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서구(대전광역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대전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서구 을}}} (대전)}}}'''[br]{{{-1 {{{#fff 서구 일부[br]西區 乙[br]Seo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서구 을(대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23,114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대전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구(대전)|{{{#000,#fff 서구}}}]] 일부'''[br]용문동, 탄방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 ||<-2> '''신설년도''' ||<-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1996년]]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박범계]] || [목차] [clearfix] == 개요 == 원래는 서구·유성구로 묶여있던 것이 15대 때 유성구의 인구 증가로 유성구와 결별하고 서구도 갑/을로 선거구가 분리됐으며, 선거구획의 변동은 전무했다. 서구의 북부 지역으로서 [[둔산신도시]] 생활권이다.[* 용문동, 갈마1동 전체와 갈마2동 일부는 둔산신도시에서 제외된다.] 이 지역구는 [[정부대전청사]], [[대전광역시청|시청]], [[대전교육청|교육청]], 각종 [[특별지방행정기관]] 등 대전, 넓게는 범 충남, ([[충청북도]]까지도 포함하는 경우) [[충청도]] 전체를 대표하는 관공서, 공공기관 지사, 사기업 지사의 대부분이 모여 있는 곳이라 '''대전의 정치 1번지'''이다. 이 지역구의 현역 의원은 전 [[법무부장관]]인 [[박범계]] 의원이다. 분구 후 정규 총선 7번과 [[구논회]] 의원의 작고로 치러진 [[2007년 재보궐선거]]를 포함해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까지 국회의원 선거가 8번이 치러졌는데, 눈에 띄는 점은 [[국민의힘]] 및 그 전신인 제1보수정당[* 민자 - 신한국 - 한나라 - 새누리 - 한국 - 통합 - 국힘.] 후보는 당선된 적이 단 한 번도 없다. 소위 말하는 [[충청계 보수정당|지역정당]]이 4번, [[민주당계 정당|민주당]]이 4번 당선됐다. 평균적으로 진보 성향이 강한 편이었으나, [[문재인 정부]] 이후 부동산 문제로 인해 보수화가 진행되었다. 동별로 득표율 편차가 큰 편이다. 둔산1·3동, 월평2동, 갈마1동, 용문동은 대체로 보수정당이 우세하고, 둔산2동, 만년동[* 강변아파트를 제외하면 모두 30평대거나 그 이하이다.]은 대체로 민주당계 정당이 우세하다. 탄방동, 월평1·3동, 갈마2동은 어느 정당이 확실한 우위를 점하지는 않고 있다. 이렇게 동별로 차이가 나는 이유는 해당 동네의 주된 아파트 평수와 상관관계가 크다. 보수정당이 우세한 둔산1·3동[* 통칭 시청역 크목한(크로바, 목련, 한마루) 및 햇님아파트와 가람아파트.]과 월평2동은 대형 평수의 아파트단지가 많은 반면, 민주당계 정당이 우세한 둔산2동, 월평3동, 만년동은 소형 평수의 아파트단지가 많아서이다. 여담으로, [[서구 갑(대전광역시)|서구 갑]]과 함께 민선 구청장 출신 국회의원이 지금까지 한 번도 나오지 않은 선거구다. 또한 대전의 중심부이다 보니 대전 7개 선거구들 중에서 유일하게 일반 고속도로가 없으며[* 대전 모든 구에 고속도로가 지나가지만, 서구는 서구 갑 지역만 지나고 을 지역은 지나지 않는다. 다만 [[갑천도시고속도로]]는 있다.], 유일하게 대전과 접한 다른 지역과 붙어있지 않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 [[박충순]] || [include(틀: 신민주공화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대전시 서구[* 충남] || || 제14대 || [[이재환(1937)|이재환]] || [include(틀: 무소속)]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서구·유성구 || || 제15대 ||<|2> [[이재선]] ||<|2>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8> 서구 을 || || 제16대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2> 제17대 || [[구논회]]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6년 11월 5일[* 임기 중 사망] || || [[심대평]] || [include(틀:국민중심당)] || 2007년 4월 26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이재선]] || [include(틀:자유선진당)]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3> [[박범계]]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 