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프랑스 관련 문서)] [목차] [clearfix] == 개요 == Chanson [[프랑스]] 대중음악의 큰 축을 이루는 [[노래]] 장르. 사전적인 의미로는 [[남유럽|이웃나라들]]인 [[스페인]]의 칸시온이나 [[이탈리아]]의 칸초네와 동일하게 노래 전반을 일컫는데,[* 물론 샹송, 칸초네, 칸시온 모두 같은 어원에서 나왔다. 심지어 유아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어 교재에 나오는 짧은 노래인 챈트(chant)도 이들과 어원이 같다.] 대중음악의 의미로 쓰이는 샹송은 프랑스어로 된 특징적인 [[가요]] 장르를 뜻한다. 이 경우 정확하게 적자면 '''샹송 프랑세즈(Chanson française)'''. 프랑스의/프랑스어 노래라는 뜻이다. == 역사 == [YouTube(yHmY7IRnDx8)] || ◇ [[프랑수아즈 아르디|Françoise Hardy]] - Le temps de l'amour ([[1962년]]) || 거슬러 올라가 보면 [[중세]] 시대까지 소급할 수 있는데, 원래는 [[가톨릭]] [[사제(성직자)|사제]]들이 선교 용으로 이야기 투의 대목을 덧붙여 만든 일종의 [[성가]]였다고 한다. 하지만 이것이 10세기 후반부터 13세기까지 [[프랑스]] 북부의 트루베르(Trouvère)나 남부의 트루바두르(Troubadour) 같은 [[귀족]] 신분의 [[음유시인]]들에 의해 세속 가요로 응용되었다. 이들은 신분이 신분인 탓에 주로 기사도나 [[십자군 전쟁]], 역사적 [[영웅]]의 무용담 등을 서사시 풍으로 읊조리듯 불렀고, 유명한 서사시인 [[롤랑의 노래]]도 원래는 이렇게 음유시인이 노래하듯 읊었다고 추정된다. 하지만 이들의 노랫가락은 전해지는 것이 매우 드물고, 주로 가사만이 남아 있다. 이 초기 샹송들은 음유시인을 거치면서 가사에서 종교색이 많이 빠졌다고는 해도, 기본적인 노래의 골격은 구어체로 이야기하듯 부르는 쿠플레(couplet)와 좀 더 선율적인 후렴구인 르프랭(refrain) 두 부분으로 크게 나뉘는 점에서 비슷했다. 그리고 이 두 형식의 병치는 이후 등장하는 샹송 대부분에도 적용되고 있다. 샹송이라는 단어 자체도 이 시기에 나온 것으로 추정되며, 15세기에는 프랑스의 시골 마을에 샹송 학교가 설립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르네상스]] 시기에 교회의 역할이 많이 약화되면서 샹송은 성직자나 귀족 등 [[높으신 분들]]의 주된 전유물에서 벗어나 일종의 [[민중가요]]로 애창되기 시작했고, 특히 거리에서 노래하는 가수인 미니스트렐(Ministrel)은 마치 [[조선]]의 [[광대]]들처럼 사람들을 즐겁게 해주는 노래 외에도 높으신 분들의 치부를 신랄하게 풍자하는 노래도 불렀다. 이후 이들을 칭하는 다른 단어인 샹소니에(Chansonnier)가 샹송에서 파생되어 나왔고, 이것이 샹송 가수 전반을 가리키는 [[명사(품사)|명사]]로 굳어졌다. 이후 [[프랑스 혁명]]을 거쳐 민중의 권리가 한층 강해지자 19세기 후반 무렵부터 샹송을 전문적으로 부르는 예인이나 그들이 공연하는 카바레 등이 생기게 되었는데, 특히 1881년에 [[파리(프랑스)|파리]]의 몽마르트르에 문을 연 '검은 고양이(Chat noir)' 라는 이름의 카바레는 근대 샹송의 아버지로 손꼽히는 아리스티드 브뤼앙 같은 명인들을 배출하며 유명해졌다. 카바레 외에도 요식업과 공연을 겸하는 형태의 공연장인 카페 콩세르(Café concert)가 등장했고, 이어 [[영국]]에서 유입된 대규모 대중 무대 작품을 공연하는 뮤직홀이 파리를 중심으로 설립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해서 샹송은 [[프랑스]] 음악계에서 무시 못할 대중음악으로 한 자리를 차지하게 되었고, [[음반]]과 [[라디오]]의 등장으로 프랑스 바깥에서도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했다. [[제2차 세계대전|2차대전]] 후에는 [[미국]] 등에서 유입된 [[대중음악|팝]]이나 [[록 음악]]의 영향을 받기도 했고, 한층 강화된 사회 비판적인 내용의 노래로 정계에도 진출한 샹송 가수도 나왔다. 