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生徒隊長 *[[영어]]: Commandant[* Commandant는 본래 [[사령관]]을 가리키는 말이지만 사관학교에선 생도대장을 가리킨다. 교수부장은 Dean이다. 교장은 Superintendent.] of Cadets([[미국육군사관학교|육군]]/[[미국공군사관학교|공군]]/[[해안경비대사관학교|해안경비대]])/Commandant of Midshipmen([[미국해군사관학교|해군]]) [목차] == 개요 == [[사관학교]] 생도대를 관리하는 [[지휘관]]이다. [[준장]]이 보임된다.[* [[연대장생도|생도 대표]]가 '''[[연대장]]'''이란 [[명칭]]을 달고 있으므로, 이들을 지휘하는 생도대장은 그보다 격이 한 단계 높은 [[여단장]]으로 간주된다. 그래서 여단장급인 준장이 보임되는 것이다([[학교장]]의 [[계급]]이 상대적으로 낮은 [[육군3사관학교]]도 생도대장은 준장). 같은 이치로, '[[대대장]]'생도가 [[생도]]들을 대표하는 [[국군간호사관학교]]는 [[대령]]이 생도대장을 맡는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해당 교육 과정 출신의 선배들을 생도대장에 임명한다. 다른 교육 과정 출신이 오는 것보다 직속선배가 [[생도]]들의 호응을 얻기 좋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해군]]과 [[대한민국 해병대]]에 모두 인원을 수급하는 [[해군사관학교]]의 생도대장에는 간혹 해병 준장이 임명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해사 훈육관에도 해병 장교가 보임되기도 한다.] 각군의 고급 지휘관을 양성하는 사관학교의 생도대장은 국가의 간성이 될 후배들을 올바르게 지도하는 동시에 그 자체로도 귀감이 되어야만 하므로, 전도유망하면서도 훌륭한 인격을 갖춘 장군이 맡는 자리이다. 특히 해공군에 비해 준장 보직이 많은 육군에서 가려뽑아 생도대장에 보직되는 준장은 앞으로도 승승장구할 것이 확실시되는 엘리트다. 역대 육사 생도대장 중 고위직 진급자가 매우 많은 것이 그를 방증한다.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에서는 [[생도대]]가 학생대란 [[이름]]으로 불리는데 학생대장엔 [[교육]] 특기 [[중령]]이 보임된다. 다만 이곳은 [[부사관]]을 양성하는 곳이기 때문에 항과고 출신의 학생대장을 임명하기가 어려워 그냥 교육 장교가 임명된다. [[2011년]]에 항과고 [[교장]]이 된 김진식 대령[* 항과고 졸업생 최초로 항과고 교장이 되었다. 항과고 출신 장교가 드물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대단한 업적이라고 평가하는 편. 게다가 항공고 교장은 능력 좋은 교육 특기 장교가 집에 가기 전에 보임되는, 사실상 교육특기 병과장 자리라 그렇기도 하고.]처럼 항과고 나온 교육 특기 [[장교]]가 학생대장을 맡은 일도 정말 간혹 있긴 했다. [[미군]]의 경우도 [[한국]]과 비슷하다. 해당 사관학교 출신으로 [[야전]]이나 [[참모]] 등의 [[요직]]을 고루 역임한 전도유망한 [[베테랑]]들이 주로 보임되며, [[명예 훈장]]이나 3군 십자 [[훈장]]을 받은 [[전쟁 영웅]]들 중에서 일부러 고르기도 한다. 다만 장성 [[TO]]가 적은 편인 [[미 해군]]은 생도대장에 [[대령]] 내지 준장[[(진)]]을 보임하는 편. [[미국공군사관학교]]의 경우는 [[50년대]] 후반에야 첫 졸업자가 배출된지라 70~[[80년대]]까지 어쩔 수 없이 타 과정 출신자들이 임명되었다.[* 애당초 [[미 공군]]이 [[미 육군]] 항공대에서 기원하니 큰 문제는 아니다.] == 업무 == [[교수]]들의 으뜸인 교수부장 등이 학사과정을 담당한다면 생도대장은 [[군사학]]과 [[훈육]]을 전담한다. 각종 명예의식과 [[연대장생도]]와 같은 자치근무, 체력단련과 군사훈련 등 [[수업]]하는 것 빼고는 모두 생도대장 휘하의 [[훈육관]]들이 관리한다고 보면 된다. 보통 생도대장과 전임직 교수[* 심사를 거쳐야 하긴 하지만 [[정년]]이 60세로 53세(중령), 56세(대령), 58세(준장), 60세(소장)인 일반 장교들보다 길다. 