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02년 개교]][[분류:계양구의 고등학교]][[분류:나무위키 교육기관 프로젝트]] [include(틀:교육기관)] [include(틀:인천광역시 계양구의 고등학교)]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서운초중고등학교.jpg|width=100%]]}}}|| || {{{#white '''서운초.중.고등학교의 전경'''}}} || ||<-2> {{{#white '''{{{+1 서운고등학교}}}[br]瑞雲高等學校[br]Seowoon High Schoo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운고로고2.png|width=8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 서운고등학교, 너비=100%, 높이=100%)]}}} || || {{{#white '''개교'''}}} || [[2002년]] [[3월 1일]] || || {{{#white '''유형'''}}} || [[일반계 고등학교]] || || {{{#white '''성별'''}}} || [[남녀공학]] || || {{{#white '''형태'''}}} || [[공립학교|공립]] || || {{{#white '''교장'''}}} || 이충재 || || {{{#white '''교감'''}}} || 박*균 || || {{{#white '''교훈'''}}} || 성실 || || {{{#white '''교화'''}}} || [[장미]] || || {{{#white '''교목'''}}} || [[소나무]] || || {{{#white '''학생 수'''}}} || 602명[*기준 2023년 03월 01일] || || {{{#white '''교직원 수'''}}} || 52명[*기준 ] || || {{{#white '''관할 교육청'''}}} || [[인천광역시교육청]] || || {{{#white '''주소'''}}} || [[인천광역시]] [[계양구]] [[아나지로]] 177[br]{{{-1 ([[서운동(계양구)|서운동]] 55-42)}}} || || {{{#white '''홈페이지''' }}} || [[http://seowoon.icehs.kr/main.do|[[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배울수록 빛이 나는 서운인, 함께 성장하는 '''서운고등학교''' >---- >홈페이지 방문 소개글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소재한 남녀공학 공립 고등학교. 2002년에 개교하였다. [[서운초등학교]], [[서운중학교]]와 붙어 있으며 학교 인근에 거주하는 사람 중 서운초중고를 모두 나온 사람이 꽤 있다.~~12년을 같은 등교길로~~ 학교 인근에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경인고속도로]]가 있으며 학교 뒤 쪽에는 여러 공장, 회사가 위치해있다. 걸어서 10분거리에는 배구단 [[대한항공 점보스]]가 사용하는 [[계양체육관]]이 위치해 있다. 1990년대 계산택지 지구가 건설되고 출생아 수가 지금과는 달라 개교 초반에는 다른 학교와 마찬가지로 학생수가 꽤 있었으나 지금은 200명 초반 대가 입학하고 있다. 애초에 계양구 인구가 [[청라신도시]], [[검단신도시]] 개발로 서구로 많이 빠져나갔다. 출산율을 고려하면 이 학교 뿐만 아니라 다른 학교의 학생수도 앞으로 얼마나 더 줄지는 미지수. [[계양신도시]]와 서운일반산업단지가 들어올 예정이나 이는 계양 북부지역으로 학생수 영향에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2021년 학교 앞에 새 아파트가 건설 완료될 예정이라 학생수가 조금 늘어날 수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때 [[손연재]]가 서운고 체육관에서 잠시 연습을 했던 적이 있었다. == 역사 == === 연혁 === || [[2001년]] [[12월 31일]] || 학교 설립 인가 (39학급) || || [[2002년]] [[3월 1일]] || 개교, 윤낙영 초대교장 위임 || || [[2002년]] [[3월 5일]] || 제1회 입학식(13학급 453명) || || [[2005년]] [[2월 16일]] || 제1회 졸업식(12학급 402명) || || [[2014년]] [[2월 13일]] || 제10회 졸업식(12학급 418명, 연인원 3,941명) || || [[2014년]] [[3월 1일]] || 제5대 지영복 교장선생님 취임 || || [[2014년]] [[3월 3일]] || 제13회 입학식(10학급 325명) || || [[2015년]] [[2월 10일]] || 제11회 졸업식(11학급 360, 연인원 4,301명) || || [[2015년]] [[3월 2일]] || 제14회 입학식(10학급 298명) || || [[2016년]] [[2월 3일]] || 제12회 졸업식(10학급 314명, 연인원 4,615명) || || [[2016년]] [[3월 2일]] || 제15회 입학식(10학급 290명) || || [[2017년]] [[2월 2일]] || 제13회 졸업식(10학급 325명, 연인원 4,940명) || || [[2017년]] [[3월 1일]] || 제6대 육태화 교장선생님 취임 || || [[2017년]] [[3월 2일]] || 제16회 입학식(9학급 236명) || || [[2018년]] [[2월 7일]] || 제14회 졸업식(10학급 295명, 연인원 5,235명) || || [[2018년]] [[3월 2일]] || 제17회 입학식(8학급 201명) || || [[2019년]] [[1월 31일]] || 제15회 졸업식(10학급 273명, 연인원 5,508명) || || [[2019년]] [[3월 4일]] || 제18회 입학식(8학급 216명) || || [[2019년]] [[9월 1일]] || 제7대 한상옥 교장선생님 취임 || || [[2021년]] [[3월 2일]] || 제20회 입학식(7학급 168명) || == 교가 == [[파일:서운고상징.jpg]] 후렴부분에 고음이 많아 상당히 힘들다. == 특징 == == 시설 == [[파일:2018_서운고_시설배치도.jpg]] 건물과 학교 부지가 매우 크다. [[카더라]]에 의하면 원래 대학교가 들어설 건물이었다고. 