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버워치 리그/참가 팀)] ---- ||<-2>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svg|width=320]] || ||<-2> '''{{{+1 샌프란시스코 쇼크}}}''' || ||<-2> '''{{{#000 {{{+1 San Francisco Shock}}}}}}''' || || '''창단''' ||[[2017년]] [[9월 28일]]|| || '''해체''' ||[[2023년]] [[12월 1일]]|| || '''연고지''' ||[[미국]] [[캘리포니아]] [[샌프란시스코]]|| || '''디비전''' ||서부 (Western)|| || ''' 홈 경기장''' ||UC Berkeley Zellerbach Hall San Jose Civic Cow Palace|| || ''' 모기업''' ||[[NRG Esports|[[파일:NRG Esports 로고.svg|width=70&theme=light]][[파일:NRG Esports 로고 white.svg|width=70&theme=dark]]]]|| || '''오너'''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앤디 밀러[* [[NRG Esports]]의 구단주이자 [[NBA]] 구단 [[새크라멘토 킹스]] 공동 구단주]|| || '''대표'''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브렛 라우텐바흐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a5acaf Brettbox}}}}}}|| || '''부대표'''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코리 빈센트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a5acaf WhatsUpPizzas}}}}}}|| || '''단장'''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크리스 충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a5acaf Thugnasty}}}}}}|| || '''부단장'''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제이미 코헨카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a5acaf bikeage}}}}}}|| || '''감독'''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박대희|박대희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a5acaf Crusty}}}}}}]]|| || '''코치'''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김범훈(e스포츠)|김범훈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1px 2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size:.9em" {{{#a5acaf NineK}}}}}}]]|| || '''약칭''' ||'''{{{+1 {{{#a5acaf SFS}}}}}}'''|| ||<-2> [[https://shock.overwatchleague.com|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width=25]]]] [[https://youtube.com/channel/UCFRweL546FCwYs7JVAz4FyA|[[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2]]]] [[https://facebook.com/sfshock|[[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FShock, 크기=20)] [[https://instagram.com/sfshoc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discordapp.com/invite/3A7kXd7|[[파일:디스코드 아이콘.svg|width=20]]]] [[https://weibo.com/p/1005057377590601|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width=20]]]] || ||<-2> '''{{{#000 우승 기록}}}''' || || '''그랜드 파이널''' (2회, 최다) ||[[2019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19]], [[2020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0]]|| || '''스테이지''' (1회) ||[[오버워치 리그 2019 시즌/스테이지2 결산#s-3.1|2019 스테이지 2]]|| || '''토너먼트''' (2회) ||[[2020 오버워치 리그/5월 난투#s-5.2|2020 5월 난투]], [[2020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s-5.2|2020 카운트다운 컵]]|| ||<-2> '''{{{#000 로스터}}}'''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2>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DAMAGE''' ||<-2>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TANK'''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2>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SUPPORT'''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 [[]]{{{#!wiki style="display:inline;padding:2px 3px;border-radius:3px;background:#000;font" {{{#a5acaf }}}}}} || }}}}}}}}}}}}}}} || ||<-2> '''{{{#000 팀 컬러 및 유니폼}}}''' || ||<-2> {{{#!wiki style="margin: 0 -10px"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2> {{{#a5acaf '''팀 컬러'''}}} || ||<-2> {{{+5 {{{#000 ■}}} {{{#a5acaf ■}}} {{{#fc4b02 ■}}}}}} || ||<-2> '''{{{#a5acaf 2023 시즌 유니폼}}}''' ||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앞).png|width=150]]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뒤).png|width=150]] || || '''{{{#000 앞면}}}''' || '''{{{#000 뒷면}}}''' ||}}}}}}}}}}}} || [include(틀:NRG Esports)]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6px" [[파일:쇼크111.png|width=100%]]}}} || || {{{+1 {{{#a5acaf '''#Winnable | #ShockTheWorld'''}}}}}} || [[오버워치 리그]]에 참가하는 [[샌프란시스코]] 연고팀. [[NRG Esports]]의 설립자 겸 회장인 앤디 밀러가 NRG를 데리고 창설했다. 