서구(13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br]{{{#ffffff 대전시 서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환(1937)|{{{#000,#fff 이재환}}}]](李在煥) || 24,305 || 3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23.52% || 낙선 || ||<|2> {{{#ffffff {{{+5 '''2'''}}}}}} || [[김태룡(정치인)|{{{#000,#fff 김태룡}}}]](金泰龍) || 30,805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29.81% || 낙선 || ||<|2> {{{#373a3c {{{+5 '''3'''}}}}}} || [[송석찬|{{{#000,#fff 송석찬}}}]](宋錫贊) || 8,880 || 4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8.59% || 낙선 || ||<|2> {{{#ffffff {{{+5 '''4'''}}}}}} || '''[[박충순|{{{#000,#fff 박충순}}}]](朴忠淳)''' || '''37,862''' || '''1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36.84%''' || '''당선''' || ||<|2> {{{#ffffff {{{+5 '''5'''}}}}}} || [[최병욱(정치인)|{{{#000,#fff 최병욱}}}]](崔秉旭) || 1,456 || 5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1.4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6,852 ||<|3> '''투표율'''[br]76.10% || || '''투표 수''' || 104,113 || || '''무효표 수''' || 805 || == 서구·유성구 (14대)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유성구'''}}}}}}[br]{{{#ffffff 대전시 서구 일원, 유성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충순|{{{#000,#fff 박충순}}}]](朴忠淳) || 19,474 || 4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4.02% || 낙선 || ||<|2> {{{#ffffff {{{+5 '''2'''}}}}}} || 이희원(李熙元) || 22,394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6.12% || 낙선 || ||<|2> {{{#ffffff {{{+5 '''3'''}}}}}} || [[김태룡(정치인)|{{{#000,#fff 김태룡}}}]](金泰龍) || 39,588 || 2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8.51% || 낙선 || ||<|2> {{{#ffffff {{{+5 '''4'''}}}}}} || [[류관석|{{{#000,#fff 류관석}}}]](柳寬石) || 2,818 || 6위 || || [include(틀:신정치개혁당)] || 2.02% || 낙선 || ||<|2> {{{#ffffff {{{+5 '''5'''}}}}}} || 박영문(朴榮文) || 2,97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14% || 낙선 || ||<|2> {{{#ffffff {{{+5 '''6'''}}}}}} || 윤태현(尹泰鉉) || 1,058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0.76% || 낙선 || ||<|2> {{{#ffffff {{{+5 '''7'''}}}}}} || '''[[이재환(1937)|{{{#000,#fff 이재환}}}]](李在奐)''' || '''48,464''' || '''1위''' || || [include(틀:무소속)] || '''34.90%''' || '''당선''' || ||<|2> {{{#ffffff {{{+5 '''8'''}}}}}} || 정길준(鄭吉峻) || 2,071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00,532 ||<|3> '''투표율'''[br]70.01% || || '''투표 수''' || 140,217 || || '''무효표 수''' || 1,377 || == 서구 을 (15대~ )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둔산동, 갈마동, 월평1동, 월평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염홍철|{{{#000,#fff 염홍철}}}]](廉弘喆) || 32,630 || 2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34.86% || 낙선 || ||<|2> {{{#ffffff {{{+5 '''2'''}}}}}} || [[전득배|{{{#000,#fff 전득배}}}]](田得培) || 9,368 || 3위 || || [include(틀: 새정치국민회의)] || 10.00% || 낙선 || ||<|2> {{{#ffffff {{{+5 '''3'''}}}}}} || 이희원(李熙元) || 