한편 현대의 샹송은 자신의 고유의 색을 많이 잃은 기세라는 평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20세기 후반 무렵에도 자크 브렐, 바바라, 샤를 트레네, 샤를 아즈나부르 등의 가수들이 이 계열의 음악을 이어갔으며, 그들의 노래가 프랑스의 다른 대중음악과 차별화되는 것은 [[프랑스어|불어]] 고유의 음률을 살렸기 때문이다. 참고로 [[샤를 아즈나부르]] 같은 가수는 세계적인 인지도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선 정말 아는 사람이 적다. 샹송을 하는 대학밴드가 몇 있다. (전통의 성균관대에 있다는게 함정) 그럼에도 00년대까지는 예전 만큼은 아니나 나름대로 역사를 이어가기는 했기는 했으나, 그러나 2010년대에 와서는 [[유튜브]]의 대중화로 인한 영미권 가수들의 독보적인 득세로 인해 입지가 과거에 비해 많이 위축되었다. 현대 프랑스의 국내음악은 샹송이 아니라 프랑스령이던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건너온 흑인 이민자 출신들의 흑인 음악들이 주류이며, 젊은 백인들도 영미권의 영향을 받은 전자음악에 열광하는 추세라 샹송은 한국의 [[트로트]]처럼 한물 간 음악으로 인식되고 있다.[* 실제로 프랑스 젊은 세대는 샹송을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최근에는 중동에서 온 이민자들의 영향을 받은, 중동풍의 샹송도 많이 만들어지고 있다. === [[누벨 샹송 프랑세즈]] === [[누벨 샹송 프랑세즈]](Nouvelle chanson française)는 인디 음악 씬에서 1990년대부터 시작된 새로운 형태의 샹송 장르로, 인디 계열에서 현재까지 여전히 인기를 얻고 있다. [[알랭 바슝]], [[크리스토프(가수)|크리스토프]], [[다미앵 세즈]], [[도미니크 A]] 등의 뮤지션이 이 장르의 대표적인 아티스트이며, 자세한 내용은 [[누벨 샹송 프랑세즈]] 문서 참조. == 특징 == 위에 쓴 것처럼, 샹송은 선율이 중심이 되는 이탈리아의 칸초네나 정열적인 리듬으로 청중을 사로잡는 칸시온 류의 노래와 달리 가사를 굉장히 중시한다. 심지어 가락이 좋아도 가사가 영 아니라면 [[디스]] 당하는게 예사고, 이 때문에 많은 샹송 가수들은 발성 만큼이나 명확한 발음 연습에 많은 시간을 쏟는다. 발성은 가수마다 매우 다양하여 일반화하기가 어렵지만, 공통점으로는 [[비음]]의 비중이 크고 r을 [[전동음]]으로 발음하는[* 일부 방언을 제외한 17세기 이후 표준 프랑스어에서 r발음은 [[구개수음]]에 해당하나, [[에디트 피아프]]나 [[미레유 마티외]] 등 많은 샹송 가수들이 외래어 표기법 표기의 ㄹ 과 비슷한 치경 전동음으로 발음하였다. 오래된 프랑스어 노래 녹음본에는 r발음을 전동음으로 내는 녹음본들이 꽤 존재한다.] 경우가 많다는 점 등이 있다. 또 어느 가수가 어떤 곡을 처음 부르는 것을 창조라는 뜻의 크레아시옹(Création)이라고까지 일컬을 정도로 초연에 엄청난 의미를 두는데, 20세기 중반 까지도 어느 가수가 크레아시옹했다는 곡을 다른 가수들이 불렀다가는 더럽게 욕먹을 정도였다. 다만 이것도 이후 퇴색되기 시작해 한국의 리메이크 열풍 까지는 아니더라도 고전 샹송을 현대 가수들이 나름대로 재해석해 새롭게 부르는 경우도 많아졌다. 이외에 특정 샹송이 [[영어]] 등 다른 나라의 언어로 번안되어 세계적으로 유명해지는 경우도 있는데, [[자크 프레베르]] 작사/조제프 코스마 작곡의 '고엽(Les Feuilles mortes)' 은 [[이브 몽땅]]이 크레아시옹한 샹송이지만 미국 작사가인 조니 머서가 Autumn Leaves로 번안해 엄청나게 유명해졌다. 