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OpenAI의 CEO)] || '''{{{#fff 샘 올트먼 관련 둘러보기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OpenAI)] ---- [include(틀:역대 Y Combinator 사장)] }}} || ||<-2> '''{{{+2 샘 올트먼}}}[br]Sam Altma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샘 올트먼.jpg|width=100%]]}}} || || '''본명''' ||새뮤얼 해리스 올트먼[br](Samuel Harris Altman)|| ||<|2> '''출생''' ||[[1985년]] [[4월 22일]] ([age(1985-04-22)]세)||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직업''' ||[[기업인]], [[투자자]]|| || '''현직''' ||Oklo {{{-3 (이사회 의장 / 2015년~ )}}}[br][[Tools for Humanity]] {{{-3 (이사회 의장 / 2019년~ )}}}[br][[OpenAI]][* 이사회와의 의견 충돌로 인해 5일동안 잠시 해임되었다 복귀했다.] {{{-2 (CEO / 2023년~ )}}} || || '''경력''' ||Loopt[* 위치 공유 소셜 서비스이다. 2005년 공동 창업한 뒤, 2012년에 4,340만 달러에 매각했다.] {{{-2 (CEO / 2005-2012년)}}}[br][[Y Combinator]][* Loopt에 대한 투자를 계기로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사장 자리를 역임했다.] {{{-2 (사장 / 2014-2019년)}}}[br][[Reddit]][* 2014년에 일주일동안 단기 대표를 맡았다.] {{{-2 (CEO / 2014년)}}}[br]OpenAI {{{-2 (CEO / 2015-2023년)}}} || || '''학력''' ||[[스탠퍼드 대학교]] {{{-2 (컴퓨터과학 / 중퇴)}}}|| || '''링크''' ||[[https://blog.samaltman.com/|[[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ama, 크기=25)]||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기업인]]. [[Y Combinator]]에서 근무하던 시절, 성공적인 투자를 진행한 바 있으며 [[OpenAI]] 대표이사로 널리 알려져 있다. == 경력 == 1985년 4월 22일 [[일리노이]] [[시카고]]의 [[독일계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 8살에 [[매킨토시]] 컴퓨터를 이용한 [[프로그래밍]]을 배웠고, 2004년 [[스탠퍼드 대학교]] [[컴퓨터과학]] 전공으로 입학했으나 1년 만에 자퇴했다. 2005년 대학교를 중퇴한 같은 해 친구들과 위치 기반 소셜 네트워킹 회사인 Loopt를 공동 설립했으며 2012년 매각했다. 2011년에는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인 [[Y Combinator]]의 파트타임 파트너로 합류했고 2014년에 대표가 되었다. 엔젤 투자자로서 [[에어비앤비]], [[레딧]], [[스트라이프]], [[인스타카트]], [[핀터레스트]] 등 여러 스타트업의 초기 펀딩에 참여함으로써 막대한 수익을 벌여들였고 2015년에 포브스가 선정한 30세 미만의 최고 투자자로 선정되었다. 2014년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모금 행사를 열었다. 2015년부터 에너지 기업 오클로(Oklo)의 이사회 의장 직책을 역임하고 있다. [[핵분열 발전]] 업체인데, 찌꺼기가 적게 나오도록 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이후 2015년 12월 11일부터는 [[일론 머스크]]와 뜻을 함께하며 [[OpenAI]]를 창업하여 공동 의장이 되었다. 2016년 [[Asana]]의 5,0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C 펀딩에 리드 투자자로 참여했다. 2018년에는 캘리포니아 주지사로 출마하려 했으나 그만두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이후 정치 운동인 유나이티드 슬레이트(The United Slate)를 주도했다. 2019년에는 생체 정보 기반 [[오픈소스]] [[프로토콜]] 프로젝트인 [[월드코인]]을 공동 창립하였다. 