 대기하다가 배차에 맟춰 다시 신도림역으로 들어가는 형태이다. * 가스 충전과 차량 주박은 [[양천공영차고지]]에서 한다. 여담으로, 계열사가 그 유명한 [[신수동마을버스]]이다.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영등포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0,781명 || - || || 2014년 || 10,358명 || {{{#blue ▽ 423}}} || || 2015년 || 10,178명 || {{{#blue ▽ 180}}} || || 2016년 || 9,696명 || {{{#blue ▽ 482}}} || || 2017년 || 9,162명 || {{{#blue ▽ 534}}} || || 2018년 || 9,522명 || {{{#red △ 360}}} || || 2019년 || 9,731명 || {{{#red △ 209}}} || || 2020년 || 7,611명 || {{{#blue ▽ 2,120}}} || || 2021년 || 7,386명 || {{{#blue ▽ 225}}} || || 2022년 || 7,414명 || {{{#red △ 28}}}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1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1호선]]: [[신도림역]]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신도림역 * [[파일:Seoulmetro7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7호선]]: [[신풍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1996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구로구의 교통]][[분류:서울 영등포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