특히 재즈로 많이 편곡되며 오케스트라, 밴드나 단순 트리오 혹은 솔로로도 연주된다. [[프랭크 시나트라]]의 노래로 유명한 My Way도 원래는 작곡가 겸 샹송 가수인 클로드 프랑수아의 '여느 때처럼(Comme d'habitude)' 이었던 것이 영어로 번안되면서 세계적으로 애창되는 예에 속한다. == 용어 == * '''샹송 드 샤름''' (Chanson de charme) 직역하면 매력의 샹송이라는 뜻인데, 주로 남녀 간의 달달한 사랑을 노래하는 샹송의 경우에 쓴다. 한국의 발라드 가수와 의미가 비슷하다. 부아이에와 티노 로시 등이 대표적인 가수들이다. * '''샹송 레알리스트''' (Chanson réaliste) 현실적 샹송이라는 뜻으로, 주로 밑바닥 인생들의 애환이나 [[현시창]] 등을 날카롭게 풍자하거나 고발하는 내용의 샹송을 칭한다. 아리스티드 브뤼앙이나 다미아, [[에디트 피아프]]가 이 계열의 [[본좌]]로 손꼽힌다. * '''샹송 팡테지스트''' (Chanson fantaisiste) 환상적 샹송이라는 뜻으로, 비현실적인 일이나 몽상을 가사에 담아 노래하는 샹송을 뜻한다. 특히 노래 뿐 아니라 연기도 잘하는 가수들이 많이 부르며, [[모리스 슈발리에]]와 샤를 트레네, [[자크 브렐]] 등이 유명하다. * '''샹송 리테레르''' (Chanson littéraire) 문학적 샹송. 장르 명칭 그대로 유명한 문인들이나 그에 준하는 문학성의 가사를 가진 샹송을 뜻한다. 조르주 브라상이 이 분야에서 유명하다. '고엽' 같은 노래도 이 부류에 속하며, 몇몇 노래들은 [[클래식(음악)|클래식]] [[가곡]] 급의 대우를 받기도 한다. * '''샹퇴르''' (Chanteur), 샹퇴즈 (Chanteuse) 각각 남성과 여성 샹송 가수를 칭하는 용어다. 장르별 가수 분류에는 샹송 단어를 빼고 그 자리에 샹퇴르나 샹퇴즈를 붙여 샹퇴르 드 샤름이나 샹퇴즈 레알리스트 등으로 칭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가수들마다 어느 성향의 노래만 줄창 부르는 것은 아니므로 다소 조심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예예''' (Yé-yé) 1950년대 후반~60년대 중후반에 걸쳐 미국식 로큰롤과 팝 등의 영향을 받은 샹송 장르이다. 단어 자체도 영어의 '''Yeah!'''를 외치는걸 흉내낸 느낌. 밑에 소개된 [[프랑수아즈 아르디]], 프랑스 갈, 실비 바르탕, 클로드 프랑수아가 주로 이런 스타일의 노래를 불렀다. 참고로 이 장르는 초기 [[일본 아이돌|일본 여성 아이돌]] 장르가 형성되는 데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쳤다. == 유명 샹송 == * [[모나코(동음이의어)|28도 그늘 아래(28° à l'ombre)]] - 장 프랑수아 모리스[* 한국에서는 모나코라는 이름으로 더 유명하다.] * [[https://youtu.be/p5ulPOVX0LY|4월, 파리에서(En avril, à Paris)]]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https://youtu.be/PB_Q7jvFmeE|가지 마세요 (T'en Va Pas)]] - [[엘자|Elsa(엘자)]] * [[https://youtu.be/y5Hb5I67Qpc|고릴라 (Le gorille)]] - 조르주 브라상(Georges Brassens) * [[https://youtu.be/Xo1C6E7jbPw|고엽 (Les Feuilles mortes)]][* Autumn Leaves란 이름으로 재즈화된 이후 많은 인기를 얻었다. 