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역대 유럽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 [include(틀:역대 벨기에 총리)] ---- ||<-2>
'''[[벨기에 총리|{{{#ffd700 벨기에 제51대 총리}}}]] [br] {{{#ffd700 {{{+2 샤를 미셸}}}[br]Charles Michel}}}'''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harles_Michel.jpg|width=100%]]}}} || || '''{{{#333333 본명}}}''' ||'''Charles Yves Jean Ghislaine Michel [br] 샤를 이브 장 길렌 미셸''' || ||<|2> '''{{{#333333 출생}}}''' ||[[1975년]] [[12월 21일]] {{{-1 ([age(1975-12-21)]세)}}} || ||[[벨기에]] [[왈롱]] [[나뮈르]] || || '''{{{#333333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벨기에)] || ||<|4> '''재임기간''' ||제51대 [[벨기에 총리|총리]] || ||[[2014년]] [[10월 11일]] ~ [[2019년]] [[10월 27일]] || ||제3대 [[유럽연합]] 정상회의 의장 || ||[[2019년]] [[12월 1일]] ~ [[현직]] || || '''{{{#333333 SNS}}}''' ||[[https://www.facebook.com/charlesmichel.officie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charlesmichel, 크기=20)] | [[https://www.instagram.com/charlesmichel/|[[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hite 부모}}}''' ||[[아버지]] 루이 미셸 [[어머니]] 마르틴 피어 미셸 || || '''{{{#white 배우자}}}''' ||아멜리에 데르바우드렝기엔 미셸 {{{-2 (2021년 10월 결혼)}}} || || '''{{{#white 자녀}}}''' ||3명 || ||<|2> '''{{{#white 학력}}}''' ||[[파일: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_seal.png|width=18]] [[브뤼셀 자유 대학교#s-2|브뤼셀 자유 대학교]] {{{-2 ([[법학]] / LIC[* [[석사]]와 [[박사]] 사이의 학위.]) (1992 – 1998년)}}} || ||[[파일:UvA 아이콘.png|width=18]] [[암스테르담 대학교]] {{{-2 ([[법학]] / licentiaat[* [[석사]]와 [[박사]] 사이의 학위.]) (1992 – 1998년)}}} || || '''{{{#white 직업}}}''' ||[[정치인]], [[변호사]] || || '''{{{#white 신체}}}''' ||185cm || || '''{{{#white 정당}}}''' ||[[개혁 운동(벨기에)|{{{#!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47AE0; font-size: .8em" {{{#ffffff '''개혁운동'''}}}}}}]] || || '''{{{#white 경력}}}''' ||왈룬 브라반트 지방의원[br]브뤼셀 변호사[br]연방하원의원 {{{-2 (1999년 – 2019년)}}}[br]와브르 시장 {{{-2 (2006년 – 2011년)}}}[br]혁신개발부 장관 {{{-2 (2007년 12월 21일 – 2011년 2월 14일)}}}[br]개혁운동 대표 {{{-2 (2007년 2월 14일 – 2014년 10월 10일, 2019년 2월 18일 – 2019년 11월 29일)}}} ||}}}}}}}}} || [목차] [Clearfix] == 개요 == [[벨기에]]의 전 총리. 