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1906년]]의 대지진 == ||<-3><:>{{{#ffffff {{{+1 1906 San Francisco earthquake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 }}}}}}|| ||<:>{{{#ffffff 발생일시[br]^^(UTC-10)^^}}}||<-2><(>1906년 4월 18일 05:12 PDT || ||<:>{{{#ffffff 진앙}}}||<-2><(>[[미국]] [[캘리포니아]] 북부[br]37.75N, 122.55W || ||<:>{{{#ffffff 규모}}}||<-2><(>'''M,,w,, 7.8''' / '''M,,L,, {{{#brown 8.3}}}'''|| ||<:>{{{#ffffff 진도}}}||<-2><(><#000000>{{{#ff0 '''XI(Extreme)'''}}} || ||<:>{{{#ffffff 진원깊이}}}||<-2><(>'''8km'''|| ||<:><|5>{{{#ffffff 피해}}}||<(> '''최소 3,000명 이상 사망'''[* 초기에는 375명으로 보고되었지만 이때는 [[차이나타운]]에서 발생한 사망자 수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기록을 알 수 없다.] || ||<(>화재 피해로 샌프란시스코 구시가지의 2/3 손실 || ||<(>쓰나미 || ||<(> 피해액 2억 달러(1906년 가치)[br]106억 달러(2015년 가치) || [[1906년]] 4월 18일 리히터 규모 8.3[* 모멘트 규모로는 7.8로 추정]의 강진이 [[샌프란시스코]]를 강타했다. 원인은 [[샌 안드레아스]] 단층으로, 1300km에 달하는 단층 중 약 450km가 넘는 단층 일부가 최대 6m까지 어긋났다. 쉽게 말하면 서울-부산 거리가 세로로 6m 찢어졌다고 보면 된다. 이 강진으로 최소한 3천 명 이상이 사망했고 피해액이 당시 가치로 2억 달러가 넘었다. 이 지진은 특히 화재를 야기하여 샌프란시스코 구시가지의 2/3이 몽땅 타 버렸고 그나마도 건진 것은 당시의 시 소방당국이 방화지대로 가옥을 철거해서 52m의 소개공지를 확보한 덕택이었다. 시카고 대화재처럼 화재선풍이 불붙은 목재덩어리를 뿜어내는 수준까지 가지 않았기 때문에 반 세기 전 시카고가 당했던 대규모 화재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지진의 여파 자체가 워낙 강력했기 때문에 수많은 인명과 재산피해가 발생했다. 여기에 또다른 불운도 있었는데 사망자 중에는 하필이면 샌프란시스코의 소방 인력을 총지휘해야 할 소방대장인 데니스 설리번(Dennis T. Sullivan)도 있었다. 아파트에서 잠을 자던 도중 지진이 발생해서 방 밖으로 나오려고 했는데 하필이면 그 순간 건물이 무너져서 바닥으로 떨어진 것. 즉사하진 않았으나 5일 후에 사망했다. 일설에 의하면 유명 영화배우 [[루돌프 발렌티노]]도 당시 지진의 현장에 있었다고 하며 그 외에도 많은 지진 경험담이 미국에 문서로 많이 남아 있다. 이와 관련하여 리더스 다이제스트의 '인류가 겪은 대재앙'에 따로 항목이 개설되어 있다. 또 [[일본]]의 사상가 [[고토쿠 슈스이]]도 이때 샌프란시스코에 있었는데 그는 샌프란시스코 시민들의 자발적인 지진 구호행위를 보면서 더더욱 아나코-코뮤니즘으로 경도되었다고 한다. 이 지진은 [[지진학]]에서 중요한 사례로 남아 있는데 당시까지도 단층에서 지진이 발생할 것이라는 추정만 하고 있었고 확실한 근거는 없었지만 샌 안드레아스 단층에서 지진이 일어남으로써 경험론적 근거가 되었다. [youtube(VO_1AdYRGW8)] 위 영상은 지진이 일어나기 4일 전의 영상으로 마지막에 지진 후의 모습도 등장해 가치가 높은 영상이다. 이 영상은 [[미국 의회도서관]]의 [[National Film Registry]]에서 영구히 보존하는 영상물이다. == [[1989년]]의 지진 == ||<-3><:>{{{#ffffff {{{+1 1989 Loma Prieta earthquake 1989년 로마프리타 지진}}}}}}|| ||<:>{{{#ffffff 발생일시[br]^^(UTC)^^}}}||<-2><(>1989년 10월 17일 17시 4분 15초|| ||<:>{{{#ffffff 진앙}}}||<-2><(>[[미국]] [[캘리포니아]] 북부|| ||<:>{{{#ffffff 규모}}}||<-2><(>M,,w,, '''6.9''' / '''M,,s,, 7.2'''|| ||<:>{{{#ffffff 진도}}}||<-2><(><#4c2600>{{{#fff '''Ⅸ'''}}}|| ||<:>{{{#ffffff 진원깊이}}}||<-2><(> 18.5km|| ||<:><|5>{{{#ffffff 피해}}}||<(>사망자 63명 || ||<(>부상자 3,757명 || ||<(>이재민 55,000명 이상 || ||<(>화재 발생 50건 이상 || ||<(>피해액 7~80억 달러 이상 || [[1989년]] 10월 17일 현지시간 17시 4분에 규모 6.9의 [[지진]]이 발생했는데 이 지진은 진원지가 로마프리타 부근이라 로마프리타 지진으로 불린다. 부두 근처에 있던 집들이 토대부터 부서졌다. 깊이가 19km로 얕아 진동이 15초밖에 되지 않았음에도 피해가 컸는데 이 지진으로 인해 63명이 사망하고 3757명이 부상을 당하였으며 많은 사람들이 떨어지는 벽돌과 돌조각에 맞아 다쳤다. [youtube(QoGV7EvwqzQ)] [youtube(P5fJdM69pbQ)] [youtube(FkLXi0sD7wk)] 이 지진 때문에 당일 샌프란시스코 [[캔들스틱 파크]]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1989년 월드 시리즈]] 3차전이 열흘 연기됐다. 또한 이 경기를 ABC가 생중계했기 때문에 '''인류 역사상 두 번째로 실시간 생중계된 대지진으로 남았다.'''[* 최초는 [[1985년 멕시코시티 대지진]]이다.] 이때 경기 캐스터로 예정됐던 [[앨 마이클스|알 마이클스]]가 지진 직후 남긴 멘션도 유명하다. [youtube(Z8ExMR0c0aM,start=270)] 당시 생중계 영상으로 공포에 질린 사람들의 비명소리가 선명하게 담겨 있다. 여담으로 이 당시 미국, 특히 샌프란시스코에서 청소년기를 보낸 한인 교포들은 이 1989년 지진 이후에 교육과정에서 1906년 샌프란시스코 지진 당시의 재해와 시민들의 자발적인 극복 노력에 대해 굉장히 많은 교육을 받았다는 뒷얘기가 있다. == 같이 보기 == [include(틀:지진/20세기)] [[분류:1906년 지진]][[분류:TR 행정부]][[분류:1989년 지진]][[분류:조지 H. W. 부시 행정부]][[분류:지진/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