또, 2022년 그룹 [[포레스텔라]]의 [[고우림]]이 커버하여 소소한 화제가 되었다.] - [[이브 몽땅]](Yves Montand) * 그냥 좋은 사람 (Juste quelqu'un de bien) - 엔조 엔조(Enzo Enzo) * 그렇게 쓰여졌기 때문이죠(Parce que c'était écrit comme ça) - 마누엘라 * [[https://youtu.be/aRSoz9M-rt4|그리고 당신이 없다면 (Et si tu n'existais pas)]] - 조 다상(Joe Dassin) * 그의 커다란 초록눈 속엔(Dans ses grands yeux verts) - 엘렌 롤 * 기차는 떠나가고 (Ce Train Qui s' en va) - 엘렌 롤(Hélène Rollès) * 길 모퉁이 (Coin de rue)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https://www.youtube.com/watch?v=PLQTTWpr-4E|꽃들의 시절(Le temps des fleurs)]] - 달리다(Dalida) * 나는 몰라요(Je Ne Sais Pas) - [[조이스 조나탕]] * 나를 보지도 않고 지나쳐 가는 당신[* 한국에서는 떠나가는 그대로 번안되었다.] (Vous qui passes sans me voir)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https://youtu.be/6OlbTgj5qVo|나의 고독 (Ma Solitude)]] - 조르주 무스타키(Georges Moustaki) * 나의 선물(Mon Cadeau) - [[엘자|Elsa(엘자)]][* 우리나라에서는 현대 무선 전화기 광고 음악으로 쓰였다.] * [[https://youtu.be/Vz6r0TP4FBI|날 떠나지 마 (Ne me quitte pas)]] - 자크 브렐(Jacques Brel) * 남과 여 (Un homme et une femme) - 피에르 바루 * [[https://youtu.be/IIZRDnpnfvk|내 어린시절의 프랑스 (La France de mon enfance)]] - 앙리코 마샤스(Enrico Macias)[*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계 프랑스인 가수. 정확히는 알제리계 유대인. 세파르팀 유대인답게 샹송이면서 북아프리카적 요소도 있다] * 내 이름은 엘렌(Je m'appelle Hélène) - 엘렌 롤 * 너에게(À toi) - 조 다상(Joe Dassin) * [[https://youtu.be/vnAnGqwskqU|노래하는 밀랍인형 (꿈꾸는 샹송인형) (Poupée de cire, poupée de son)]] - 프랑스 갈 (France Gall) [* 세르쥬 갱스부르 작사/작곡. 실비 바르탕과 함께 (일본을 거쳐) 현대 아이돌 뮤직의 모델이 된 가수. 둘 다 갱스부르가 프로듀스 했다] * [[https://youtu.be/NHZle7smTeM|녹슨 총(Le Fusil Rouille)]] - 앙리코 마샤스(Enrico Macias) * [[누가 할머니를 죽였는가]](Qui a tué grand-maman?)[* [[5.18 민주화운동]] 때 불렸던 [[오월의 노래]]의 바탕이 된 곡이기도 하다.] - [[미셸 폴나레프]] * 눈을 뜨고(Les yeux ouverts) - 엔조 엔조(Enzo Enzo) * [[https://youtu.be/kLlCUjKlBGI|눈이 내리네 (Tombe la neige)]] - 살바토레 아다모(Salvatore Adamo)[* 벨기에 출신 샹송가수. 1967년 발표된 곡으로 엄청난 고전 샹송] * 당신말을 잊으셨어요(Vous oubliez votre cheval)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달콤한 속삭임(Paroles Paroles)[* Paroles는 그냥 말〔言〕이라는 의미밖에 없다. 적절히 [[의역]]한 것.] - [[알랭 들롱]] & 달리다[* 본래는 샹송이 아닌 이탈리아 칸초네로, 이탈리아 유명 여자가수인 미나 마치니와 알베르토 루포가 부른 것이 원곡이다. 