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첼시 FC 위민/간략)]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bb00, #ffbb00)" {{{#002000 '''서맨사 커의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4> {{{#333333,#cccccc '''둘러보기 틀 모음'''}}} || ||<-4> {{{#333333,#cccccc '''개인 수상'''}}} || || [[FA 여자 슈퍼 리그 #s-5|[[파일:FA_Women's_Super_League.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80633; font-size: 0.9em" [[FA 여자 슈퍼 리그 #s-5|{{{#ffffff '''FA WSL 득점왕''' }}}]]}}} ||<-3>[[FA 여자 슈퍼 리그 #s-5|2020-21]] · [[FA 여자 슈퍼 리그 #s-5|2021-22]] ||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1075; font-size: 0.9em" [[아시아 축구 연맹 #s-9.4|{{{#ffffff '''2017 AFC 올해의 선수'''}}}]]}}} || [[FWA 올해의 선수|[[파일:FWA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131A3C; font-size: 0.9em;" [[FWA 올해의 선수#s-2|{{{#ffffff '''2021-22 FWA 올해의 선수'''}}}]]}}} || [[아시아 축구 연맹|[[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height=50]]]][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e1075; font-size: 0.9em" [[아시아 축구 연맹 #s-9.4|{{{#ffffff '''2022 AFC 올해의 선수'''}}}]]}}} || || ||<-4> {{{#333333,#cccccc '''베스트팀'''}}} || || [[틀:2020-21 PFA 올해의 팀/여자|[[파일:PFA_UK_logo.png|height=55]]]][br]{{{#!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3px; border-radius: 2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9em" [[틀:2020-21 PFA 올해의 팀/여자|{{{#c18e33 '''2020-21 PFA 올해의 팀'''}}}]]}}}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 Kerr 2324.webp|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34694 0%, #001489)" '''{{{#!html 첼시 FC 위민 No. 20}}}'''}}} || ||<-2> '''{{{#001489 {{{+1 서맨사 커}}} [br] Samantha Kerr}}}''' || || '''{{{#f0f0f0 본명}}}''' ||서맨사 메이 커 [br] Samantha May Kerr || || '''{{{#f0f0f0 출생}}}''' ||[[1993년]] [[9월 10일]] ([age(1993-09-10)]세) [br] [[호주]]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이스트프리맨틀 || || '''{{{#f0f0f0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호주)] || || '''{{{#f0f0f0 신체}}}''' ||168cm, 66kg || || '''{{{#f0f0f0 포지션}}}''' ||[[스트라이커]] || || '''{{{#f0f0f0 소속 구단[* 호주 W-리그 소속 기간과 미국 NWSL 소속 기간이 겹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두 리그의 일정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W-리그는 11월에 시작해 이듬해 2월까지 팀당 12경기를 치르는 반면, NWSL은 4월해 시작해 같은 해 11월까지 팀당 24경기를 치른다. 이러한 일정을 이용해 호주 리그가 끝난 뒤 비시즌 동안에는 미국에서 뛰는 식으로 일종의 투잡을 뛴 것으로 추정된다.]}}}''' ||퍼스 글로리 위민 (2008~2011) [br] [[시드니 FC(여자)]] (2012~2014) [br] [[NWSL #s-3.1|웨스턴 뉴욕 플래시]] (2013~2014) [br] [[퍼스 글로리 FC(여자)]] (2014~2019) [br] [[NWSL #s-2.7|스카이 블루 FC]] (2015~2017) [br] [[NWSL #s-2.1|시카고 레드 스타즈]] (2018~2019) [br] '''[[첼시 FC 위민]] (2020~ )''' || || '''{{{#f0f0f0 국가대표}}}''' ||125경기 64골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호주]] / 2009~ )^^ || || '''{{{#f0f0f0 링크}}}''' ||[[https://www.instagram.com/samanthakerr2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호주]]의 [[축구 선수]]. 포지션은 [[스트라이커]]이다. 잉글랜드 여자 축구 최상위 리그인 [[FA 여자 슈퍼 리그]]의 [[첼시 FC 위민]]에 소속되어 있다. [[지소연]]과 함께 뛴적이 있으며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에이스이다. 