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1996년 영화]][[분류:호주의 드라마 영화]][[분류:호주의 전기 영화]][[분류:아카데미 작품상 후보작]][[분류:토론토 국제 영화제 관객상 수상작]] [include(틀: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001)] ||<-2>
{{{#white {{{+2 '''샤인'''}}} (1996)[br]''Shin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hineFilm.jpg|width=100%]]}}} || || {{{#white '''감독'''}}} ||스콧 힉스 || || {{{#white '''각본'''}}} ||얀 사르디 || || {{{#white '''제작'''}}} ||제인 스콧 || || {{{#white '''음악'''}}} ||데이빗 허쉬펠러 || || {{{#white '''장르'''}}} ||[[드라마]] || || {{{#white '''제작사'''}}} ||오스트레일리안 필름 피앙세 코퍼레이션[br]필름 빅토리아[br]모멘텀 필름즈[br]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안 필름 코퍼레이션 || || {{{#white '''배급사'''}}} ||[[파일:호주 국기.svg|width=22]] 로닌 필름즈 || || {{{#white '''개봉일'''}}} ||[[파일:호주 국기.svg|width=22]] [[1996년]] [[8월 15일]][br]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1997년]] [[1월 25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7년]] [[6월 15일]](재개봉)[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20년]] [[2월 27일]](재개봉) [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23년]] [[11월 23일]](4K 리마스터링 재개봉) || || {{{#white '''출연'''}}} ||[[제프리 러쉬]], 노아 테일러, [[아민 뮬러 스탈]] 外 || || {{{#white '''상영 시간'''}}} ||105분 || || '''[[영상물 등급 제도|{{{#white 국내등급 }}}]]'''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width=60]]]] '''[[영상물 등급 제도/대한민국#s-2.1|{{{#000000 15세 이상 관람가}}}]]'''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rUANQoBLUAc)] 실존 인물 '데이비드 헬프곳(David Helfgott)'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1996년 호주 영화. == 줄거리 == [[호주]]의 가난한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난 데이비드는 아버지 피터로부터 엄격한 음악 교육을 받으며 자란다. 피터는 어린 시절 [[바이올리니스트]]가 되고 싶었지만 자기 아버지의 반대로 꿈을 이룰 수 없었으며, 이로 인해 아들에게 자신을 투사해 아들을 음악가로 키우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피터는 아들 데이비드에게 1등이 되는 것만을 강요한다. 마침내 데이비드는 유명한 바이올리니스트 아이작 스턴으로부터 미국 유학 제의를 받지만 정작 피터는 데이비드가 자신의 곁을 떠나는 것을 반대한다. 두 사람은 크게 싸우고, 데이비드는 홀로 영국 왕립음악원에 입학하기 위해 영국으로 떠난다. 그곳에서 팍스 교수의 지도를 받은 데이비드의 실력은 눈에 띄게 발전하고 마침내 콩쿠르에 나가게 되는데, 연주곡은 아버지 피터가 데이비드가 연주할 수 있기를 바랐던 [[라흐마니노프 피아노 협주곡 3번]]. 콩쿠르에서 피아노를 연주하며 데이비드는 피터와의 관계에서부터 비롯되었던 트라우마와 마주하게 되고, 결국 연주를 완전히 마쳤음에도 불구하고 쓰러진다. 이후 [[정신분열증]]을 앓게 된 그는 가족들로부터 외면받고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는데... == 기록 == * '''[[제69회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수상작 /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남우조연상, 편집상, 음악상 후보작''' * '''제18회 런던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수상''' * '''제50회 [[BAFTA|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남우주연상, 음향상 수상''' * '''제54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드라마부문 남우주연상 수상''' * '''제2회 [[크리틱스 초이스 시상식]] 남우주연상 수상''' * '''제22회 LA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수상''' * '''제31회 전미 비평가 협회상 남우주연상 수상''' * '''제3회 [[미국배우조합상]] 영화부문 남우주연상 수상''' == 한국어 더빙 == KBS에서 [[2000년]]에 방영했다. 주인공을 맡은 [[이재용(성우)|이재용]]의 명연기는 두고두고 회자될 정도. * [[이재용(성우)|이재용]] - 데이비드 헬프곳([[제프리 러쉬]]) * [[한호웅]] - 청년 데이비드(노아 테일러[* 찰리와 초콜릿 공장에서 버켓 씨 역을 맡았다.]) * [[유강진]] - 피터 헬프곳([[아민 뮬러 스탈]]) * [[최흘]] - 파크스 교수([[존 길구드]]) * [[김정희(성우)|김정희]] - 길리언(린 레드그레이브) * [[박민아]] - 캐서린(구기 위더스) * [[임수아]] - 버릴(베벌리 던) * [[김혜미]] - 마가렛(레베카 구든) * [[정옥주]] - 수지(대니엘 콕스) * [[윤병화]] - 로젠(니콜라스 벨) * [[이근욱]] - 랍비(비벌리 본) * [[김수중]] - 샘(크리스 헤이우드) * [[장승길]] - 미노구에(존 코신스) * [[정훈석]] - 토니(저스틴 브라인) * [[은영선]] - 소년 데이비드(알렉스 라팔로위즈) == 여담 == || [youtube(x0FRTryJbSc)] || || 실제 데이비드 헬프곳의 연주 || * 영화에서는 데이비드가 정신분열증을 앓는 것으로 그려지지만 실제 당사자의 병은 불안신경증이다. 현재는 영화 후반에서 그려진 대로 부인과 결혼해 살고 있다. 영화로 인해 헬프곳은 연주음반을 냈는데, 실력이 예전같지 않아 국내 개봉 당시 [[조선일보]]에서 혹평을 했다. 조선일보 문화 예술 소개 기사에서 데이비드 헬프곳의 음반을 '''한 장의 똥통 음반'''이라고 비난하며 악평하다가, 애독자 게시판에서 "그래도 똥통이 뭐냐!? 비난도 너무 막한다"며 엄청난 항의글이 나온 바 있다. * 6백만 달러 저예산으로 만들어져 미국에서만 6배에 달하는 3589만 달러를 벌어들이며 흥행 대박을 거뒀다. 감독인 스콧 힉스는 이 작품 이후 할리우드에서 주로 활동하며 어느 정도 중박을 벌어들이며 꾸준히 활동하고 있으며 2015년에는 폴른을 연출했다. 한국에서도 배우나 감독이 무명인 호주 영화임에도 당시 서울 관객 15만을 기록하며 꽤 흥행에 성공하고 데이비드 헬프곳 음반이나 [[라흐마니노프]] 음반이 좀 인기를 끌던 바 있다. 물론 헬프곳을 연기한 배우 [[제프리 러시]]는 이후 [[캐리비안의 해적]]에서 [[헥터 바르보사]]를 맡으며 국내에도 알려진 배우가 되었다. 참고로 1997년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이 영화로 그는 남우주연상을 받았다, 그리고 아카데미 시상식에 영화의 실제주인공 데이비드 헬프곳 나와 피아노연주로 축하공연을 하였다. * 성인이 된 데이빗이 피아노를 연주하는 장면은 [[제프리 러시]]가 대역없이 직접 연주한 것이라 한다. 이를 위해 제프리는 30년만에 다시 피아노 레슨을 받았다고 한다.[* https://www.imdb.com/title/tt0117631/trivia] * 2020년 2월 국내 재개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