그리고 이 노래를 샹송으로 번안한 달리다 역시 이탈리아계. [[무릎팍도사]]에서 예지원이 불러서 유명해졌다.] * [[도미니크#s-2|도미니크]] (Dominique) - 노래하는 수녀(Soeur Sourire) * 독일에서(D'Allemagne) - [[파트리샤 카스]] * [[https://youtu.be/ZvOUad75V8s|라 보엠 (La Bohème)]] - 샤를 아즈나브르(Charles Aznavour) * [[https://youtu.be/eqM0UbI4uVY|마리짜 강변의 추억 (La Maritza)]] - 실비 바르탕(Sylvie Vartan)[* 나~ 나~ 나~ 난나나난나 나나나~] * [[https://youtu.be/9Pxt_R7jLKA|막대사탕 (Les Sucettes)]] - 프랑스 갈 (France Gall) * 메닐몽떵(Menilmontant)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바다 (La Mer)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별에 더 가까이(Plus près des étoiles) - 골드(Gold) * 붐!(Boum!)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비상 (Je vole) - 루안[* 프랑스 영화 '미라클 벨리에' OST 수록곡이다.] * 비행사(Aviateur) - 베로니크 자노 * [[https://youtu.be/Zwui7UTlmpY|사랑은 이유가 없어요(L'amour c'est pour rien)]] - 앙리코 마샤스(Enrico Macias) * 사랑은 푸른 빛(L'amour est bleu) - 비키[*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 1967 결승전 참가곡으로 당시 4위를 차지했다. 우승곡이 아님에도 상당한 흥행을 가져온 곡으로 폴 모리아의 연주곡으로도 유명하다. ] * [[https://youtu.be/QYgVDXUIAuo|사랑의 찬가 (Hymne à l'amour)]] -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파트리샤 카스]] 버전을 비롯해 수많은 가수가 리메이크.] * 사랑해, 아니 난..(Je t'aime...Moi non plus) - [[세르쥬 갱스부르]]&[[제인 버킨]] [[https://youtu.be/GlpDf6XX_j0|이어폰 주의]][* 60~70년대 프랑스 예술계에 아방가르드의 유행을 이끈 갱스부르의 문제작. 남녀의 사랑과 성적인 요소를 파격적으로 표현한 곡으로 당시 유럽 다수 국가에서도 방송금지를 당한 곡으로 모국 프랑스에서도 톤을 낮춘 버전만 방송이 가능했다] * [[https://youtu.be/CDPqvVOB28U|내 사랑 그대 없이는 (Sans toi mamie)]] - 살바토레 아다모(Salvatore Adamo) * [[샹젤리제]] (Les Champs-Élysées) - 조 다상(Joe Dassin)[* 원곡은 Jason Crest의 "Waterloo Road"로서 샹젤리제보다 2년이나 먼저 나온 곡이다. 다시 말하면 샹젤리제는 번안곡이다.[[http://www.youtube.com/watch?v=1WtDQCHEJ3s| YouTube에서 듣기]]] * 쎄시봉(C'est si bon) - 1947년 발표된 고전중의 고전. 샹송가수 외에 [[딘 마틴]], [[빙 크로스비]] 등 수많은 팝가수들이 리메이크했다. * 셍빠띠끄 (Sympathique) - 핑크 마티니[* 본격 [[아무것도 안하고 싶다]]는 노래.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에 라이센스 수록되어 있다.] * [[https://youtu.be/CYvwLSeHX7k|솔렌짜라 (Solenzara)]] - 앙리코 마샤스(Enrico Macias) * [[쉘부르의 우산]] (Les Parapluies de Cherboug) - 카트린느 드뇌브[* [[쉘부르의 우산]]은 모든 대사가 노래로 이루어진 영화다. 