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강동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IMG_2097(GangDong01_9710).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강동01_9728.png|width=100%]]}}} || [목차] == 노선 정보 == ||<-6>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width=18]]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동01번}}} || ||<-6> {{{#!folding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강동01번 노선도.svg|width=100%]]}}} || ||<-2> 기점 ||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지식산업센터)[*임시 고덕비즈밸리 내부 도로 완전 개통 전까지의 임시 기점이다.] ||<-2> 종점 ||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테크노마트앞.강변역) || ||<|2> 종점[br]행 || 첫차 || 05:35 ||<|2> 기점[br]행 || 첫차 || 06:20 || || 막차 || 22:50 || 막차 || 23:40 || ||<-2> 배차간격 ||<-4> 15분 || ||<-2> 운수사명 || [[신명운수]] ||<-2> 인가대수 || 14대[* 평일 10대, 토요일 / 공휴일 7~8대 운행.] || ||<-2> 노선 ||<-4> 지식산업센터[*임시기점] - 광문고등학교 - [[고덕역]] - 명일여자고등학교 - 길동성당 - [[둔촌고등학교]] - [[중앙보훈병원역]] 1번 출구 - 보훈회관 - 둔촌주공1.4단지후문 - [[둔촌동역]] - 성내2동주민센터 - [[강동구청역]].영파여고 - {{{#aaa 올림픽대교}}} → 테크노마트앞.[[강변역]] → 구의동현대아파트 → {{{#aaa 올림픽대교}}} → 이후 역순 || == 개요 == [[신명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24.3km'''이다. [[http://map.naver.com/?busId=1519|전체 정류장 목록]] == 역사 == * 1998년 4월에 무번호 마을버스로 개통되었다. * 2001년경 11번을 부여받았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가 강동01번으로 변경되었다. * 2019년 3월 30일에 명일동 구간과 중앙보훈병원 구간이 소폭 변경되었다. 이로 인해 배차간격이 1~2분 정도 늘어났다. [[https://blog.naver.com/gangdongpr/221490936750|관련 게시물]] * 명일동 상가단지와 강동아트센터/경희대병원 연계를 위해 고덕한양아파트 정류장 대신 주양쇼핑(동남로71길) 경유로 변경. * 중앙보훈병원역 연계를 위해 강변역 방향은 둔촌하이츠아파트 대신 중앙보훈병원역 1번 출구와 보훈회관을 경유하고, 길동신동아아파트 방향은 중앙보훈병원역에서 좌회전이 불가능한 관계로 기존 경로에서 중앙보훈병원 정문에만 들어갔다 나오는 걸로 변경되었다. * 2022년 4월 23일에 기점을 길동신동아아파트에서 명일한양아파트로 변경하고 중앙보훈병원역을 왕복으로 정차하며 정차하지 않았던 현대아파트 정류장에 정차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https://www.gangdong.go.kr/web/newportal/bbs/b_068/133203|강동구 공지사항]] ||<-6> {{{#!folding [ 노선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rkdehd01shtjsrudfh.png|width=100%]]}}} || * 2023년 8월 31일, 명일동한양아파트에서 고덕비즈밸리로 기점이 변경되며, 명일동한양아파트와 한영중고, 명일2동주민센터를 경유하지 않는다. 이 변경으로 인하여 노선길이가 매우 길어졌지만, 증차는 이루어지지 않아 배차간격이 기존 대비 5분 이상 크게 늘어났다. 대체노선은 후술한다.[[https://www.gangdong.go.kr/web/newportal/bbs/b_068/139965|강동구 공지사항]] ||<-6> {{{#!folding [ 노선 변경 이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rkdehd01new.png|width=100%]]}}} || == 특징 == *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노선 중 [[올림픽대교]]를 이용해서 '''유일하게 한강을 건너는 노선이다.''' 심지어 고덕비즈밸리 연장으로 노선길이마저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중 2위가 되었다![* 1위는 28km의 [[서울 버스 노원15|노원15번]]이나 이 노선은 지선버스에서 마을버스로 전환된 노선이다.] * [[서울 버스 3212|3212번]]과 노선이 은근히 비슷하다.[* 대순진리회-강변역 구간] 3212번이 [[강동공영차고지]] 쪽으로 노선이 더 직행으로 뻗어 있고, 그러기 위해 3212번은 상대적으로 블럭 안쪽으로 파고드는 편이다. * [[서울 버스 광진01|광진01번]]과 강변역 정류장을 공유하여 혼동하기 쉬우므로 탑승시 주의해야 한다. 그래도 정류장 설치는 각각 분리하여 예전에 비해 혼동하는 일은 많이 줄어든 편이다. * 3개 자치구를 지나는 노선이다. [[강동구]], [[송파구]][* 풍납현대아파트, 풍납동극동쌍용아파트, 송파잠실세무서 정류장이 송파구에 있다.], [[광진구]] 순으로 지난다. * 출퇴근시간에는 성내중, 한산중, 영파여중, 둔촌고, 명일여고, 강동고, --한영고, 한영외고,-- 영파여고 학생의 수요가 많고, 길동성당→주양쇼핑→한영중고→길동성당의 루프가 존재했었다. 