팀명과 지진계 모양의 팀 로고는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대량의 지진 활동을 나타내기 위함이다. 또한 샌프란시스코의 [[베이 브릿지]]를 뜻하기도 한다. 그래선지 [[시스코]]랑 비슷한 느낌. 팀 컬러중 황금색은 1849년 캘리포니아 골드 러시를 기념하기 위해서 착안하였다. 그 골드 러시때문에 흘러온 중국계 쿨리들이 금이 산처럼 쌓인 곳이란 뜻으로 샌프란시스코를 금산(金山)이라고 부르기도 했다. 2020 시즌부터 황금색을 없애고 검정색, 은색, 주황색으로 변경하였다. 검은색과 은색은 [[오클랜드 레이더스]]에게 경의를 표하는 의미라고 한다. 출범 시즌 스테이지 3이 끝난 5월 7일자로 기존의 Brad 감독을 경질하고 [[보스턴 업라이징]]의 14연승과 스테이지 전승 신화를 쓴 'Crusty' 박대희 코치를 새 사령탑으로 선임하면서 기존 Junkbuck 코치를 제외하고 보드진을 전부 물갈이했다. 약팀을 전전하던 샌프란시스코는 Crusty 선임 이후 강팀으로 환골탈태했다. 기존의 열강체제를 깨뜨리고 리그의 새로운 강팀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쇼크는 2019 시즌에 최고의 한해를 보내었고, NRG 프런트는 좋은 성적을 내준 팀에게 감독, 코치진 그리고 선수진 전원 재계약으로 이를 화답했다..[[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owgenji&no=798912&s_type=search_all&s_keyword=%EC%9E%AC%EA%B3%84%EC%95%BD&page=1|#]] 2019 시즌 플레이오프에서는 애틀란타에게 1패 이후, '''패자 1R부터 그랜드 파이널까지 5연속 4:0 승리'''라는 기염을 토하며 오버워치 리그 두번째 챔피언이 되었고. 2020 시즌 플레이오프에서는 만난 상대를 모두 꺾어내며 오버워치 리그 세번째 챔피언이자 오버워치 리그 최초로 그랜드 파이널 V2 팀이 되었다. 이후 2021-2022 시즌에 걸쳐 밴쿠버 타이탄즈의 정규 시즌 19연승을 꺾고 20연승을 달성해 또다시 새로운 역사를 써냈다. --물론 정규시즌 준우승 2번이나 한 콩라인 아닌 콩라인 타이틀을 얻은건 덤.-- == 수상 기록 == ||<-5> '''{{{#fff 수상 기록}}}''' || ||<-5>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1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1]] 준우승''' || || [[뉴욕 엑셀시어]]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밴쿠버 타이탄즈]] || ||<-5>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2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 2]] 우승''' || || [[밴쿠버 타이탄즈]]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상하이 드래곤즈]] || ||<-5>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3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 3]] 준우승''' || || [[밴쿠버 타이탄즈]]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대회 개편'' || ||<-5> '''[[2019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19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br]'''[[2020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0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우승 ''' || || [[런던 스핏파이어]]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상하이 드래곤즈]] || ||<-5> '''[[2020 오버워치 리그/5월 난투|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북미]] 우승''' || || ''대회 출범''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파리 이터널]] || ||<-5> '''[[2020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북미]] 우승''' || || [[파리 이터널]]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대회 개편'' || ||<-5> '''[[2022 오버워치 리그/미드시즌 매드니스|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준우승''' || || [[필라델피아 퓨전]](동부)[br][[댈러스 퓨얼]](서부)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서울 다이너스티]](동부)[br]'''샌프란시스코 쇼크'''(서부) || ||<-5>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서부]] 준우승'''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미정'' || ||<-5> '''[[2022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2 오버워치 리그 - 그랜드 파이널]] 준우승''' || || [[애틀랜타 레인]] || → || '''샌프란시스코 쇼크''' || → || [[휴스턴 아웃로즈]] || == 대회 기록 == ||<-6>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height=55]] || || 