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서봉총 자루솥2.jpg]] [목차] == 개요 == 瑞鳳塚 鐎斗. [[서봉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자루솥.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서 소장 중이다. == 내용 == [[파일:서봉총 자루솥3.jpg]] [[http://www.gj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797|사진 출처 : 경주 포커스]] 12시부터 시계 방향으로 서봉총 자루솥, 용강동 무덤 출토 청동제 양, 남석제 십이지, [[천마총 자루솥]]이다. 1926년에 경주 [[대릉원|노서동 제129호분]] [[서봉총]]에서 발견된 청동 자루솥이다. 제작년대는 대략 4~5세기 사이라고 추정한다. 고대 신라시대 능묘에서 형태가 비슷한 자루솥들이 자주 출토된다. 보물로 지정된 [[천마총 자루솥]]을 시작으로 [[황남대총]], [[금령총]], 경주 내남면 화곡리 고분군 등에서 이러한 자루솥들이 발굴되었다. 편구형(扁球形)의 몸통 한쪽에 [[양(동물)|양]](羊)머리 장식을 하고 있는데 양은 [[십이지]] 가운데 여덟 번째 동물로 온순한 성격으로 인해 고대 신라 때부터 [[평화]]의 상징으로 여겼다. 당시 신라의 문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다. [[파일:서봉총 자루솥.jpg]] 비록 비슷한 유물인 [[천마총 자루솥]]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보존상태가 좋지 않지만, 16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청동 자루솥으로 신라시대 금속공예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 외부 링크 == * [[http://www.kyongbuk.co.kr/news/articleView.html?idxno=680121|경주박물관 ‘아름답고 착한 동물, 양(羊)’ 특집전]] * [[http://blog.naver.com/jw1405/220555580541|스웨덴 구스타프 6세 아돌프 황태자의 서봉총 발굴과 좀 더 깊은 이야기]] [[분류:신라의 공예]][[분류:국립경주박물관 소장품]][[분류:경주시의 문화재]][[분류:서봉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