6,086 || 4위 || || [include(틀: 통합민주당(1995년))] || 6.50% || 낙선 || ||<|2> {{{#ffffff {{{+5 '''4'''}}}}}}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41,825''' || '''1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44.69%''' || '''당선''' || ||<|2> {{{#ffffff {{{+5 '''5'''}}}}}} || 유재영(兪載英) || 3,679 || 5위 || || [include(틀: 무소속)] || 3.9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1,734 ||<|3> '''투표율'''[br]66.92% || || '''투표 수''' || 94,848 || || '''무효표 수''' || 1,260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둔산1동, 둔산2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홍만|{{{#000,#fff 김홍만}}}]](金洪萬) || 18,939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21.44% || 낙선 || ||<|2> {{{#ffffff {{{+5 '''2'''}}}}}} || [[남재두|{{{#000,#fff 남재두}}}]](南在斗) || 22,425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5.39% || 낙선 || ||<|2> {{{#ffffff {{{+5 '''3'''}}}}}}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31,428''' || '''1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35.58%''' || '''당선''' || ||<|2> {{{#ffffff {{{+5 '''4'''}}}}}} || 김창영(金昌榮) || 3,254 || 5위 || || [include(틀:희망의한국신당)] || 3.68% || 낙선 || ||<|2> {{{#ffffff {{{+5 '''5'''}}}}}} || 이대형(李大衡) || 2,855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3.23% || 낙선 || ||<|2> {{{#ffffff {{{+5 '''6'''}}}}}} || 이종기(李宗基) || 1,327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50% || 낙선 || ||<|2> {{{#ffffff {{{+5 '''7'''}}}}}} || [[조병세(1949)|{{{#000,#fff 조병세}}}]](趙炳世) || 8,084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9.1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9,917 ||<|3> '''투표율'''[br]52.40% || || 투표수 || 89,034 || || 무효표수 || 722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서구 을'''}}}}}}[br]{{{#000000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둔산1동, 둔산2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28,138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24.94% || 낙선 || ||<|2> {{{#ffffff {{{+5 '''2'''}}}}}} || 송인덕(宋寅德) || 3,339 || 4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95% || 낙선 || ||<|2> {{{#000000 {{{+5 '''3'''}}}}}} || '''[[구논회|{{{#000,#fff 구논회}}}]](具論會)''' || '''47,053'''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41.70%''' || '''당선''' || ||<|2> {{{#ffffff {{{+5 '''4'''}}}}}} || [[정하용|{{{#000,#fff 정하용}}}]](鄭夏容) || 30,705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7.21% || 낙선 || ||<|2> {{{#ffffff {{{+5 '''5'''}}}}}} || [[김윤기|{{{#000,#fff 김윤기}}}]](金潤起) || 1,891 || 5위 || || [include(틀:사회당(1998년))] || 1.67% || 낙선 || ||<|2> {{{#ffffff {{{+5 '''6'''}}}}}} || 정주신(程朱信) || 1,689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4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6,584 ||<|3> '''투표율'''[br]60.97% || || '''투표 수''' || 113,768 || || '''무효표 수''' || 