애칭은 '''샘 커'''(Sam Kerr). == 선수 경력 == === 클럽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538530-72117768-2560-1440.jpg|width=100%]]}}} || 2015년부터 미국 여자 프로 축구 리그([[NWSL]])의 스카이 블루 FC에서 자신의 기량을 맘껏 펼쳐보이면서 여자 축구계에서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2017년에는 22경기 17골로 리그 득점왕과 MVP를 차지하기도 했다. 2018년 시카고 레드 스타즈로 이적하여 그해 시즌에 16골, 다음 시즌에 19골을 기록하면서 득점왕에 올랐고 3년 연속으로 [[내셔널 위민스 사커 리그]] 골든 부츠상을 수상하였다. 2019년 11월 13일 [[첼시 FC 위민]]이 커는 2019-20 시즌 후반기에 합류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2020년 1월 5일 [[레딩 FC 위민|레딩]]과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아스널 WFC|아스날]]과의 리그컵 결승전에서 첼시 소속으로 첫 우승을 차지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_Kerr_Golden_Boot.webp|width=100%]]}}} || 2020-21시즌 리그 21경기 20골로 리그 득점 선두를 달리고 있으며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 FC 바이에른 위민과의 4강 2차전에서 2골을 기록하면서 팀의 결승행을 이끌기도 했다. 2020년 8월 29일 [[맨체스터 시티 FC 위민|맨시티]]와의 FA 커뮤니티 실드 경기에서 첼시의 2-0 승리에 기여했다. [[브리스톨 시티 WFC|브리스톨]]과의 리그컵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해 6-0 승리를 견인했고, 시즌 중에는 득점왕을 차지해 2020-21 시즌 [[FA 여자 슈퍼 리그|리그]] 우승에 기여했다. 22경기에서 21골을 득점하여 골든 부츠를 수상하였다. 이후 첼시가 [[UEFA 여자 챔피언스 리그|챔스]] 결승전에 오르는 것을 도왔지만 [[FC 바르셀로나 페메니|바르셀로나]]에게 패하였다. 2021-22 시즌 동안 계속 좋은 모습을 보여줘 9월 "이달의 선수"로 지명되었다. 2021년 11월 16일, 2년 연장 계약을 체결하고, 2023-24 시즌이 끝날 때까지 클럽에 남게 됐다. 세르베트와의 UEFA 챔피언스리그 조별 리그 경기에서 결승골을 넣었고, [[버밍엄 시티 WFC|버밍엄]]과의 리그 경기에서 26분 만에 해트트릭을 기록했다, 12월 5일, 아스널과의 FA컵 결승전에서 2골을 넣으며 팀이 우승컵을 들어올리고 2020-21 시즌 '''도메스틱 트레블'''을 달성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2021년 시즌 23골로 마무리했고, 총 어시스트 10개로 [[프랜 커비|커비]]에 이어 2위를 차지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fwa.jpg|width=100%]]}}} ||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아시안컵]]에서 탈락한 후 첼시로 복귀한 커는 7경기 연속 10골을 기록했다. 3월 27일 [[레스터 시티 WFC|레스터]]와의 리그컵 결승전에서 첼시의 유일한 골을 기록하였고 0-9로 승리하였다. 4월 24일, [[토트넘 홋스퍼 FC 위민|토트넘]]과의 경기에서 6번째 연속 리그 경기에서 골을 넣었고, 이로써 [[아스날 WFC|아스날]]을 포함하여 모든 팀을 상대로 득점하면서 자신의 이전 시즌 기록을 깼다. 2022년 4월, 비비안 미데마와 로렌 헴프를 제치고 '''FWA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다.''' 2021-22 시즌 20골을 넣으며 2년 연속 골든부츠를 수상했고 모든 대회에서 9도움을 기록하며 3회 연속 여자 슈퍼리그 우승, 2회 연속 FA 여자컵 우승을 차지했다. 첼시 서포터스로부터 70% 이상의 득표율로 첼시 올해의 여자 선수로 선정되었다. 또한 '''PFA 올해의 선수로 선정되었으며, PFA WSL 올해의 팀에 2년 연속 이름을 올렸다.''' 2023년 지난 시즌에 이어 '''FWA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다.''' 2023년 10월 31일, '''AFC 올해의 여자 선수상을 수상했다.'''[[https://www.the-afc.com/ar/about_afc/afc_annual_awards/news/afc_womens_player_of_the_year_2022_sam_kerr_2.html|#]] === 국가대표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m Kerr National Team.webp|width=100%]]}}} || 2009년 2월, 15세의 나이로 캔버라에서 열린 이탈리아와의 친선경기에서 76분에 교체 투입되며 오스트레일리아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성인 국가대표팀]] 데뷔전을 치렀으나 1-5로 패하였다.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서 16세의 나이로 북한과의 경기에서 A매치 첫 골을 기록했다. 2010년 AFC 여자 아시안컵에 참가하기 위해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마틸다스]]에 차출되었다. 한국과의 조별리그 2차전에서 득점한 후, 북한과의 결승전에서 선제골을 넣었고 우승을 차지하는 것을 도왔다. [[2011 FIFA 여자 월드컵]]에 참가했다. 