시설들은 주변의 학교에 비해 좋은 편이며 건물이 1,2,3동으로 나뉘어져있으며,[* 운동장 쪽이 1동이고 후문 쪽이 3동이다.]동을 잇는 복도는 모든 층에 있다. 각 동의 교무실이나 반의 배치는 어느 정도 규칙은 있지만, 일관성있는 배치라고 하긴 어렵다. 덕분에 처음 입학한 학생들은 이동수업때 길을 잘 찾지 못해 교실에 늦게 들어가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교실 중에 구석 쪽 유독 큰 교실이 몇 개 있는데, 복도 끝과 교실을 합쳐서 그렇다. 선풍기의 수도 2개 더 많으며, 천장에 부착된 에어컨도 2대이다. 사물함을 교실이 아닌 복도에 두고 좀 더 큰 것을 써서 미국 하이틴 드라마에 나오는 그것처럼 사용한다. 자체적으로 비밀번호 기능도 탑재되어있으며, 학생들은 홈베이스, 홈베라고 줄여서 부르기도 한다. 주로 홈베이스 옆이나 교무실 주변에 있는 작은 교실에는 학생들을 위한 컴퓨터를 배치하여 과제나 자료검색등을 위해 학생들이 사용하도록 한다.[* usb가 인식이 안되는 등 잔고장이 있으며, 상당히 구식이기 때문에 게임같은걸 할 생각은 하지 말자. 애초에 과제가 있는 날이면 수요가 많아 민폐이기도 하다.]컴퓨터의 비밀번호는 매년 바뀌지만, 유추하기 쉬워 매년 아무 문제없이 사용중에 있다. 급식실이 매우 넓고 좋은 편이며, 드라마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의 촬영장소로 쓰인 적도 있다. 석식을 먹을 때에는 석식카드가 필요하며, 입구에서의 명단 확인틀 통해 석식여부 검사가 더 강화됐다. 과학실이 과학 1실~6실까지 있으며, 각각 물화생지의 명칭이 붙어있다. 3,4실에는 따로 명칭이 붙어있진 않지만, 주로 지구과학 수업이나 과학부에서 강의를 들을 때 사용한다. 강당이 대강당과 소강당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대강당은 따로 건물이 있어 1층은 급식실과 검도부실이, 대강당은 2,3[* 3층은 객석, 방송제어실이다]층에 위치해있다. 대강당은 매우 넓은 편이며, 주로 전 학년 대상 학교 행사나 배드민턴, 배구, 농구 수업 등에 이용된다. 한 가지 단점으로는 난방기는 있지만 에어컨이 없다.[* 전교생이 여름에 다같이 들어가면 찜통이다.] 소강당은 2층에서 후문쪽으로 난 복도를 쭉 가면은 위치해있으며, 크기는 한 학년을 수용하기에 적당한 편이다. 주로 학년 단위 강의나 탁구 수업에 이용된다. 추가적으로 소강당 밑층에 위치한 매점 옆에 체력단련실이 있는데, 평소에는 각종 운동기구들이 있어 근육 단련을 하려는 학생들이 이용하곤 한다. 체육대회 준비기간에는 가장 자리경쟁이 치열한 공간 중 일순위인데, 벽 한면이 거울로 되어있어 가장행렬 춤 연습을 하기에 적절하기 때문. 면학실은 3곳이 존재하며, 각각 1, 2, 3학년이 이용한다. 1, 2학년이 사용하는 면학실은 나란이 붙어있다. 야자를 신청할 경우 웬만하면 면학실을 모두 이용할 수 있다. == 학교 생활 == === 주요 행사 === || {{{#white 행사명}}} || {{{#white 개최 시기}}} || {{{#white 설명}}} || || 길머리 예술제 || 학기말(11월 말) ||서운고등학교의 공식적인 축제이다. 오전에는 동아리들이 각자의 동아리실에서 부스 운영을 하며, 오후에는 공연을 한다. || || 서운마당 || 둘째, 셋째주 수요일[* 참여자가 없을 시 미뤄지기도 한다.] ||서운고 야외 시설인 야외무대에 써니, 우니로 칭해지는 학생 MC[* 재학생으로 구성되며 남, 녀 혼성 짝이다.]가 진행하는 프로그램이다. 공연같은건 하지 않고 주로 OX 퀴즈, 자잘한 미션등을 준비해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고 상품을 받아가는 형식의 프로그램이다. || == 출신 인물 ==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개교한지 20년도 되지 않아 아직 저명한 인물이 나오지 않았다. == 교통편 == ||<-2> {{{#white 버스}}} || ||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 서운중고등학교[br](41-109, 41-111) || [[인천 버스 80|80]], [[인천 버스 590|590]] || || 서운교[* 버스에서 내려 걸어가면 된다][br] || [[인천 버스 581|581]] || ||<-2> {{{#white,#191919 전철}}} || || [[작전역]][* 제일 가까운 역이지만 멀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white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대장홍대선]]이 작전동, 청라까지 연결되어 서운역이 생기지 않으면 지하철역은 사실상 이용 불가하다고 봐야 한다. == 기타 ==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계양구/교육, version=59, paragraph=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