953 || === [[2007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둔산1동, 둔산2동, 갈마1동, 갈마2동,[br]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24,573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37.08% || 낙선 || ||<|2> {{{#ffffff {{{+5 '''5'''}}}}}} || '''[[심대평|{{{#000,#fff 심대평}}}]](沈大平)''' || '''39,858''' || '''1위''' || || [include(틀:국민중심당)] || '''60.15%''' || '''{{{#000000 당선}}}''' || ||<|2> {{{#ffffff {{{+5 '''6'''}}}}}} || [[김윤기|{{{#000,#fff 김윤기}}}]](金潤起) || 1,833 || 3위 || || [include(틀:한국사회당)] || 2.7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2,161 ||<|3> '''투표율'''[br]34.61% || || '''투표 수''' || 66,498 || || '''무효표 수''' || 234 || [[구논회]] 의원이 임기 중 암으로 작고하면서 재보궐선거가 열리게 되었다. [[한나라당]]에서는 이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했던 [[이재선]] 전 의원을 공천했고, [[국민중심당]]에서는 당시 대표였던 [[심대평]] 전 [[충청남도지사]]를 공천하였다. [[열린우리당]]은 당초 [[염홍철]] 전 [[대전광역시장]]이나 [[박범계]] 변호사를 공천하려고 했으나, 당내 사정과 당시 저조했던 지지율 등으로 인해 공천을 하지 않았고, 최종적으로 [[심대평]] 후보가 反한나라 연합 후보로 확정되었다.[* 공식적인 선거 연대는 없었지만, 전임 구논회 의원의 부인이 심대평을 만나 회동하는 등 사실상 심대평 후보를 지지했다고 볼 수 있다.] 최종적으로 [[심대평]] 후보가 60.15%라는 득표율로 [[이재선]] 후보를 꺾고 당선되며 국회에 입성하게 된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삼천동, 둔산1동, 둔산2동, 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범계|{{{#000,#fff 박범계}}}]](朴範界) || 22,448 || 2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6.41% || 낙선 || ||<|2> {{{#ffffff {{{+5 '''2'''}}}}}} || 나경수(羅京洙) || 19,539 || 3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22.99% || 낙선 || ||<|2> {{{#ffffff {{{+5 '''3'''}}}}}}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35,156''' || '''1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41.37%''' || '''{{{#000000 당선}}}''' || ||<|2> {{{#ffffff {{{+5 '''6'''}}}}}} || 서종환(徐鍾煥) || 5,995 || 4위 || || [include(틀:친박연대(2008년))] || 7.05% || 낙선 || ||<|2> {{{#ffffff {{{+5 '''7'''}}}}}} || 유지혁(柳志赫) || 433 || 6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0.50% || 낙선 || ||<|2> {{{#ffffff {{{+5 '''8'''}}}}}} || 이제윤(李制胤) || 765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6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1,756 ||<|3> '''투표율'''[br]44.59% || || '''투표 수''' || 85,519 || || '''무효표 수''' || 545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3AB34A {{{+1 '''서구 을'''}}}}}}[br]{{{#3AB34A 용문동, 탄방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 [br]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만년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최연혜|{{{#000,#fff 최연혜}}}]](崔然惠) || 25,013 || 3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3.26% || 낙선 || ||<|2> {{{#3AB34A {{{+5 '''2'''}}}}}} || '''[[박범계|{{{#000,#fff 박범계}}}]](朴範界)''' || '''46,908'''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3.62%''' || '''당선''' || ||<|2> {{{#ffffff {{{+5 '''3'''}}}}}}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32,982 || 2위 || || [include(틀:자유선진당)] || 30.67% || 낙선 || ||<|2> {{{#FEDD02 {{{+5 '''6'''}}}}}} || [[서진희(정치인)|{{{#000,#fff 서진희}}}]](徐眞姬) || 913 || 5위 || || [include(틀: 정통민주당)] || 0.84% || 낙선 || ||<|2> {{{#ffffff {{{+5 '''7'''}}}}}} || [[김윤기|{{{#000,#fff 김윤기}}}]](金潤起) || 1,708 || 4위 || || [include(틀: 진보신당)] || 1.5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5,918 ||<|3> '''투표율'''[br]55.15% || || '''투표 수''' || 108,048 || || '''무효표 수''' || 524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서구 을(대전)|{{{#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만년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br]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재선|{{{#000,#fff 이재선}}}]](李在善) || 39,912 || 2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34.79% || 낙선 || ||<|2> {{{#ffffff {{{+5 '''2'''}}}}}} || '''[[박범계|{{{#000,#fff 박범계}}}]](朴範界)''' || '''56,81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9.53%''' || '''당선''' || ||<|2> {{{#ffffff {{{+5 '''3'''}}}}}} || [[이동규(정치인)|{{{#000,#fff 이동규}}}]](李東奎) || 12,875 || 3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11.22% || 낙선 || ||<|2> {{{#000000 {{{+5 '''4'''}}}}}} || [[김윤기|{{{#000,#fff 김윤기}}}]](金潤起) || 5,104 || 4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4.4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3,145 ||<|3> '''투표율'''[br]60.0% || || '''투표 수''' || 115,924 || || '''무효표 수''' || 1,214 || ||<-6> {{{#FFFFFF '''20대 총선 대전 서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재선(정치인)|{{{#FFFFFF '''이재선'''}}}]] ||<:> [[박범계|{{{#FFFFFF '''박범계'''}}}]] ||<:> [[이동규(정치인)|{{{#FFFFFF '''이동규'''}}}]] || || '''득표수[br](득표율)''' ||<:> '''39,912 [br] (34.79%)''' ||<:> {{{#FFFFFF '''56,819 [br] (49.53%)'''}}} ||<:> '''12,875 [br] (11.22%)''' ||<:> '''- 16,907 [br] (▼14.74)''' ||<:> '''60.0%''' || || '''용문동''' ||<:> {{{#C9252B 43.62%}}} ||<:> 37.64% ||<:> '''14.01%''' ||<:> {{{#808080 △5.98}}} ||<:> 48.99 || || '''탄방동''' ||<:> 34.80% ||<:> {{{#004EA2 47.83%}}} ||<:> 12.26% ||<:> ▼13.03 ||<:> 51.67 || || '''둔산1동''' ||<:> 36.47% ||<:> {{{#004EA2 50.51%}}} ||<:> 9.28% ||<:> ▼14.04 ||<:> 68.53 || || '''둔산2동''' ||<:> 29.08% ||<:> {{{#004EA2 56.08%}}} ||<:> 10.44% ||<:> ▼27.0 ||<:> 64.21 || || '''둔산3동''' ||<:> 40.90% ||<:> {{{#004EA2 45.13%}}} ||<:> 10.65% ||<:> ▼4.23 ||<:> 62.14 || || '''갈마1동''' ||<:> 38.45% ||<:> {{{#004EA2 45.12%}}} ||<:> 11.98% ||<:> ▼6.67 ||<:> 50.61 || || '''갈마2동''' ||<:> 33.23% ||<:> {{{#004EA2 49.63%}}} ||<:> 10.97% ||<:> ▼16.40 ||<:> 48.50 || || '''월평1동''' ||<:> 36.18% ||<:> {{{#004EA2 45.81%}}} ||<:> 12.86% ||<:> ▼9.63 ||<:> 46.29 || || '''월평2동''' ||<:> 41.37% ||<:> {{{#004EA2 44.45%}}} ||<:> 10.20% ||<:> ▼3.08 ||<:> 62.33 || || '''월평3동''' ||<:> 33.13% ||<:> {{{#004EA2 53.03%}}} ||<:> 