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고려의 인물, rd1=서균(고려))] || '''서균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9번}}}''' || || [[양성우(야구선수)|양성우]][br](2013) || {{{+1 →}}} || '''서균[br](2014)''' || {{{+1 →}}} || [[송주호]][br](2015) || ||<-5> '''{{{#fff [[한화 이글스|{{{#fff 한화 이글스}}}]] 등번호 54번}}}''' || || [[이준수(야구선수)|이준수]][br](2016) || {{{+1 →}}} || '''서균[br](2017~2021)''' || {{{+1 →}}} || [[임준섭]][br](2022)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서균2021.png|width=100%]]}}} || ||<-2> '''{{{+2 서균}}}[br]徐均 | Seo Kyun''' || ||<|2> '''출생''' ||[[1992년]] [[1월 11일]] ([age(1992-01-11)]세) || ||[[서울특별시]]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서울화곡초등학교|화곡초]] - [[영동중학교(서울)|영동중]] - [[청원고등학교(서울)/야구부|청원고]] - [[원광대학교 야구부|원광대]][* [[제주산업정보대학]]에서 편입] || || '''신체''' ||185cm, 81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사이드암 스로|우사양타]] || || '''프로입단''' ||[[한국프로야구/2014년/신인드래프트#s-3.2|2014년 2차 8라운드]] (전체 84번, [[한화 이글스|한화]]) || || '''소속팀''' ||[[한화 이글스]] (2014~2021) || || '''병역''' ||[[사회복무요원]] (2015~2016) || || '''등장곡''' ||[[Avicii]] - Waiting for Love || [목차] [clearfix] == 개요 == 前 [[한화 이글스]] 소속 우완 사이드암 투수. == 선수 경력 == === [[한화 이글스]] === 2014년에는 2군에서 다듬으며 보냈고 군대 관리를 철저하게 했던 [[김응용]] 감독의 성향과 빨리 군 문제를 해결하는 게 좋다고 생각했던 본인의 의사가 더해져 그해 9월 공익근무요원으로 복무했다. ==== 2017 시즌 ==== 6월 29일 청주 kt전에 1군 데뷔전을 가졌다. 팀이 5대 1로 지고 있던 7회에 올라와 선두 타자 [[박기혁]]에게 2루타를 맞았지만 후속 타자인 [[이해창(1987)|이해창]]과 [[심우준]]을 4구 만에 뜬공으로 잡아내고 [[이충호(야구선수)|이충호]]에게 마운드를 넘겼다. 이충호가 이닝을 끝내면서 이 날 자책점은 없다. 6월 30일 두산전에 팀이 6대 5로 지고 있는 상황에서 [[강승현(야구선수)|강승현]]과 [[장민재]]에 이어 6회에 세 번째 투수로 등판, [[정진호(1988)|정진호]]와 [[허경민]]에게 볼넷과 몸 맞는 공을 허용하고 무사 1, 2루 상황을 만들었으나 [[박건우]]의 강한 번트 타구 때 [[윌린 로사리오]]의 좋은 판단으로 2루 주자를 3루에서 잡아내며 아웃 카운트 하나를 책임지고 내려갔다. 그 후 등판한 이충호와 [[심수창]]이 1사 만루를 무실점으로 틀어막으며 또 무자책. 구속이 느리고 제구가 전체적으로 높게 몰리는 편이라 17시즌엔 1군에서 장기간 활약하긴 힘들어 보이고 추후 체인지업이나 싱커 같은 결정구 장착과 코너 제구가 되어야 한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후 죽 패전조로 나오며 1군과 2군을 오고 갔다. 9월 26일 사직 롯데전에서 선발 [[김민우(1995)|김민우]]가 2⅔이닝 5실점 4자책으로 강판되자 2.2이닝을 무실점으로 막아내고 주자 한 명을 남겨둔 채 [[김경태(1991)|김경태]]와 교체되었다. 김경태가 삼진을 잡고, 강승현과 교체되어 석점포를 맞아서 승리는 날아갔다. 9월 30일 대전 KIA전 [[안영명]]이 4이닝 4실점으로 무너지자 구원등판했으나 1이닝 2실점으로 부진했다. 시즌 끝난 뒤 미야자키 교육리그에서는 6게임 12이닝 1실점으로 불펜에서 릴리프로 활약하며 호투하는 중이다. ==== [[서균/2018년|2018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서균/2018년)] ==== 2019 시즌 ==== 4월 21일 1이닝 동안 6피안타 1볼넷 5실점하며 작년 후반기에 보여줬던 불안한 제구와 더불어 직구 변화구를 가리지 않고 모든 공이 난타당하며 얼마 뒤 2군으로 내려갔다. 5월 26일 다시 1군에 콜업됐다. 그러나 등판 없이 10일 후 말소. 이후 1군에 올라오지 못하고 시즌이 끝났다. 시즌 7경기 4⅓이닝 14.54로 그야말로 폭삭 망한 시즌을 보냈다. 시즌 종료 후 [[질롱 코리아]]에 파견 형식으로 합류하기로 결정. 교육리그 대신 질롱 코리아에서 뛰는 셈이다. 