대신 [[야전]] 군인보다 [[진급]]이 느린 편이다.] [[중령]]들이 [[짬]]이 비슷하기 때문에 가끔 준장과 중령 [[동기]]가 말을 놓는 --[[군기]] 빠진-- 모습을 [[사관생도]]들이 보고 경악하기도 한다. == 출신 [[인물]] == 준장에 빠르게 진급한 각 기수의 선두주자들이 맡는 보직이기에 역대 생도대장 중 고위직에 진급한 인원이 많다. 일단 웬만하면 소장은 다는 [[요직]]이다. ---- * '''국방경비사관학교 생도대장''' * [[장창국]]: 군사영어 1기, 예)대장 * '''[[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김용관(1926)|김용관]]: 육사 5기, 예)소장 * [[이재전]]: 육사 8기, 예)중장. * [[장준익]]: 육사 14기, 예)중장. * [[김석재]]: 육사 23기, 예)대장. * [[김판규(육군)|김판규]]: 육사 24기, 예)대장. * [[김장수]]: 육사 27기, 예)대장. * [[백군기]]: 육사 29기, 예)대장. * [[권오성]]: 육사 34기, 예)대장. * [[김학주]]: 육사 35기, 예)중장. * [[김종배(군인)|김종배]]: 육사 36기, 예)중장. * [[신원식]]: 육사 37기, 예)중장. * [[고성균]]: 육사 38기, 예)소장. * [[김완태(군인)|김완태]]: 육사 39기, 예)중장. * [[서상국(군인)|서상국]]: 육사 40기, 예)소장. * [[최영철(군인)|최영철]]: 육사 41기, 예)중장. * [[이형석(군인)|이형석]]: 육사 41기, 예)소장. * [[구재서]]: 육사 42기, 예)소장. * [[안준석]]: 육사 43기, 예)대장. * [[황대일]]: 육사 43기, 예)중장. * [[김인연]]: 육사 45기, 예)준장. * [[김태진(군인)|김태진]]: 육사 46기, 준장. * [[박후성]]: 육사 48기, 중장. * [[이우헌(군인)|이우헌]]: 육사 50기, 소장 * 정진웅: 육사 51기, 준장 * [[윤기중(군인)|윤기중]]: 육사 51기, 소장 * '''[[육군3사관학교]] 생도대장''' * [[정두근]]: 3사 7기, 예)중장. * [[원홍규]]: 3사 16기, 예)소장. * [[박종진(군인)|박종진]]: 3사 17기, 예)대장. * [[김태일(군인)|김태일]]: 3사 23기, 소장. * [[김경봉]]: 3사 24기, 준장. * [[고창준]]: 3사 26기, 대장. * [[김호복(군인)|김호복]]: 3사 27기, 중장. * [[임국기]]: 3사 29기, 준장. * '''[[해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장정길]]: 해사 21기, 예)대장. * [[손정목(군인)|손정목]]: 해사 32기, 예)중장. * [[이영주(군인)|이영주]]: 해사 35기, 예)중장.[* 해병 출신으로는 최초로 해사 생도대장을 역임했다. 이후 해병대사령관을 지냈다.] * [[김종삼]]: 해사 41기, 예)중장. * [[이상훈(해군)|이상훈]]: 해사 42기, 소장. * [[양용모(군인)|양용모]]: 해사 44기, 대장. * [[이수열]]: 해사 45기, 소장. * '''[[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이영만]]: 공사 27기, 예)중장. * [[정경두]]: 공사 30기, 예)대장. * [[이상학(군인)|이상학]]: 공사 38기, 중장. * [[박대준]]: 공사 40기, 준장. * [[주성규]]: 공사 43기, 준장. * '''[[국군간호사관학교]] 생도대장''' * [[신혜경(육군)|신혜경]]: 간사 20기, 예)준장. * [[박명화(군인)|박명화]]: 간사 21기, 예)준장. * '''[[미국육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존 아비자이드]]: 미 육사 졸, 예)대장. * [[리처드 클라크]]: 미 육사 졸, 대장. * '''[[미국해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존 앨런]]: 미 해사 졸, 예)대장. * '''[[미국공군사관학교]] 생도대장''' * [[로빈 올즈]]: 미 육사 졸, 예)준장. * [[마크 웰시]]: 미 공사 졸, 예)대장. [[분류:지휘관]][[분류:사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