10.23% ||<:> ▼19.90 ||<:> 67.94 || || '''만년동''' ||<:> 30.51% ||<:> {{{#004EA2 53.36%}}} ||<:> 11.32% ||<:> ▼22.85 ||<:> 64.43 || || '''후보''' ||<:> [[이재선(정치인)|{{{#C9252B '''이재선'''}}}]] ||<:> [[박범계|{{{#004EA2 '''박범계'''}}}]] ||<:> [[이동규(정치인)|{{{#006241 '''이동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9252B '''44.15%'''}}} ||<:> 37.12% ||<:> 13.71% ||<-2> {{{#808080 △'''7.03'''}}} || || '''관외사전투표''' ||<:> 28.53% ||<:> {{{#004EA2 54.13%}}} ||<:> 12.85% ||<-2> ▼25.60 || || '''국외부재자투표''' ||<:> 16.10% ||<:> {{{#004EA2 '''71.91%'''}}} ||<:> 8.61% ||<-2> ▼'''55.81''' || [[더불어민주당]]에선 현역 [[박범계]] 의원이 단수 공천을 받았다. [[새누리당]]에선 지난 총선 때 패배한 [[이재선(정치인)|이재선]] 전 의원이 공천을 받았다. 박범계 vs 이재선의 3번째 리턴매치가 되었다. 그리고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선 [[이동규(정치인)|이동규]] 후보가, [[정의당]]에서도 [[김윤기]] 후보가 공천을 받아 출마했다. 민주 - 진보 진영의 표심이 분산되었기에 박범계에게 불리한 선거로 예측되었다. 개표 결과 박범계가 표 분산이란 악재 속에서도 49.53% 득표율로 이재선을 14.74%p차로 꺾고 재선에 성공했다. 반면에 이재선은 저런 [[호재#s-1|호재]]에도 불구하고 겨우 34.79% 득표에 그쳤다. 이 때문에 2017년 12월에 [[새누리당]]의 후신인 [[자유한국당]]은 이재선의 당협위원장직을 박탈했고, 이재선 후보는 탈당 선언 후 정계를 은퇴했다. 그리고 이번 총선에서 3위였던 이동규는 뜬금없이 [[우리공화당]]으로 갔다. 박범계는 용문동과 거소 및 선상투표를 제외하고 모두 승리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서구 을(대전)|{{{#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만년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br]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범계|{{{#000,#fff 박범계}}}]](朴範界)''' || '''70,798'''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57.50%''' || '''당선''' || ||<|2> {{{#ffffff {{{+5 '''2'''}}}}}} || [[양홍규|{{{#000,#fff 양홍규}}}]](楊鴻奎) || 50,140 || 2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0.77% || 낙선 || ||<|2> {{{#ffffff {{{+5 '''7'''}}}}}} || [[이동규(정치인)|{{{#000,#fff 이동규}}}]](李東奎) || 973 || 4위 || || [include(틀:우리공화당)] || 0.79% || 낙선 || ||<|2> {{{#ffffff {{{+5 '''8'''}}}}}} || 김정열(金貞烈) || 1,143 || 3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9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8,715 ||<|3> '''투표율'''[br]66.1% || || '''투표 수''' || 124,653 || || '''무효표 수''' || 1,689 || ||<-8> {{{#FFFFFF '''21대 총선 대전 서구 을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박범계|{{{#FFFFFF '''박범계'''}}}]] ||<:> [[양홍규|{{{#FFFFFF '''양홍규'''}}}]]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70,798 [br] (57.50%)'''}}} ||<:> '''50,140 [br] (40.77%)''' ||<:> '''+20,658 [br] (△16.73)''' ||<:> '''66.1%''' || || '''용문동''' ||<:> {{{#004EA2 50.61%}}} ||<:> 46.37% ||<:> △4.24 ||<:> 54.0 || || '''탄방동''' ||<:> {{{#004EA2 57.49%}}} ||<:> 40.49% ||<:> △17.0 ||<:> 58.04 || || '''둔산1동''' ||<:> {{{#004EA2 52.99%}}} ||<:> 45.74% ||<:> △7.25 ||<:> 77.49 || || '''둔산2동''' ||<:> {{{#004EA2 60.83%}}} ||<:> 37.69% ||<:> △23.14 ||<:> 67.27 || || '''둔산3동''' ||<:> {{{#004EA2 51.82%}}} ||<:> '''46.57%''' ||<:> △5.25 ||<:> 71.23 || || '''갈마1동''' ||<:> {{{#004EA2 54.60%}}} ||<:> 43.45% ||<:> △11.15 ||<:> 55.54 || || '''갈마2동''' ||<:> {{{#004EA2 59.36%}}} ||<:> 38.88% ||<:> △20.48 ||<:> 52.19 || || '''월평1동''' ||<:> {{{#004EA2 58.34%}}} ||<:> 39.39% ||<:> △18.95 ||<:> 55.22 || || '''월평2동''' ||<:> {{{#004EA2 52.18%}}} ||<:> 45.99% ||<:> △6.19 ||<:> 67.74 || || '''월평3동''' ||<:> {{{#004EA2 57.63%}}} ||<:> 41.13% ||<:> △16.50 ||<:> 72.79 || || '''만년동''' ||<:> {{{#004EA2 61.29%}}} ||<:> 37.52% ||<:> △23.77 ||<:> 70.55 || || '''후보''' ||<:> [[박범계|{{{#004EA2 '''박범계'''}}}]] ||<:> [[양홍규|{{{#ef426f '''양홍규'''}}}]]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65.94%}}} ||<:> 30.43% ||<-2> △35.51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5.90%}}} ||<:> 32.28% ||<-2> △33.62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78.30%'''}}} ||<:> 19.81% ||<-2> △'''58.49''' || 현역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의원과, 박성효 시장 시절 [[대전광역시 부시장|정무부시장]]이었던 자유한국당 시절 [[양홍규]] 당협위원장의 대결이 되었다. 박범계 의원의 [[김소연(정치인)|김소연]] 시의원 관련 이슈들의 향방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2018~2019년에 [[이완구]] 전 총리가 본인이 출마를 물색하고 있는 지역구로 이곳과 [[홍성군·예산군]], [[천안시 갑]], [[세종시(선거구)|세종시]][* 인구 증가로 선거구 증설이 진작 확실시되었기 때문에 그럴 경우에는 세종시 갑/을 중 하나.] 이렇게 4곳을 '내가 나가고 싶다' 혹은 '시도당이나 해당 지역구에서 나를 부른다' 등의 방법으로 직접 언급했었으나, [[http://www.ccherald.kr/news/articleView.html?idxno=14225|#]]에 의하면 대전은 제외한다고 밝혔다. 아마 이완구 스스로든 당에서 보기에든 현역인 박범계가 좋든 싫든 활발한 의정활동으로 전국적인 인지도를 가진 인물인데 반해 그동안 한국당이 내왔던 후보들은 인지도 면에서 뒤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었기 때문에 충청권을 대표하는 정치인 중 한명인 이완구의 출마를 검토했었지만 접은 것으로 보인다.[* 인접한 선거구인 [[유성구 갑]]도 구청장 선거 및 총선 도합 4연패로 경쟁력 부족이 증명된 [[진동규]] 당협위원장을 밀어내고 박성효 전 시장을 당협위원장으로 앉히는 등 당에서도 차기 총선을 제대로 준비하는 움직임을 보였다. 그러나 출마로 이어지진 않았다.] 19대 총선에는 새누리당 후보로 나왔지만 떨어졌던 한국당 [[최연혜]] 의원도 [[http://m.joongdo.co.kr/view.php?key=20191230010012573#_enliple|#]]여론조사에 포함되는 등 후보군에 올라 있었으나 [[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ec%b5%9c%ec%97%b0%ed%98%9c-%eb%b6%88%ec%b6%9c%eb%a7%88-%ec%a0%95%ea%b6%8c-%eb%ba%8f%ea%b8%b4-%ec%b1%85%ec%9e%84-%eb%8a%90%ea%bb%b4%e2%80%a6%ec%83%88-%ec%9d%b8%ec%9e%ac-%ec%a7%80%ec%9b%90%ed%95%98%ea%b2%a0%eb%8b%a4-%ec%a2%85%ed%95%a9/ar-BBYDJg0|#]] 불출마를 선언해서 후보군에서 완전히 빠지게 되었다. 개표 결과 더불어민주당 박범계 후보가 미래통합당 양홍규 후보를 16.73%p 차로 크게 꺾고 당선되었다. 박범계는 모든 동에서 압승을 거두며 자신의 높은 인지도를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 지역에서 총선과 같이 치러진 [[2020년 재보궐선거]]의 대전시의원[* 제6선거구]과 서구의원[* 바 선거구] 재보궐선거에서도 더불어민주당 후보들이 5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승리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서구 을(대전광역시)|{{{#ffffff {{{+1 '''서구 을'''}}}}}}]][br]{{{#ffffff 용문동, 탄방동, 만년동, 둔산1동, 둔산2동, 둔산3동,[br]갈마1동, 갈마2동, 월평1동, 월평2동, 월평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대전광역시의 정치]][[분류:서구(대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