하지만 투구 폼 교정과 밸런스 조절 등을 위해 합류가 취소되었고 대신 같은 팀의 [[박주홍(투수)|박주홍]]이 가게 됐다. ==== 2020 시즌 ==== 개막 이후 1군 등록이 전혀 없으며 퓨처스리그에선 5월 14일 이후로 출전 기록이 없었다. 이후 3달 정도 지난 8월 19일 퓨처스리그 두산전에서 계투로 올라와 승리를 올렸고, 8월 22일 퓨처스리그 SK전에선 홀드를 기록했다. 그 이후 등판은 다소 들쭉날쭉한 성적을 보였다. 10월 4일 [[김민하]], [[황영국]]과 함께 1군 엔트리에 콜업됐다. 1군 콜업은 2019년 4월 21일 삼성전 이후 약 1년 5개월여만. 10월 4일 롯데전에서 팀이 대패하고 있는 도중에 등판하여 2이닝 무실점을 기록했다. 10월 7일 KIA전에 7회말 등판하여 1이닝을 무실점으로 잘 막아냈다. 하마터면 본인 맞을 뻔한 타구도 있었지만 이후 침착하게 병살로 잡아낸 것이 백미. 놀랍게도 평균자책점이 0.00이다. 그러나 WHIP가 1.77로 매우 높은데, 잘 던졌다고 볼 수는 없는 셈이다. 애초에 나온 경기가 몇 없으니 자책점은 큰 의미가 없었다. ==== 2021 시즌 ==== 시즌 전 3월 5일 [[키움 히어로즈]]와의 연습경기에서 등판해 경기를 마무리 지었다. 3월 26일 [[kt wiz]]와의 시범경기에서 [[윤대경]]이 강판된 뒤 등판하였으나 정작 한 개의 아웃카운트를 잡지 못한 채 2볼넷만 주고 강판당했다. 10월 14일 [[김진영(야구선수)|김진영]], [[정진호(1988)|정진호]] 등과 함께 웨이버 공시되었다. == 여담 == * 중학생 때까지만 해도 [[스위치 히터]]인 외야수였으나, 고등학생 때 사이드암으로 던질 때 제일 편하게 던지는 거 같다는 어머니의 말에 사이드암 투수로 전향했다고 한다. [[http://sports.news.naver.com/kbaseball/news/read.nhn?oid=469&aid=0000299398|#]] * 김성근은 소집해제한 서균에게 투구시 한 번 멈춰서 힘을 모은 후 던지도록 시켰다. 18시즌을 앞두고 투수코치로 부임해온 [[송진우(야구)|송진우]]는 다리를 들 때마다 멈춤동작으로 힘이 분산되어 구속이 안나오는 서균을 보고 멈춤동작 없이 바로 키킹에 들어가도록 폼을 교정했다. * 고3 때 미지명으로 전, [[제주산업정보대학]] 현 [[제주국제대학교]]에 진학했는데 대학교 2학년 때도 지명받지 못했고 2년재 대학 선수들의 편입을 잘 받아주는 [[원광대학교]]에 편입한 후 3번째 드래프트에서 뽑혔다. 즉 드래프트 삼수 끝에 인간승리를 거둔 것.[* 먼 훗날 [[NC 다이노스]]에 입단한 [[조효원]]과 완전히 똑같은 케이스다.] * 2022년 2월 28일 오전 11시에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이제는 수배전반, 변압기 설치 및 철거일을 한다고 한다. == 연도별 주요 성적 == ||<-17> {{{#ffffff 역대기록}}} || || 연도 || 소속 ||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피안타 || 피홈런 || 4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HIP || || 2014 ||<|8> [[한화 이글스|한화]] ||<-15> 1군 기록 없음 || || 2015 ||<-16><|2> 사회복무요원으로 복무 || || 2016 || || 2017 || 14 || 14⅓ || 0 || 0 || 0 || 0 || 0.000 || 4.40 || 17 || 2 || 6 || 10 || 7 || 7 || 1.40 || || 2018 || 56 || 37⅓ || 1 || 1 || 1 || 10 || 0.500 || 5.79 || 39 || 7 || 23 || 22 || 26 || 24 || 1.47 || || 2019 || 7 || 4⅓ || 0 || 0 || 0 || 0 || 0.000 || 14.54 || 10 || 0 || 3 || 3 || 8 || 7 || 3.00 || || 2020 || 7 || 7⅓ || 0 || 0 || 0 || 0 || 0.000 || 0.00 || 7 || 0 || 7 || 1 || 0 || 0 || 1.77 || || 2021 || 3 || 1⅔ || 0 || 0 || 0 || 0 || 0.000 || 10.80 || 2 || 0 || 2 || 0 || 2 || 2 || 1.20 || ||<-2> '''[[KBO 리그]] 통산[br](5시즌)''' || 87 || 65 || 1 || 1 || 1 || 10 || 0.500 || 5.54 || 75 || 9 || 41 || 36 || 43 || 40 || 1.59 ||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KBO)]] [각주] [[분류:대한민국의 야구 선수]][[분류:1992년 출생]][[분류:2017년 데뷔]][[분류:2021년 은퇴]][[분류:서울특별시 출신 인물]][[분류:청원고등학교 출신]][[분류:제주산업정보대학교 출신]][[분류:원광대학교 출신]][[분류:우투양타]][[분류:우완 투수]][[분류:사이드암 투수]][[분류:빙그레-한화 이글스/은퇴, 이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