월드코인 재단과 [[Tools for Humanity]]라는 기술 기업을 통해 월드코인 프로젝트를 운영, 개발하고 있다. 2021년에 [[핵융합 발전]] 개발 회사인 [[헬리온 에너지]]에 투자한 뒤로 이사회에 참여하고 있다. 2023년, Oklo는 올트먼이 CEO로 있는 AltC Acquisiton Corp라는 기업과 합병하여 [[SPAC]] 상장을 진행할 예정이다.[[https://www.businesswire.com/news/home/20230711306917/en/Oklo-an-Advanced-Fission-Technology-Company-to-Go-Public-via-Merger-with-AltC-Acquisition-Corp.|#]][[https://twitter.com/sama/status/1678778470753779712?s=46&t=heuN3aUb-lI7mK8tmq9uxw|#]] 2023년 11월 17일 [[OpenAI]] 대표이사 직책과 이사회를 사임하겠다고 발표했다. 그의 자리는 CTO [[미라 무라티]]가 임시직으로 대체한다.[[https://openai.com/blog/openai-announces-leadership-transition#OpenAI|#]] OpenAI는 그가 의사소통을 거부하고 책임감 없는 모습을 보였다고 주장하며 이례적으로 이사회에 의한 불명예스러운 퇴진이 되었다.[* 이사회가 CEO 해임을 결정해도 회사 이미지를 위해서 외부에는 갈등이 드러나지 않게 원만하게 물러나는 것 처럼 발표하는 게 일반적이다. 이로 인해 사외 이사회 활동과 벤처투자로 인해 소홀해진 업무, 영리화 추구로 인한 갈등, 여동생 학대 이슈 등의 루머가 떠오르며 그의 퇴사 원인에 관한 관심이 증폭되었다.] 이후 [[그렉 브록만]]의 [[X(SNS)|X 포스트(트위터)]]를 통해 정확한 이유가 밝혀졌다. 수석과학자인 [[일리야 수츠케버]]를 비롯한 이사회 주도로 해고 당일 화상회의를 통해 일방적인 통보를 받았던 것이다.[[https://x.com/gdb/status/1725736242137182594?s=46&t=heuN3aUb-lI7mK8tmq9uxw|#]] 안정성 문제와 관련된 다툼이 있었으며 가장 실권자라고 여겨졌던 의장과 대표이사가 하룻밤만에 돌연 해고된 점으로 인해 OpenAI의 진짜 권력 구조가 어떻게 짜여진 것이냐는 의문이 터져나오고 있다.[* [[블룸버그]]는 올트먼의 야심찬 인공지능 생태계 수직계열화 행보로 인해 쌓여왔던 갈등이 터진 결과였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인공지능 칩]] 자회사를 설립하기 위해 [[중동]]의 [[국부펀드]]와 [[소프트뱅크 그룹]]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조너선 아이브]]와의 디자인 협업도 기획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수츠케버를 비롯하여 안정성이 우선되는 [[AGI]] 개발을 우선순위로 두었던 연구원들은 이러한 행보에 불만이 컸다고 한다. GPT 스토어를 출시하며 완전한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은 인공지능을 널리 배포하려며 수익성을 증진시키려는 행보도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이후 2023년 11월 20일 [[사티아 나델라]]의 포스트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의 신설 인공지능 리서치 팀에 합류했음이 밝혀졌다. 함께 퇴사한 [[그렉 브록만]]을 포함한 일부 OpenAI 연구원도 함께 한다.[[https://x.com/sama/status/1726510261509779876?s=46&t=heuN3aUb-lI7mK8tmq9uxw|#]] 증권가에서는 샘의 MS 합류를 호재로 받아들여 주가가 상승했다고 분석했다.[[https://finance.naver.com/research/market_info_read.naver?nid=26868|#]] 11월 21일 올트먼을 지지하는 여론의 반발을 이겨내지 못하고 [[애덤 디엔젤로]]로 대표되는 이사회와 에밋 쉬어 임시 CEO의 합의에 의해 올트먼은 대표이사 자리에 복귀하고 새로운 이사진이 선출되며 투자자들과 임직원들의 신뢰를 잃은 기존 이사회의 쿠데타는 5일 천하로 종료되었다.[* [[사티아 나델라]]가 올트먼의 해고 소식에 격분했었다고 한다. 마이크로소프트는 기존에 투자를 약속한 130억 달러를 아직 전부 투입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실효적 지배력이 없을지라도 이를 파기하면 OpenAI는 자금난에 시달릴 확률이 높은 상황이었다. 