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벨기에의 축구 구단, rd1=로얄 샤를루아 SC)] [include(틀:에노의 행정구)] ##파이어폭스에서 표가 정상적으로 보이는 것은 확인하였으나, 크롬에서는 일그러짐. ||<-3> '''{{{+1 {{{#white 샤를루아}}}}}}'''[br]'''{{{#white Charleroi}}}'''[br]'''{{{#white Châlèrwè}}}''' || ||<-2> [[파일:샤를루아 깃발-2000px.png|width=100%]] || [[파일:샤를루아 문장-2000px.png|width=75%]] || ||<-2> '''깃발''' || '''문장''' || ||<-3> [[파일:샤를루아 로고.png|width=50%]] || ||<-3> '''로고''' || ||<-1> '''국가''' ||<-2>[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1> '''지역''' ||<-2>[[왈롱]] || ||<-1> '''공동체''' ||<-2>[[왈롱-브뤼셀 연방]] || ||<-1> '''주''' ||<-2>[[에노]] || ||<-1> '''행정구''' ||<-2>샤를루아 행정구 || ||<-1> '''시장''' ||<-2>폴 마녜트 [[사회당(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dc241f; font-size: .8em" {{{#fff '''사회당'''}}}}}}]][* 사회당 대표 겸직] || ||<-1> '''데모님''' ||<-2>Carolorégien(ne)(카롤로레지앵/카롤로레지엔)[* [[http://www.languefrancaise.cfwb.be/index.php?eID=tx_nawsecuredl&u=0&g=0&hash=033f658eb32bab80d64e2316a8d2de7e098e8876&file=fileadmin/sites/sgll/upload/lf_super_editor/Images/CF_GENTILES_version_corrigee_aout_2008.pdf|벨기에 프랑스어 공동체 데모님 지침]].] || ||<-1> '''인구''' ||<-2>201,610명([[https://www.ibz.rrn.fgov.be/fileadmin/user_upload/fr/pop/statistiques/population-bevolking-20210101.pdf|2021년]])[* 샤를루아 행정구의 인구는 395,418명이다. 행정구 인구의 약 51%가 샤를루아시에 집중되어 있다.] || ||<-1> '''면적''' ||<-2>102.9 km^^2^^ || ||<-1> '''인구 밀도''' ||<-2>1,966.7 명/km^^2^^(2020년) || ||<-1> '''사이트''' ||<-2>[[http://www.charleroi.be/|[[파일:샤를루아 깃발-2000px.png|width=20]]]] || ||<-3> [include(틀:지도, 장소=벨기에 샤를루아, 너비=390px, 높이=200px)] || [목차] [clearfix] [[프랑스어]]/[[네덜란드어]]: Charleroi [[왈롱어]]: Châlèrwè == 개요 == [youtube(WWOMztrMDhs)] 샤를루아는 왈롱의 최대 도시이며 [[인구 밀도]]는 왈롱 내에서 높은 편에 속한다. 현재는 1970~1980년대의 합의에 의해 [[http://connaitrelawallonie.wallonie.be/fr/symboles/capital|사회 수도]]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지명의 [[https://www.charleroi-decouverte.be/pages/index.php?id=413|유래]]는 Charles Roi(샤를 왕), [[카를로스 2세]]에서 왔다. 정치적으로는 사회당 강세지역이다. 2018년도 코뮌 선거에서 사회당이 51석 중 26석을 얻었다. 나머지 정당은 한자릿수 씩 나눠가졌다. 과거에는 [[석탄]] 산업을 기반으로 벨기에의 2차 산업을 대표하는 산업 도시 중 하나로, 석탄가루로 인해 '''Pays Noir'''(검은 땅)라는 별명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벨기에 전체에서 가장 빈곤한 도시권으로 꼽힌다. 물론 브뤼셀 내부에서 사를루아보다 상태가 더 나쁜 구역들을 찾을 수 있긴 하지만, 이는 해당 구역의 사회 통합의 문제로 국한될 뿐 도시권 자체의 산업이 견실한 브뤼셀과 달리, 샤를루아는 전통적 석탄 산업의 쇠퇴로 인한 구조적 실업으로 도시권 전체의 경제가 몰락한 상태라 비교하기 힘들다.[* [[에노]]의 1인당 GRDP는 [[왈롱]]의 평균에 못미친다. 에노 내의 도시권 중 왈롱의 평균 1인당 GRDP을 뛰어넘는 곳은 [[투르네]]와 [[무크롱]] 밖에 없다. 불행 중 다행인 점은 샤를루아의 1인당 GRDP가 꼴찌는 아니라는 것이다. 몽스와는 도토리 키재는 수준이긴 하지만 샤를루아의 1인당 GRDP가 몽스보다 [[https://www.hainaut-developpement.be/publication/la-province-du-hainaut-en-quelques-chiffres-2022-brochure-et-plaquette/|약간 높다]].] 벨기에 전체에서 [[도시철도]]가 있는 세 도시 중 하나([[브뤼셀]], [[안트베르펀]], 샤를루아)라는 점이 과거의 영광을 대변하고 있다. 다만 중전철 도시철도를 갖춘 브뤼셀과는 달리, 샤를루아의 도시철도는 안트베르펀과 같은 Premetro 형태의 도시철도이다. Premetro란 중전철 도시철도의 일부 구간만을 건설한 후 트램 노선을 이에 연결한 형태이다. 샤를루아 Premetro의 노선망 자체는 과거 [[벨기에 국철|NMVB/SNCV]]의 인터어반 철도 네트워크의 유산인데, 이 인터어반 네트워크의 흔적은 브뤼셀과 안트베르펀 근교의 트램 노선망과 북해 연안의 Kusttram, 그리고 샤를루아 Premetro에서만 찾을 수 있다. [[라이언에어]]의 취항지인 [[샤를루아 브뤼셀 쉬드 공항]]이 위치해 있다. [[스피루와 팡타지오]]와 [[마수필라미]]를 출판한 뒤퓌가 여기에 소재하고 있다. == 상징 == === 문장 === || [[파일:샤를루아 문장(1847~1977)2000px.png|width=300]] || [[파일:샤를루아 문장-2000px.png|width=300]] || || 1847년 칙령에 의해 정해진 문장 || 1977년부터 쓰고 있는 문장 || 1847년부터 1977년 까지는 검을 쥔 노란 사자 문장을 쓰다가 1977년부터 별에 둘러싸인 샤를루아 요새 문장으로 바뀌었다. 깃발은 현재의 샤를루아 문장 위에 발을 걸치고 있는 왈롱의 닭이다. === 로고 === [[파일:샤를루아 로고.png|width=300]] C위의 도형은 채석 작업 과정에서 생긴 언덕, 닭벼슬, 지명의 유래가 된 [[카를로스 2세]]의 왕관을 의미한다.([[https://www.charleroi.be/mes-demarches/infos-pratiques/logo-et-charte-graphique|#]]) [[분류:에노의 코뮌]][[분류:벨기에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