날짜 || 순위 || 대회 || 결과 || 상대 || 상금 || || 2017년 12월 9일 || 4-8위 ||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프리시즌|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프리시즌]] || 1/2 || 풀 리그 || - || || 2018년 6월 17일 || 9위 ||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 정규시즌]] || 17/23 || 풀 리그 || $50,000 || || 2018년 10월 21일 || {{{#fff 패배}}} || 캘리포니아 컵 2018 - 산타애나 || 1:3 ||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20]] LA 발리언트]] || - || || 2018년 11월 11일 || {{{#fff 승리}}} || 캘리포니아 컵 2018 - 오클랜드 || 3:0 || [[LA 발리언트|[[파일:LA 발리언트 로고 1.svg|height=20]] LA 발리언트]] || - || || 2019년 3월 25일 || 준우승 ||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1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1 플레이오프]] || 3:4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0]] 밴쿠버 타이탄즈]] || $100,000 || || 2019년 5월 13일 || 우승 ||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2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2 플레이오프]] || 4:2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0]] 밴쿠버 타이탄즈]] || $200,000 || || 2019년 7월 15일 || 준우승 || [[2019 오버워치 리그/스테이지3 플레이오프|2019 오버워치 리그 스테이지3 플레이오프]] || 3:4 || [[상하이 드래곤즈|[[파일:상하이 드래곤즈 로고 1.svg|height=20]] 상하이 드래곤즈]] || $100,000 || || 2019년 8월 26일 || 2위 || [[2019 오버워치 리그|2019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 23/5 || 풀 리그 || - || || 2019년 9월 30일 || 우승 || [[틀:2019 오버워치 리그/포스트시즌|2019 오버워치 리그 포스트시즌]] || 4:0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0]] 밴쿠버 타이탄즈]] || $1,100,000 || || 2020년 5월 25일 || 우승[*A 정규시즌 3승 추가] || [[2020 오버워치 리그/5월 난투|2020 오버워치 리그 5월 난투 - 북미]] || 4:2 || [[플로리다 메이헴|[[파일:플로리다 메이헴 로고 1.svg|height=20]] 플로리다 메이헴]] || $40,000 || || 2020년 7월 6일 || 4강[* 정규시즌 1승 추가] || [[2020 오버워치 리그/썸머 쇼다운|2020 오버워치 리그 썸머 쇼다운 - 북미]] || 2:3 || [[파리 이터널|[[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0]] 파리 이터널]] || $5,000 || || 2020년 8월 10일 || 우승[*A] || [[2020 오버워치 리그/카운트다운 컵|2020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 북미]] || 4:2 || [[필라델피아 퓨전|[[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0]] 필라델피아 퓨전]] || $40,000 || || 2020년 8월 16일 || 3위 || [[2020 오버워치 리그|2020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 25/3 || 풀 리그 || - || || 2020년 10월 10일 || 우승 || [[2020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0 오버워치 리그 그랜드 파이널]] || 4:2 || [[서울 다이너스티|[[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0]] 서울 다이너스티]] || $1,500,000 || || 2021년 5월 3일 || 6강 || [[2021 오버워치 리그/3주차|2021 오버워치 리그 5월 토너먼트 넉아웃 - 서부]] || 0:3 || [[댈러스 퓨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 || - || || 2021년 6월 7일 || 4강 || [[2021 오버워치 리그/8주차|2021 오버워치 리그 6월 토너먼트 넉아웃 - 서부]] || 0:3 || [[애틀랜타 레인|[[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0]] 애틀랜타 레인]] || - || || 2021년 8월 16일 || 4강 || [[2021 오버워치 리그/18주차|2021 오버워치 리그 카운트다운 컵 넉아웃 - 서부]] || 2:3 || [[LA 글래디에이터즈|[[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 - || || 2021년 8월 21일 || 6위 || [[2021 오버워치 리그|2021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 12/4 || 풀 리그 || - || || 2021년 9월 25일 || 4위 || [[2021 오버워치 리그/플레이오프|2021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 || 1:3 || [[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height=20]] [[애틀랜타 레인]] || $300,000 || || 2022년 6월 5일 || 4위 || [[2022 오버워치 리그/킥오프 클래시|2022 오버워치 리그 킥오프 클래시- 서부]] || 0:3 || [[댈러스 퓨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 || $30,000 || || 2022년 7월 24일 || 준우승 || [[2022 오버워치 리그/미드시즌 매드니스|2022 오버워치 리그 미드시즌 매드니스]] || 2:4 || [[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 $250,000 || || 2022년 9월 12일 || 준우승 || [[2022 오버워치 리그/서머 쇼다운|2022 오버워치 리그 서머 쇼다운 - 서부]] || 0:4 || [[댈러스 퓨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 || $50,000 || || 2021년 10월 16일 || 2위 || [[2022 오버워치 리그|2022 오버워치 리그 정규시즌]] || 20/4 || 풀 리그 || - || || 2022년 11월 05일 || 준우승 || [[2022 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2022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오프]] || 3:4 || [[댈러스 퓨얼|[[파일:댈러스 퓨얼 로고 1.svg|height=20]] 댈러스 퓨얼]] || $500,000 || || 2023년 9월 4일 || 7위 || [[2023 오버워치 리그|2023 오버워치 리그 서부 정규시즌]] || 8/8 || 풀 리그 || - || || 2023년 9월 17일 || 8-9위 || [[2023 오버워치 리그/플레이-인|2023 오버워치 리그 플레이 인 - 서부 ]] || 0:3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0]] 밴쿠버 타이탄즈]] || - || [include(틀:샌프란시스코 쇼크/역대 시즌)] === [[/출범 시즌|출범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샌프란시스코 쇼크/출범 시즌)] === [[/2019 시즌|2019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샌프란시스코 쇼크/2019 시즌)] === [[/2020 시즌|2020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샌프란시스코 쇼크/2020 시즌)] === [[/2021 시즌|2021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샌프란시스코 쇼크/2021 시즌)] === [[/2022 시즌|2022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샌프란시스코 쇼크/2022 시즌)] === [[/2023 시즌|2023 시즌]]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샌프란시스코 쇼크/2023 시즌)] == 로고 변천 ==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2.svg|width=75]]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width=75]]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width=75]] || || '''{{{#d7c152 2018}}}''' || '''{{{#fc4c01 2019}}}''' || '''{{{#a5acaf 2020~}}}''' || === 우승 스킨 ===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1.svg|width=100]] || || '''{{{#fc4c01 {{{+2 2019 시즌}}}}}}'''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둠피스트 천둥.png|width=100%]]}}} || || '''[[둠피스트|{{{#d7c152 둠피스트}}}]]''' || || '''{{{#fc4c01 {{{+3 천둥 (Thunder)}}}}}}''' || || [[파일:샌프란시스코 쇼크 로고 3.svg|width=100]] || || '''{{{#a5acaf {{{+2 2020 시즌}}}}}}'''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로드호그 미다스.png|width=100%]]}}} || || '''[[로드호그|{{{#000 로드호그}}}]]''' || || '''{{{#a5acaf {{{+3 마이다스 (Midas)}}}}}}''' || == 구성원 == 3월 14일 전 X6 게이밍 출신인 [[박민호(프로게이머)|Architect]]와 moth의 공식 영입 소식을 밝혔다. [[https://twitter.com/SFShock/status/973634922278719490?s=20|#]] 이로써 선수, 코치진에 한국인이 한명도 없던 마지막 리그 팀였던 샌프란시스코 역시 한국 선수를 영입하게 되었다. 이후 어느 정도 괄목할만한 성적 향상을 보여주어 하위권 팀에서 중위권으로 안착하는데 성공하였다. Crusty 코치가 감독으로 임명이 되면서 전 코치였던 Brad(Sephy), Dillain Odeneal(LegitRc)는 팀을 Last Night's Leftovers로 옮기게 되었다. 또한 보스턴 업라이징과 함께 런던 스핏파이어마냥 선택과 집중을 택하며 팀의 발목을 잡던 엔트리를 방출하고 주전 엔트리를 다시금 만들었다. 12월 3일, 보스턴 업라이징의 선수였던 스트라이커 선수의 이적이 발표되었다. 과거 보스턴의 코치진이었던 크러스티 감독의 영향이 있었는지 이적 발표 영상에서 요리를 하는 크러스티가 뭔가 부족한 걸 느끼고 재료를 찾다가 스트라이커라고 적힌 향신료를 찾고 감탄하며 골라오는 연출을 하기도. Viol2t 영입 당시 대리 논란을 알고도 모른 척 영입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이야기가 있었다. 허나 이후 밝혀진 바로는 돈 목적이 아니라 경쟁전 매칭이 오래 걸려서[* 본인의 계정이 1페이지에 오르자 매칭 시간이 오래 걸렸다고 한다.] 가족 계정을 쓴 것이 문제가 된 것이서 구단 측에서도 충분히 감수할 만한 사항이다. 유독 사연 있는 선수들이 많은 팀이기도 하다. 불우한 가정사에도 불구하고 깨끗한 프로생활을 유지했던 아키텍트, 비숍과 Kyky라는 리그 최악의 코치들에게 2연속으로 걸려 많은 고생을 했던 라스칼, 복지가 최악인 보스턴에서 갈등과 고생을 겪고 크러스티와 함께 이적한 스트라이커 등. 