임직원들의 성명서 발표와 선임 연구원들의 퇴사 등 기존 이사회를 지지하는 사람이 아에 없다고 보아도 무방할 정도였다.][[https://x.com/openai/status/1727206187077370115?s=46&t=heuN3aUb-lI7mK8tmq9uxw|#]][[https://www.technologyreview.kr/whats-next-for-openai/|타임라인]] == 기타 == * 고등학생 시절 커밍아웃한 [[동성애자]]이며 [[채식주의자]]다. * [[AGI]] 시대가 도래하면, 소수의 집단에게 부가가치가 쏠릴 것이기 때문에 AGI 탄생 전에 국가간 의제를 통하여 [[기본소득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월드코인]]을 통해 이러한 기본소득제 아이디어를 준비하고 있다. * 가끔 올트먼을 AI 개발자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는데, 올트먼은 OpenAI의 창업자이자 경영인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고 OpenAI의 기술적 부분은 [[일리야 수츠케버]]와 [[미라 무라티]]가 이끄는 팀이 주도한다. 2023년 샘 올트먼이 오픈ai에서 축출되자 대부분의 직원이 샘 올프먼과 함께 MS로 이직하겠다고 서명하는 등 사실상 오픈ai에서의 실권자였음이 분명해졌다.[* 인공지능 개발자 출신에다 [[구글]]의 총애를 받으며 [[구글 딥마인드]]의 경영까지 총괄하고 있는 [[데미스 허사비스]] 때문에 생긴 인식으로 발생하는 오해인 듯하다.] * 2023년 11월 주문을 받기 시작하여 큰 주목을 받고 있는 [[휴메인(기업)|휴메인]]에도 투자했다. 인공지능 디바이스 제조업체다. * [[ChatGPT]]가 돌풍을 일으키면서 가장 주목받는 AI 전문가로 등극했으며 2023년 타임지 가장 영향력 있는 100인으로 선정되었다. 미국 의회에서 질문을 받기도 하였다.[[https://www.youtube.com/watch?v=ihhmg_w1o-U|#]] * 2023년 5월 16일, 미국 상원에 출석하여 AI 규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가짜 뉴스와 선거 부문이 심히 걱정되며, 이를 위해 미국 정부가 인공지능 모델 개발을 위한 라이선스나 테스트 도입을 하는 방안을 고려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지어 사업용 모델 뿐만 아니라, 모델이 컴파일되고 훈련되는 과정 그 자체에도 라이선스 규제가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주장은 안정성과 윤리를 위해 OpenAI를 설립한 초기 취지에 부합한다고 옹호하는 의견이 있는 한편, 현재 OpenAI의 기술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후발 주자들을 견제하기 위한 행동이 아니냐는 의견도 있다. * 실제로 유럽에선 [[https://www.reuters.com/technology/openai-may-leave-eu-if-regulations-bite-ceo-2023-05-24/|AI에 과도한 규제가 이루어진다면 GPT 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으름장을 놓기도 했다.]] 또한 AI가 인간의 노동 상당수를 대체할 것 이라는 자신의 발언과 다르게 정작 [[ChatGPT]]에는 AI가 인간의 노동을 완전히 대체하지 않을 것이라는 문구를 주입시켰다. 다만 애초에 그가 OpenAI를 설립한 취지 자체부터가 [[일론 머스크]]과 만난 뒤 인공지능의 잠재 위험성이 있고 현재 업계를 주도하는 [[구글]] 등의 업체가 이를 별로 신경쓰지 않고 있다는 점에 동의했기 때문이다. * OpenAI 창업 초창기에 일론 머스크와 뜻을 같이 했으나, 비영리의 한계 탓인지 생각보다 [[구글]]을 따라잡는 속도가 느리자 경영권 관련 분쟁으로 인해 일론은 퇴사했고, 이후 그는 샘 올트을 비판하는 트윗을 자주 업로드하고 있다. [[2023년 7월 트위터 API 사용 제한 사태]]에서도 일론이 '원인은 ChatGPT의 크롤링 방지'[* 물론 이게 진짜 문제였는지 아니면 일론이 단순히 핑계를 대는건지는 모르나 정황상 트위터 블루 구독을 유도하기 위한 핑계일 가능성도 높다.] 운운할 정도. * OpenAI 투자자 계약서에 따르면, 그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은 없는 것으로 적혀있다. [[Y Combinator]]의 펀드를 통해 간접적으로 일부 보유하고 있는 게 전부이다. [각주] [[분류:OpenAI]][[분류:1985년 출생]][[분류:시카고 출신 인물]][[분류:미국의 남성 기업인]][[분류:미국의 공학자]][[분류:미국의 게이]][[분류:유대계 미국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