브라질과의 조별 리그 첫 경기에서 79분에 교체로 들어가 월드컵 데뷔전을 치렀고 기니와의 조별 리그 2차전에 선발로 출전하여 오스트레일리아의 3-2 승리와 노르웨이와의 조별 리그 최종전과 2-1 승리를 도왔다. 호주는 조 2위로 16강에 진출하였으나 스웨덴에 1-3으로 패하였다. 2015년 에드먼턴에서 열린 일본과의 2015년 FIFA 여자 월드컵 8강전에서 패했다. 2014년 12월 무릎을 다쳐 수술을 받은 커는 2015년 캐나다에서 열리는 FIFA 여자 월드컵을 앞두고 애런 홀트 피트니스 코치와 함께 열심히 회복했다. 미국과의 조별 리그 1차전에서 주전 공격수로 활약하였으나 1-3으로 패하였다. 조별 리그 2차전에서 호주가 나이지리아를 2-0으로 이기는 것을 도왔다. 1-1로 비긴 스웨덴과의 조별 리그 최종전에서 선발로 출전하였다. 호주는 조 2위를 하여 16강으로 진출하였고 8강전까지 진출했지만 일본에게 1-0으로 패했다. 2017년 7월, 커는 미국에서 열린 토너먼트 오브 네이션스에서 득점왕을 차지했다. 일본과의 경기에서 해트트릭을 기록했고, 브라질과의 경기에서도 골을 넣어 마틸다스의 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이 대회동안 커는 국가대표팀에서의 49경기 8골을 기록했다. 2017년 AFC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로 선정되었다. 2019년 2월, 커는 새 감독 안테 밀리치에 의하여 [[마틸다스]]의 주장으로 임명되었다. BBC 올해의 여자 축구 선수상 후보 5명 중 한 명이 되었다. 프랑스에서 열린 [[2019 FIFA 여자 월드컵]] 조별 리그 1차전에서 이탈리아를 상대로 페널티킥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팀은 1-2로 역전패했다. 커는 4-1로 이긴 자메이카와의 경기에서 '''포트트릭을 했고''', 경기 최우수 선수로 선정되었다. 이로 인해 커는 월드컵에서 포트트릭을 기록한 최초의 호주 여자 축구 선수가 되었다. 호주는 조 2위를 차지하여 결선 토너먼트에 진출하였으나 노르웨이와의 승부차기에서 패하였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 호주는 미국, 스웨덴, 뉴질랜드와 함께 조에 편성되었고 커는 뉴질랜드와의 첫 경기에서 1골을 넣었지만 스웨덴과의 두 번째 경기에서 페널티킥을 놓쳐 결국 4-2로 패하였다. [[영국 올림픽 축구 국가대표팀|영국]]과의 8강전에서 89분에 동점골을 넣어 경기를 연장전으로 이끌었고, 호주가 4-3으로 승리하고 [[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스웨덴]]과의 준결승전에 진출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미국]]과의 동메달 결정전에서 패하였지만 총 48골로 호주의 역대 최다 득점자가 되었다. 이후 호주와 아일랜드 경기에서 커는 자신의 100번째 국가대표팀 경기 출전 기록을 세웠고, [[마틸다스]] 역사상 10번째 국가대표팀 경기 출전 기록을 세웠다. 10월에 브라질과의 친선경기를 치르기 위해 호주로 돌아왔다. [[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아시안컵]]에서 인도네시아와의 조별 리그 1차전에서 5골을 넣었고, 이 과정에서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팀]]에서 케이힐이 세운 50골 기록을 뛰어넘었다. 대한민국과의 8강전에서 탈락했음에도 불구하고 4경기에서 7골을 넣으며 골든부츠를 수상했다. 2023년 7월 3일, 커는 [[마틸다스]]의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국가대표팀]] 주장을 맡을 것이라고 한다. == 여담 == * [[파일:sam-kerr-backflip.gif]] 과거 맨유에서 뛰었던 [[루이스 나니]]가 보여주던 백덤블링 셀레브레이션을 자주 선보이는 것으로 유명하다. * [[파일:Sam Kerr FIFA 23.jpg]] [[파리 생제르맹 FC]]의 축구선수 [[킬리안 음바페]]와 함께 [[FIFA 23]]의 표지모델에 선정되었다. * 미국 여자 축구 선수 [[크리스티 메위스]]와 연인 관계이다. * [[지소연]]의 고별 경기에 [[박지성]]이 초대되자 지소연에게 사인을 받아달라고 부탁했다 한다. * 원래는 축구 팬이 아니었다고 한다.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팬이었으며, 축구를 경멸할 정도였다고 한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첼시 FC 위민)] [[분류:1993년 출생]][[분류:2008년 데뷔]][[분류:호주의 여자 축구 선수]][[분류:공격수(여자)]][[분류:퍼스 출신 인물]][[분류:잉글랜드계 호주인]][[분류:인도계 호주인]][[분류:시드니 FC(여자)/은퇴, 이적]][[분류:퍼스 글로리 FC(여자)/은퇴, 이적]][[분류:시카고 레드 스타즈/은퇴, 이적]][[분류:첼시 FC 위민/현역]][[분류:호주의 FIFA 여자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19 FIFA 여자 월드컵 프랑스 참가 선수]][[분류: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참가 선수]][[분류:호주의 성소수자]][[분류:호주의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2020 도쿄 올림픽 축구 참가 선수]][[분류:호주의 AFC 여자 아시안컵 참가 선수]][[분류:2022 AFC 여자 아시안컵 인도 참가 선수]][[분류:퍼스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