그래서 둔촌고등학교가 끝나는 시간이 되면 좌석이 널널했다가 입석까지 꽉 차진다. * 간간히 NH시간대 고덕비즈밸리 방향의 은평교회 앞 정류장에서 운행사원이 교대한다. * 강동구 마을버스 노선들중 유일하게 [[상일동역]]을 경유하지 않는 노선이며, [[강동교통]] 소속이 아니다. * 2023년 8월 31일부터 고덕비즈밸리까지 노선이 연장되었지만 이 버스만으로 강변역에서 고덕동까지 그리고 그 반대로 가는 사람은 거의 없다. [* 고덕동에서 강변역까진 5호선과 다른 시내버스 노선을 환승해 이용하면 강동01보다 20분 가량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변경된 노선으로 운행하기 시작하던 첫 날, 퇴근시간대에 강변역에서 광문고 앞까지 이 버스를 타고 온 고덕동 주민의 말에 의하면, 1시간 15분 가량 걸렸다고 한다. 마을버스 운행 특성상 큰 도로변이 아닌 편도 1, 2차로의 좁은 도로로 운행하고 출퇴근 시간에 차량이 많이 정체되어 속도를 낼 수 없다는 것을 감안하면 뻔한 일. * 수요가 크게 네 구간으로 나뉘어 지는데 우선 출퇴근 시간대 고덕비즈밸리 출.퇴근 수요가 엄청난데, 특히 퇴근시간대에는 비즈밸리 정류장에 긴 줄이 생기고 한 차량에[* 심지어 최근 대형차량이 줄어들고 중형차량으로 대차되고 있는 추세라 체감 혼잡도 및 탑승싸움이 엄청나다고 한다.] 50~60명씩 꽉꽉 채워서 고덕역에서 뱉어낸다. 이후 명일동, 길동에서 많이 탑승했다가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에서 많이 내리고 그 이후에 둔촌동, 성내동에서 많이 탑승했다가 8호선 강동구청역에서 많이 내린다. 그 이후에 풍납동 구간에서 많이들 탑승하고 강변역까지 가는데 이 구간은 서울버스 3212번, 3214번과 구간이 겹치기 때문에 앞에 두 구간 만큼 꽉 차지는 않는다. 반대로 강변역에서 회차하여 고덕비즈밸리까지 가는 동안 올 때와는 반대로 크게 네 구간에서 타고 내린다. === 2023년 8월 31일 노선변경 구간 대체 노선 === * 명일동 한양아파트 > 길동 : 도보로 명일신동아아파트/주양쇼핑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강동01번 이용 * 한영중고 > ~길동신동아아파트 사거리/ 대순진리회~강변역 : 한영중고한영외고(id:25259)에서 [[서울 버스 3212|3212번]] 이용 * 한영중고 > 길동, 둔촌동~ : 한영중고한영외고(id: 25259)에서 [[서울 버스 3212|3212번]]을 이용하여 명일여자고등학교(id: 25194) 정류장에서 하차, 강동01번으로 환승[* 목적지가 [[둔촌동역]]이라면 [[서울 버스 3412|3412번]]을 이용해도 된다.] * 대명초교, 명일2동주민센터 > 길동, 둔촌동: 도보로 삼익가든아파트(id: 25678) 정류장으로 이동하여 강동01번 이용. === 일평균 승차인원 === ||<-3> {{{#ffffff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동01번}}} || || 연도 || 일평균 승차량 || 전년대비 변동폭 || || 2013년 || 12,429명 || - || || 2014년 || 11,900명 || {{{#blue,#deepskyblue ▽ 529}}} || || 2015년 || 11,658명 || {{{#blue,#deepskyblue ▽ 242}}} || || 2016년 || 11,365명 || {{{#blue,#deepskyblue ▽ 293}}} || || 2017년 || 10,998명 || {{{#blue,#deepskyblue ▽ 367}}} || || 2018년 || 10,488명 || {{{#blue,#deepskyblue ▽ 510}}} || || 2019년 || 9,234명 || {{{#blue,#deepskyblue ▽ 1,254}}} || || 2020년 || 6,419명 || {{{#blue,#deepskyblue ▽ 2,815}}} || || 2021년 || 5,880명 || {{{#blue,#deepskyblue ▽ 539}}} || || 2022년 || 6,281명 || {{{#red △ 401}}} || || 2023년 || 6,944명 || {{{#red △ 663}}} || ||<-3> {{{-1 ※ 하차 인원 미포함}}} || * 출처: [[https://www.t-money.co.kr/ncs/pct/ugd/ReadTrcrStstList.dev|티머니 교통통계(2013~2014년)]], [[http://data.seoul.go.kr/dataList/OA-12913/S/1/datasetView.do|서울 열린데이터 광장(2015년~)]] * 2019년 둔촌주공 재건축, 코로나 사태로 인해 승객 수가 일시적으로 큰 폭 하락한 상태이다. 하지만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을 왕복으로 정차하게 변경되며 신규 수요가 창출되었고 고덕비즈밸리 연장으로 추가수요도 기대된다. == 연계 철도역 == * [[파일:Seoulmetro2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2호선|{{{#00A84D 서울 지하철 2호선}}}]]''': [[강변역]] * [[파일:Seoulmetro5_icon.svg|width=17]] '''[[수도권 전철 5호선|{{{#996CAC 수도권 전철 5호선}}}]]''': [[고덕역]], [[둔촌동역]] * [[파일:Seoulmetro8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8호선|{{{#E6186C 서울 지하철 8호선}}}]]''': [[강동구청역]] * [[파일:Seoulmetro9_icon.svg|width=17]] '''[[서울 지하철 9호선|{{{#BDB092 서울 지하철 9호선}}}]]''': [[중앙보훈병원역]] [[분류: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분류:1998년 개업한 버스 노선]][[분류:서울 강동구의 교통]][[분류:서울 광진구의 교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