당시 유럽 정상 가운데 [[제바스티안 쿠르츠]] 총리 ([[오스트리아]]), [[루카 산토리니]] 집정관 ([[산마리노]]), [[볼로디미르 흐로이스만]] 총리 ([[우크라이나]]), [[위리 라타스]] 총리 ([[에스토니아]]),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다음으로 젊은 나이였다. == 약력 == 1975년 왈롱의 나뮈르에서 태어났다. 1992년 16세의 나이로 청년 자유당에 들어가 정치 활동을 시작했으며, 1994년 18세의 나이로 [[브라방왈롱]] 주 의원에 선출되었다. 프랑스어 브뤼셀 자유 대학교(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 프랑스어권 브뤼셀 자유대학은 ULB(Université libre de Bruxelles), 네덜란드어권 브뤼셀 자유대학은 VUB(Vrije Universiteit Brussel)이다. 두 대학은 서로 별개이다. 본래 한 대학이었으나 1969년 언어별로 분리된 것이라 캠퍼스는 하나의 블럭을 반으로 나눠 쓴다.]와 암스테르담 대학을 졸업하고 난 뒤 변호사가 되었고 1999년에는 벨기에 연방 하원으로 정계에 진출하였다. 이렇듯 커리어가 꽤 빠른 편이었다. 2000년 왈롱 내각의 외무장관을 맡았으며, 2006년에 우아브르 시장이 되었다. 2007년부터 2009년까지 세 총리 밑에서 개발협동조합 장관으로 일했다. 2010년 개혁운동 당수인 디디에 레인더스(Didier Reynders)가 6월 연방 선거에서 패배하고 당수에서 물러난 뒤 2011년 1월 개혁운동 당수로 선츨되었다. 그리고 2014년 10월 11일 연방 선거에서 총리에 당선되었다. 왈롱권에서 총리 임명 관련 논란이 많았다. ‘사회주의자만 연정에서 빠진다면 모든 조건을 받아 들이겠다’. 결국 현재 연방에서 좀더 느슨한 '[[https://www.youtube.com/watch?v=IV0N37q0V3s|confédéralisme]][* 연방정부의 권한을 대폭 축소하고 자치권을 보다 강화한 정치형태이다. N-VA가 강하게 주장하고 있으며 왈롱 쪽에서는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cQY8e4dlBYU|네덜란드어]]]'으로 가자는 얘기가 나오고 있고, 그렇게 법령이 바뀌어도 막을 수 있는 조치가 없게 되었다. 당선 당시에는 네덜란드어권의 제1당으로 우파 성향인 [[신플람스 연맹]](N-VA)과 기독민주당(CD&V), [[Open VLD|열린 플람스 자민당]](Open VLD), 그리고 미셸 총리의 [[개혁 운동(벨기에)|개혁운동]](MR) 등 4개 정당이 주축이 된 연립정부가 출범했다. 하지만 유럽 난민 사태가 터지면서 덩달아 벨기에 정계에 몰아치면서 반(反)난민 정책을 주장하는 N-VA는 연방의회가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4092343|유엔 국제이주협약]]' 서명 동의안을 가결처리하는 것으로 미셸 총리에게 힘을 실어주자 이에 반발해 소속 장관들을 사퇴시켰다. 연정 체제가 무너진 뒤 여소야대 정부를 이끌게 된 미셸 총리는 조기 총선 가능성을 일축한 채 소수 좌파 진영의 지지를 끌어들여 내년 5월 총선 때까지 집권하고자 했으나 유엔 이주 글로벌 콤팩트 문제를 놓고 야권인 사회민주당과 녹색당 의원들이 공동으로 자신에 대한 불신임 투표안을 제출하자 필리프 국왕에게 [[https://www.bbc.com/news/world-europe-46611320|사의를 표명]]했다. 그 후, 필리프 국왕은 사의를 표명한 샤를 미셸 총리에게 내년 5월 차기 총선 때까지 내각을 계속 이끌어 줄 것을 당부했다. 사의를 받아들이면서 [[벨기에의 무정부 사태|임시 총리]]로 이끈다. 유럽의회, 지방선거, 총선 결과로 현재의 유럽정치상황처럼 [[플란데런|플람스]]의 이익, 벨기에 노동당이 대약진하였으며, 소속되어있는 개혁운동은 패하게 된다. 2019년 [[도날드 투스크]]의 후임으로 유럽 연합 정상회의 상임의장직(President of the European Council)에 내정되었다. 12월 1일부터 임기를 시작한다. 따라서 10월 말에 임시 총리 자리를 [[소피 윌메스]]에게 주고 사임하였다. 