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서구(광주광역시)/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광주광역시)]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서구 갑}}} (광주)}}}'''[br]{{{-1 {{{#fff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br]西區 甲[br]Seo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서구 갑(광주).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31,513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광주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구(광주광역시)|{{{#373a3c,#ddd 서구}}}]] 일부'''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 || ||<-2> '''신설년도''' ||<-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2004년]] || ||<-2> '''이전 선거구''' ||<-2> 서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송갑석]]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구 갑 선거구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신설되었지만, 서구 을 선거구를 구성하던 [[남구(광주광역시)|남구]]가 떨어져나가 남구 선거구로 바뀐 뒤 서구 선거구로 통합되었다가,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다시 분구되었다. 대체로 상무대로 북부 지역에 속하는 곳이다. [[유스퀘어]], [[기아자동차]] 공장이 이곳에 위치해 있다. [[광주광역시청]]이 여기 속해있어 일명 '''[[전라도|호남]] 정치 1번지'''라 불리우는 곳이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의원이다. 양동, 농성동, 유덕동, 화정동 등의 낙후된 지역이 많아서 [[서구 을(광주)|서구 을]]보단 보수적이지만 [[상무지구]]와 최근 화정동 일대 재개발이 진행되며 [[서구 을(광주)|서구 을]]을 뛰어넘을 정도로 [[민주당계 정당]]의 지지율이 올라갔다. 정치 지형이 바뀐 현재는 다시 서구 갑이 서구 을보다 보수 정당 득표율이 높아졌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13대 ||<|2> [[정상용]] || [include(틀:평화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2> '''서구 갑''' || || 14대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2> [[정동채]]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2> '''서구''' || || 16대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염동연]]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7> '''서구 갑''' || || 18대 || [[조영택]]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박혜자]]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2> 20대 || --[[송기석]]--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2016년 5월 30일 ~ 2018년 2월 8일 || ||<|2> [[송갑석]] ||<|2>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18년 6월 14일 ~ 2020년 5월 29일 || || 21대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 22대 || || || || === 서구 갑 (13대~14대)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서구 갑'''}}}}}}[br]{{{#000000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br]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영일|{{{#373a3c,#dddddd 이영일}}}]](李榮一) || 8,705 || 2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10.56% || 낙선 || ||<|2> {{{#ffffff {{{+5 '''2'''}}}}}} || [[장기언|{{{#373a3c,#dddddd 장기언}}}]](張基彦) || 593 || 4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0.72% || 낙선 || ||<|2> {{{#000000 {{{+5 '''3'''}}}}}} || '''[[정상용|{{{#373a3c,#dddddd 정상용}}}]](鄭祥容)''' || '''71,349''' || '''1위''' || || [include(틀:평화민주당)] || '''86.63%''' || '''당선''' || ||<|2> {{{#ffffff {{{+5 '''4'''}}}}}} || [[이필선(정치인)|{{{#373a3c,#dddddd 이필선}}}]](李必善) || 1,71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0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5,477 ||<|3> '''투표율'''[br]78.52% || || '''투표 수''' || 82,828 || || '''무효표 수''' || 471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br]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영일|{{{#373a3c,#dddddd 이영일}}}]](李榮一) || 12,683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15.10% || 낙선 || ||<|2> {{{#ffffff {{{+5 '''2'''}}}}}} || '''[[정상용|{{{#373a3c,#dddddd 정상용}}}]](鄭祥容)''' || '''66,982''' || '''1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79.74%''' || '''당선''' || ||<|2> {{{#ffffff {{{+5 '''3'''}}}}}} || [[최운용|{{{#373a3c,#dddddd 최운용}}}]](崔雲龍) || 2,389 || 3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84% || 낙선 || ||<|2> {{{#ffffff {{{+5 '''4'''}}}}}} || [[정봉희|{{{#373a3c,#dddddd 정봉희}}}]](鄭奉熙) || 1,936 || 4위 || || [include(틀:민중당(1990년))] || 2.3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1,575 ||<|3> '''투표율'''[br]69.63% || || '''투표 수''' || 84,660 || || '''무효표 수''' || 670 || === 서구 (15대~16대)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br]{{{#ffffff 광주 서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환의|{{{#373a3c,#dddddd 이환의}}}]](李桓儀) || 11,428 || 2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11.76% || 낙선 || ||<|2> {{{#ffffff {{{+5 '''2'''}}}}}} || '''[[정동채|{{{#373a3c,#dddddd 정동채}}}]](鄭東采)''' || '''83,191''' || '''1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85.64%''' || '''당선''' || ||<|2> {{{#ffffff {{{+5 '''3'''}}}}}} || [[최운용|{{{#373a3c,#dddddd 최운용}}}]](崔雲龍) || 2,051 || 4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2.11% || 낙선 || ||<|2> {{{#ffffff {{{+5 '''4'''}}}}}} || [[강성상|{{{#373a3c,#dddddd 강성상}}}]](姜聲相) || 466 || 5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0.4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8,653 ||<|3> '''투표율'''[br]66.09% || || '''투표 수''' || 98,250 || || '''무효표 수''' || 1,114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br]{{{#ffffff 광주 서구 일원}}}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심안섭|{{{#373a3c,#dddddd 심안섭}}}]](沈安燮) || 8,046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8.78% || 낙선 || ||<|2> {{{#ffffff {{{+5 '''2'''}}}}}} || '''[[정동채|{{{#373a3c,#dddddd 정동채}}}]](鄭東采)''' || '''83,594'''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91.21%''' ||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181,479 ||<|3> '''투표율'''[br]51.25% || || '''투표 수''' || 93,015 || || '''무효표 수''' || 1,375 || === 서구 갑 (17대~현재)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000000 {{{+1 '''서구 갑'''}}}}}}[br]{{{#000000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br]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장홍호|{{{#373a3c,#dddddd 장홍호}}}]](張洪鎬) || 21,789 || 2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34.17% || 낙선 || ||<|2> {{{#000000 {{{+5 '''3'''}}}}}} || '''[[염동연|{{{#373a3c,#dddddd 염동연}}}]](廉東淵)''' || '''33,519''' || '''1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52.56%''' || '''당선''' || ||<|2> {{{#ffffff {{{+5 '''4'''}}}}}} || [[이광웅|{{{#373a3c,#dddddd 이광웅}}}]](李光雄) || 384 || 5위 || || [include(틀:민주국민당(2000년))] || 0.60% || 낙선 || ||<|2> {{{#ffffff {{{+5 '''5'''}}}}}} || [[이정일(1946)|{{{#373a3c,#dddddd 이정일}}}]](李廷一) || 5,36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8.41% || 낙선 || ||<|2> {{{#ffffff {{{+5 '''6'''}}}}}} || [[임종희|{{{#373a3c,#dddddd 임종희}}}]](林鍾喜) || 2,720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2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6,605 ||<|3> '''투표율'''[br]60.45% || || '''투표 수''' || 64,444 || || '''무효표 수''' || 671 ||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서구 갑'''}}}}}}[br]{{{#ffffff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br]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조영택|{{{#373a3c,#dddddd 조영택}}}]](趙泳澤)''' || '''33,678''' || '''1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79.15%''' || '''당선''' || ||<|2> {{{#ffffff {{{+5 '''2'''}}}}}} || [[정용화(정치인)|{{{#373a3c,#dddddd 정용화}}}]](鄭容和) || 4,74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 || 11.14% || 낙선 || ||<|2> {{{#ffffff {{{+5 '''6'''}}}}}} || [[김남희|{{{#373a3c,#dddddd 김남희}}}]](金南希) || 2,182 || 3위 || || [include(틀:진보신당)] || 5.13% || 낙선 || ||<|2> {{{#ffffff {{{+5 '''7'''}}}}}} || [[문상필|{{{#373a3c,#dddddd 문상필}}}]](文相弼) || 688 || 4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1.62% || 낙선 || ||<|2> {{{#ffffff {{{+5 '''8'''}}}}}} || [[강주일|{{{#373a3c,#dddddd 강주일}}}]](姜周日) || 588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38% || 낙선 || ||<|2> {{{#ffffff {{{+5 '''9'''}}}}}} || [[국충현|{{{#373a3c,#dddddd 국충현}}}]](鞠忠鉉) || 67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5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05,322 ||<|3> '''투표율'''[br]40.70% || || '''투표 수''' || 42,870 || || '''무효표 수''' || 319 ||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3ab34a {{{+1 '''서구 갑'''}}}}}}[br]{{{#3ab34a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br]치평동,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동천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성용재|{{{#373a3c,#dddddd 성용재}}}]](成容材) || 1,592 || 5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61% || 낙선 || ||<|2> {{{#3ab34a {{{+5 '''2'''}}}}}} || '''[[박혜자|{{{#373a3c,#dddddd 박혜자}}}]](朴惠子)''' || '''25,598''' || '''1위''' || || [include(틀:민주통합당)] || '''42.11%''' || '''당선''' || ||<|2> {{{#ffffff {{{+5 '''--4--'''}}}}}} || --[[정호|{{{#373a3c,#dddddd 정호}}}]](鄭鎬)-- ||<-2><|2> 사퇴 ||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 {{{#ffffff {{{+5 '''6'''}}}}}} || [[송갑석|{{{#373a3c,#dddddd 송갑석}}}]](宋甲錫) || 10,177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16.74% || 낙선 || ||<|2> {{{#ffffff {{{+5 '''7'''}}}}}} || [[조영택|{{{#373a3c,#dddddd 조영택}}}]](趙泳澤) || 11,281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8.55% || 낙선 || ||<|2> {{{#ffffff {{{+5 '''8'''}}}}}} || [[정용화(정치인)|{{{#373a3c,#dddddd 정용화}}}]](鄭容和) || 12,13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19.96%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7,703 ||<|3> '''투표율'''[br]53.87% || || '''투표 수''' || 63,402 || || '''무효표 수''' || 2,620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서구 갑(광주)|{{{#ffffff {{{+1 '''서구 갑'''}}}}}}]][br]{{{#ffffff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 [br]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양병현|{{{#373a3c,#dddddd 양병현}}}]](梁秉鉉) || 1,882 || 4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8.22% || 낙선 || ||<|2> {{{#ffffff {{{+5 '''2'''}}}}}} || [[송갑석|{{{#373a3c,#dddddd 송갑석}}}]](宋甲錫) || 25,474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5.33% || 낙선 || ||<|2> {{{#ffffff {{{+5 '''3'''}}}}}} || '''[[송기석|{{{#373a3c,#dddddd 송기석}}}]](宋基錫)''' || '''40,550''' || '''1위''' ||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56.23%''' || '''당선''' || ||<|2> {{{#000000 {{{+5 '''4'''}}}}}} || [[장화동|{{{#373a3c,#dddddd 장화동}}}]](張和東) || 1,614 || 5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2.23% || 낙선 || ||<|2> {{{#ffffff {{{+5 '''5'''}}}}}} || [[이은주|{{{#373a3c,#dddddd 이은주}}}]](李銀珠) || 2,584 || 3위 || || [include(틀:민중연합당)] || 3.5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18,421 ||<|3> '''투표율'''[br]63.89% || || '''투표 수''' || 72,654 || || '''무효표 수''' || 550 || ==== [[2018년 재보궐선거]] ==== ||<-4> [[서구 갑(광주)|{{{#ffffff {{{+1 '''서구 갑'''}}}}}}]][br]{{{#ffffff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br]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송갑석|{{{#373a3c,#dddddd 송갑석}}}]](宋甲錫)''' || '''60,279'''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83.46%''' || '''당선''' || ||<|2> {{{#FFFFFF {{{+5 '''4'''}}}}}} || [[김명진(정치인)|{{{#373a3c,#dddddd 김명진}}}]](金明鎭) || 11,917 || 2위 || || [include(틀:민주평화당)] || 16.53%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5,970 ||<|3> '''투표율'''[br]59.06% || || '''투표 수''' || 74,404 || || '''무효표 수''' || 2,179 || ---- 송기석 전 의원이 당선 무효형을 받아서 치러진 선거이다. 많은 사람들이 잊어버린 사실인데 지난 [[2016년]] [[4월 13일]]에 치른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더불어민주당]]은 [[광주광역시]]에서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에 '''0 : 8'''로 대패하며 광주광역시에 단 1석의 의석도 배출하지 못했다. 광역자치단체 기준으로 더불어민주당이 단 1개의 의석도 배출하지 못한 곳은 본래부터 더불어민주당에 사지였던 [[경상북도]], [[울산광역시]]와 더불어 [[광주광역시]]도 있었다. 그러나 [[국민의당(2016년)|국민의당]]이 [[제19대 대통령 선거]] 이후 호남계와 친안철수계 사이의 내분으로 [[민주평화당]]과 [[바른미래당]]으로 찢어지고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정부]]가 국무총리에 [[영광군]] 출신 [[이낙연]]을, 법무부장관에 [[무안군]] 출신 [[박상기]]를, 검찰총장에 [[광주광역시]] 출신 [[문무일]]을 앉히는 등 주요 요직에 호남 출신들을 등용하면서 호남 껴안기에 나서자 호남의 민심은 급속도로 더불어민주당에 기울었다. 결국 이 같은 플러스 요소 덕분에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후보는 민주평화당 김명진 후보와의 1 : 1 매치에서 83.46% : 16.53%로 무려 '''5배'''가 넘는 격차로 크게 따돌리며 승리를 거두었다. 두 후보 간 표차는 대략 '''5만 표'''에 달했다. 송갑석 후보가 광주광역시 서구 갑에서 승리를 거두며 드디어 더불어민주당은 광주광역시에도 의석을 배출하는데 성공했다. 현재 광주광역시의 지역구 국회의원 판세는 [[민주평화당]] 4석[* [[동구·남구 갑]], [[서구 을(광주)|서구 을]], [[북구 갑(광주)|북구 갑]], [[북구 을(광주)|북구 을]]이다.], [[바른미래당]] 3석[* [[동구·남구 을]], [[광산구 갑]], [[광산구 을]]이다.], [[더불어민주당]] 1석이 되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서구 갑(광주)|{{{#ffffff {{{+1 '''서구 갑'''}}}}}}]][br]{{{#ffffff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br]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송갑석|{{{#373a3c,#dddddd 송갑석}}}]](宋甲錫)''' || '''69,285'''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82.18%''' || '''당선''' || ||<|2> {{{#ffffff {{{+5 '''2'''}}}}}} || [[주동식(정치인)|{{{#373a3c,#dddddd 주동식}}}]](朱東植) || 3,543 || 3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20% || 낙선 || ||<|2> {{{#ffffff {{{+5 '''3'''}}}}}} || [[김명진(정치인)|{{{#373a3c,#dddddd 김명진}}}]](金明鎭) || 8,474 || 2위 || || [include(틀:민생당)] || 10.05% || 낙선 || ||<|2> {{{#ffffff {{{+5 '''7'''}}}}}} || [[김주업|{{{#373a3c,#dddddd 김주업}}}]](金柱業) || 2,508 || 4위 || || [include(틀:민중당)] || 2.97% || 낙선 || ||<|2> {{{#ffffff {{{+5 '''8'''}}}}}} || [[김성호|{{{#373a3c,#dddddd 김성호}}}]](金成浩) || 498 || 5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5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1,513 ||<|3> '''투표율'''[br]64.86% || || '''투표 수''' || 85,304 || || '''무효표 수''' || 996 || ---- {{{#!folding [광주광역시 서구 갑 동별 개표 결과 보기] ||<-8>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서구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서구 갑)'''}}}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민생당)]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송갑석|{{{#FFFFFF '''송갑석'''}}}]] || [[김명진(정치인)|{{{#FFFFFF '''김명진'''}}}]]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69,285 [br] (82.18%)'''}}} || '''8,474 [br] (10.05%)''' || '''+ 60,811 [br] (△72.12)''' || '''85,304 [br] (64.86%)''' || || '''양동''' || {{{#004EA2 84.97%}}} || 8.24% || △76.72 || 63.18% || || '''양3동''' || {{{#004EA2 '''86.63%'''}}} || {{{#696969 8.18%}}} || '''△78.44''' || 64.71% || || '''농성1동''' || {{{#004EA2 84.05%}}} || 10.14% || △73.91 || {{{#696969 57.06%}}} || || '''농성2동''' || {{{#004EA2 82.27%}}} || 10.64% || △71.63 || 57.96% || || '''광천동''' || {{{#004EA2 82.93%}}} || 8.96% || △73.96 || 60.21% || || '''유덕동''' || {{{#004EA2 82.82%}}} || 10.02% || △72.80 || 64.70% || || '''치평동''' || {{{#4169E1 80.06%}}} || '''11.65%''' || {{{#696969 △68.40}}} || 62.38% || || '''상무1동''' || {{{#004EA2 81.88%}}} || 10.02% || △71.87 || 57.42% || || '''화정1동''' || {{{#004EA2 81.68%}}} || 9.89% || △71.79 || 57.72% || || '''화정2동''' || {{{#004EA2 83.07%}}} || 10.27% || △72.80 || 66.81% || || '''동천동''' || {{{#004EA2 82.30%}}} || 9.80% || △72.50 || '''67.20%''' || || '''후보''' || [[송갑석|{{{#004EA2 '''송갑석'''}}}]] || [[김명진(정치인)|{{{#0BA95F '''김명진'''}}}]]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70.50%}}} || 17.51% || △53.00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81.86%}}} || 8.90% || △72.95 || || || '''재외투표''' || {{{#004EA2 85.96%}}} || 5.26% || △77.19[*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주동식(정치인)|주동식]] 후보(5표, 8.77%)였다.] || ||}}} ---- {{{#!folding [광주광역시 서구 갑 아파트별 개표 결과 보기] ||<-4> {{{#ffffff '''광주광역시 서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민생당)] || '''격차''' || || '''후보''' || [[송갑석|{{{#ffffff '''송갑석'''}}}]] || [[김명진(정치인)|{{{#ffffff '''김명진'''}}}]] || '''(1위/2위)''' || || '''[[동천마을1단지아파트]]''' || {{{#004ea2 '''83.18%'''}}} || 7.81% || ▲75.37 || || '''금호타운 4차''' || {{{#004ea2 82.87%}}} || 9.43% || ▲73.44 || || '''내방마을 주공''' || {{{#004ea2 82.78%}}} || 9.25% || ▲73.53 || ||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3단지''' || {{{#004ea2 80.96%}}} || '''10.86%''' || ▲70.10 || || '''현대''' || {{{#004ea2 79.66%}}} || 10.42% || ▲69.24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송갑석]] 의원을 단수 공천으로 확정하면서, 재선에 도전하였다. 