이 목록을 쓸 때는 I will wait for you 로 번안되기도 한 Je ne pourrai jamais vivre sans toi 를 생각하고 쓴 것 아닐까 싶다.] * [[시바의 여왕]] (La Reine De Saba) - 미셸 로랑[* 원곡보다는 실비 바르탕의 버전이 더 잘 알려져 있다.] * 안녕(Salut) - 조 다상 * [[Comment te dire adieu|어떻게 너에게 이별을 말할까(Comment te dire adieu)]] - [[프랑수아즈 아르디]][* 이 곡 역시 번안곡이다. 원곡은 영국 가수가 불렀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를 참조.] * 여느 때처럼 (Comme D'habitude) - 클로드 프랑수아[* 번안곡인 [[프랭크 시나트라]]의 [[My Way]]가 유명하다.] * [[https://youtu.be/40jyPv8Ut_8|오하이오 (Ohio)]] - [[이자벨 아자니|이자벨 아자니(Isabelle Adjani)]][* [[한밤의 TV연예]] 오프닝 시그널 뮤직이기도 하다.] * 우리의 사랑에 무엇이 남았나요? (Que reste-t-il de nos amours?) - 샤를 트르네(Charles Trenet) * [[https://youtu.be/jElpErva5WY|우정 이야기(Un Roman D'Amitie)]] - 엘자(Elsa) & 글렌 메데이로스(Glenn Medeiros)[* 영어 버전도 있으며, 불어 버전은 글렌 메데이로스 파트는 영어, 엘자 파트는 불어이다.] * [[https://youtu.be/9Y6iWZw0fkk|이사벨 (Isabelle)]] - [[샤를 아즈나부르|샤를 아즈나부르(Charles Aznavour)]][* 한국에선 인지도가 적지만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던 대가수] * [[https://youtu.be/767OymYPpF8|이젠 너무 늦었네 (Il Est Trop Tard)]] - 조르주 무스타키(Georges Moustaki) * [[라비앙 로즈|장미빛 인생 (La Vie en rose)]] - [[에디트 피아프|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 [[https://youtu.be/dhRFJq6oRhY|저항할 수 없는 사랑(Irrésistiblement)]] - 실비 바르탕(Sylvie Vartan)[* 왜 그녀가 60년대 당대 프랑스에서 아이돌의 위상을 가졌는지 알 수 있는 분위기의 곡] * [[https://youtu.be/lWs_gSx-taI|지난 날이여 다시 한 번 (Hier Encore)]] - 샤를 아즈나부르(Charles Aznavour) * [[https://youtu.be/407gW_ENCkM|첫번째 키스(Premier Baiser)]] - 에마뉘엘(Emmanuelle) * 체리가 익어갈 무렵 (Le Temps Des Cerises)[* [[붉은 돼지]]에서 지나가 부르는 노래] - 안나 티보 * 파담 파담 (Padam Padam) -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버스커 버스커]]가 일명 빠름송으로 개사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 프티 파파 노엘 (Petit Papa Noël) - 티노 로시 * [[피노키오(다니엘 비달)|피노키오]](Pinocchio) - 다니엘 비달(Daniele Vidal)[* 쁘띠 쁘띠 쁘띠 쁘띠 피노키오~라는 도입부로 유명한 곡이나 요즘 프랑스 젊은 세대들에겐 유명한 노래가 아니다. 일본서 발표된 곡이고 원곡 발표시기가 무려 1970년이기 때문.] * 한 소년의 사랑을 위하여(Pour L'Amour Un Garçon) - 엘렌 롤[* 우리나라에서는 아모레 화장품 광고 음악으로 쓰였다.] * [[https://youtu.be/Q3Kvu6Kgp88|후회하지 않아요 (Non, je ne regrette rien)]] - [[에디트 피아프]](Edith Piaf)[* 영화 [[인셉션]]의 삽입곡, [[기아 스팅어]] CF 음악으로 사용.] [[분류:샹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