2023년 5월 19일~21일 [[일본]] [[히로시마현]]에서 열린 [[2023년 G7 히로시마 정상회의|G7 정상회의]]에 참석한 뒤, 22일 한-EU 정상회담을 위해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과 함께 방한했다. EU의 투톱인 집행위원장·상임의장이 동시 방한한 것은 처음 있는 일이다. 두 사람은 [[국립서울현충원]]을 참배한 뒤, [[대한민국 대통령실|대통령실]]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https://segye.com/view/20230522515651|#]] [[https://www.yna.co.kr/view/AKR20230522102600009|#]] == 기타 == * 총리직에 취임할 당시 1845년 이래 벨기에 '''최연소 총리'''라는 기록을 세웠으며, 총리 재임 기간은 1,842일로 역대 벨기에 총리 중에서 14번째로 길다. * 모국어인 [[프랑스어]] 외에 [[https://www.youtube.com/watch?v=KcvMQ6BENYk|영어]]와 [[https://youtu.be/_znw8q9QYRI|네덜란드어]]를 구사할 수 있다. 영어 발음은 벨기에 프랑스어 특유의 발음이 많이 들어가있어 정확하지 못한 편이다. * 아버지인 루이 미셸, 동생인 마티외 미셸 모두 대머리인 것으로 보아 [[대머리]] 유전자를 가진 듯 하다. * 아버지인 루이 미셸이 2010년에 [[레오폴드 2세]]를 [[https://www.vrt.be/vrtnws/en/2010/06/22/_king_leopold_iiwasavisionaryhero-1-808003/|영웅]]이라고 평가하고 비난을 받을 책임이 없으며 벨기에인들이 콩고를 발전시켰다고 말하기도 하였다. 현재까지 아들인 샤를 미셸이 여기에 대해 발언을 한 적은 없다. 이후 루이 미셸은 2020년 6월 18일 [[RTBF]]의 라디오 방송인 la première에 출연하여 "진실과 화해 위원회는 좋은 생각이며, 수단화 할 수 있는 곳에서 역사를 바로잡아야 한다", "식민지배와 인종차별은 연결되어 있다"라고 말하며 과거의 발언을 [[https://www.rtbf.be/info/societe/detail_colonisation-belge-le-politique-est-responsable-devant-l-histoire-de-ce-qu-il-fait-maintenant-mais-aussi-de-ce-qui-a-ete-fait-louis-michel?id=10524575|뒤집었다]]. 이후 [[https://www.rtbf.be/info/belgique/detail_il-y-a-dix-ans-louis-michel-defendait-leopold-ii-heros-avec-de-l-ambition?id=10524709|과거의 발언]]에 대한 기사가 올라왔다. * 헤르만 반 롬푀이 내각도 2009년에 실각한 뒤에 샤를 미셸과 비슷하게 [[유럽연합]]에서 정상회의 의장을 지낸 적이 있어서 프랑스 앵포의 '[[https://www.francetvinfo.fr/replay-magazine/franceinfo/la-faute-a-l-europe/la-faute-a-l-europe-du-mardi-5-novembre-2019_3690985.html|유럽의 잘못]]'에 샤를 미셸이 출연했을 때 사회자가 이 사례를 들며 '벨기에보다 EU가 더 중요한가?'라는 질문을 던지기도 하였다. 샤를 미셸 본인은 노코멘트라고 답하였다. * 2017년 총리 재임 시절 필립 데빈터르 [[플람스의 이익]] 대표[* 플람스의 이익 이전에는 인종차별 정당으로 찍혀 해산되었던 Vlaams Blok 소속이었다.]에게 "이슬람과 싸우는 자들이 있다. 그러한 점이 당신들과 우리의 큰 차이점이다. 당신들은 인종차별주의자고 외국인 혐오자이며 연쇄살인마를 옹호하는 사람이다"라고 [[https://www.youtube.com/watch?v=Us5HmU5sEHU|돌직구]]를 던진 적이 있다. [[분류:1975년 출생]] [[분류:벨기에 총리]] [[분류:국제기구 수장]] [[분류:벨기에의 정치인]] [[분류:법조인 출신 정치인]] [[분류:나뮈르 주 출신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