민생당에서는 [[김명진(정치인)|김명진]]이 다시 출마했다. [[송기석]] 전 의원은 본인의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상실한 것이 아니므로 이 국회의원 선거에 다시 출마할 수도 있었으나, 정계를 사실상 은퇴하고 변호사 일에 전념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사실상 재보궐선거 리턴 매치라고 봐도 무방하다. 한편 이 지역에 지지 기반이 전무한 [[미래통합당]]에서는 한때 [[김무성]] 전 의원 차출설이 돌기도 했으나 [[주동식(정치인)|주동식]] 지역평등연대 대표를 출마시키는 것으로 일단락되었다. 예상대로,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후보가 당선되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서구 갑(광주)|{{{#ffffff {{{+1 '''서구 갑'''}}}}}}]][br]{{{#ffffff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농성1동, 농성2동,[br]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folding [광주광역시 서구 갑 동별 개표 결과 보기] ||<-5> {{{#ffffff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광주광역시 서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br](득표율)''' || || || || || || '''양동''' || || || || || || '''양3동''' || || || || || || '''농성1동''' || || || || || || '''농성2동''' || || || || || || '''광천동''' || || || || || || '''유덕동''' || || || || || || '''치평동''' || || || || || || '''상무1동''' || || || || || || '''화정1동''' || || || || || || '''화정2동''' || || || || || || '''동천동''' || || || || || || '''후보''' || ||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 || || || || '''관외사전투표''' || || || || || || '''재외투표''' || || || || ||}}} ---- {{{#!folding [광주광역시 서구 갑 아파트별 개표 결과 보기] ||<-4> {{{#ffffff '''광주광역시 서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국민의힘)] || '''격차''' || || '''후보''' || || || '''(1위/2위)''' || || '''내방마을주공아파트''' || || || || || '''화정현대아파트''' || || || || || '''화정2동금호타운아파트''' || || || || || '''[[유니버시아드 힐스테이트]] 3단지''' || || || || || '''[[동천마을1단지아파트]]''' || || || || || '''[[동천마을6단지아파트]]''' || || || || || '''[[동천 우미린]]''' || || || || || '''[[동천 호반베르디움]]''' || || || || || '''[[동천 센트럴파크]]''' || || || || || '''[[동천 리버팰리스]]''' || || || ||}}} ----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인 [[송갑석]] 의원의 3선 출마 가능성이 큰 가운데 김대중 정부 청와대 행정관을 지낸 [[김명진(정치인)|김명진]] 더연정치랩 대표, 이 지역에서 19대 의원을 지낸 [[박혜자]] 전 의원, [[친이재명|친명계]] 원외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사무총장 [[강위원]] 등이 도전장을 낸다. [[김명진(정치인)|김명진]] 전 행정관은 부지런히 밑바닥 민심을 훑고 있다. 김명진 전 행정관은 김대중 대통령 비서실 행정관과 더불어민주당 박지원 전 원내대표 비서실장 등을 역임했다. 청와대와 대통령직 인수위, 여야 정당, 국회, 공기업 등 국정 전반을 두루 섭렵하고 당대표, 원내대표, 비서실장과 특보 등을 6차례 경험하면서 '국회 전문가'로 평가받는다. 2018년 서구 갑 재보궐선거,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서구 갑으로 출마해 고배를 마셨으나 지역을 떠나지 않고 민생 현장에서 주민들과 함께 호흡해 오고 있다. 매주 한 차례 이상 양동시장과 상무금요시장을 방문하면서 시장 점포, 상가 사장 이름과 인적사항까지 파악할 정도로 바닥 민심에 강점을 보인다. 최근에는 정치평론가로 방송 활동을 하면서 꾸준히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국민의힘]]은 윤종록 반부패 국민운동 광주시사무처장이 당협위원장으로 출마를 저울질하고 있다. [[정의당]]은 박형민 정의당 서구 갑 지역위원장, 진보당은 강승철 전 민주노총 사무총장이 일찌감치 출마를 결정했다. 한편, 서구 갑은 상무1동, 화정1·2동, 농성1·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동천동, 양동, 양3동을 지역구로 두고 있으며, 유권자 수는 15만 5299명인데, 선거구 조정 과정에서 인접한 서구 을과 일부 동을 조정할 가능성이 있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광주광역시의 정치]][[분류:서구(광주광역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