때문에 이런 선수들을 응원하던 팬들은 꼭 샌프란을 응원하지 않아도 샌프란시스코의 승승장구를 긍정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Proper 합류 이후, 대리 이슈에선 깨끗하다 믿었지만 결국 눈총을 받게 되었는데 Proper의 경우 OGE처럼 과거를 반성하기보단 면피성 사과와 구단의 비호와 친맥으로 언플도 받으며 프로생명을 이어왔기에 영입에 비판, 비난의 목소리 자체가 커지게 되었다. === 로스터 연혁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8> '''{{{#a5acaf 로스터 연혁}}}''' || || 번호 ||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 ---2--- || ---sinatraa---[* 성폭행 사건으로 구단에서 제명당했다] || ---[[제이 원]]---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파일:Selfless_Gaming_2.png|width=25]] Selfless Gaming ||<|9> 2017년 9월 29일 || 2020년 4월 29일 || [[Sentinels/발로란트|[[파일:Sentinels.png|width=25]] Sentinels]] {{{-3 [[발로란트]]}}} || || 6 || Danteh || [[단테 크루즈]]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파일:Arc6_logo_new.png|height=25]] Arc 6 || 2018년 9월 19일 || [[휴스턴 아웃로즈|[[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width=25]] 휴스턴 아웃로즈]] || || 13 || babybay || [[안드레이 프란시스티|안드레이[br]프란시스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파일:kungarna2.png|width=25]] Kungarna || 2019년 4월 3일 || [[애틀랜타 레인|[[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width=25]] 애틀랜타 레인]] || || 66 || IDDQD || [[안드레 달스트룀|안드레[br]달스트룀]]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NRG Esports/오버워치|[[파일:NRG_Esports.png|height=20]] NRG Esports]] ||<|2> 2018년 8월 23일 || ''은퇴'' || || 7 || nomy || [[다비드 라미네즈]]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0]] || [[Immortals|[[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300px-Immortalslogo_square.png|width=25]] Immortals]] || [[파일:600px-GOATS_logo_new_2018.png|height=25]] GOATS || || 1 || super || [[매튜 델리시]]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Luminosity Gaming#s-3.2|[[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Luminosity_Gaming_Evil.png|width=25]] LG Evil]] || 2022년 3월 28일 || ''은퇴'' || || 9 || Nevix || [[안드레아스 카를손|안드레아스[br]카를손]]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Cloud9 EU|[[파일:Cloud9 아이콘.svg|height=25]] Cloud9 EU]] || 2019년 10월 10일 ||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 || 0 || sleepy || [[니콜라 앤드류스|니콜라[br]앤드류스]]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Tempo Storm#s-3.3|[[파일:external/wiki.teamliquid.net/TempoStorm-logo.png|width=25]] Tempo Storm NA]] || 2019년 4월 20일 || [[워싱턴 저스티스|[[파일:워싱턴 저스티스 로고 1.svg|width=25]] 워싱턴 저스티스]] || || 10 || dhaK || [[다니엘 마르티네스 파즈|다니엘[br]마르티네스 파즈]]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파일:Selfless_Gaming_2.png|width=25]] Selfless Gaming || 2018년 8월 23일 || ''은퇴'' || || 3 || Architect || [[박민호(프로게이머)|박민호]]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X6-Gaming/오버워치|[[파일:x6-gaming.png|width=30]] X6-Gaming]] || 2018년 3월 14일 || 2020년 5월 18일 || [[항저우 스파크|[[파일:항저우 스파크 로고 1.svg|width=25]] 항저우 스파크]] || || 64 || moth || [[그랜트 에스피]]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업라이징 아카데미|[[파일:Toronto_Esports_Logo.png|width=25]] 토론토 e스포츠]] || 2018년 3월 15일 || 2020년 11월 13일 || [[LA 글래디에이터즈|[[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 || 11 || Choihyobin || [[최효빈]]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X6-Gaming/오버워치|[[파일:x6-gaming.png|width=30]] X6-Gaming]] || 2018년 4월 6일 || 2021년 10월 15일 || ''은퇴'' || || 5 || smurf || [[유명환(프로게이머)|유명환]]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OpTic Gaming#s-3.3|[[파일:GGEA.png|width=15]] GG Esports Academy]] || 2018년 9월 19일 || 2021년 10월 10일 || [[서울 다이너스티|[[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height=25]] 서울 다이너스티]] || || 27 || Rascal || [[김동준(프로게이머)|김동준]]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NRG Esports/오버워치|[[파일:NRG_Esports.png|height=20]] NRG Esports]] || 2018년 9월 26일 || 2020년 10월 25일 || [[필라델피아 퓨전|[[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width=25]]필라델피아 퓨전]] || || 17 || Viol2t || [[박민기(프로게이머)|박민기]]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O2 Blast|[[파일:O2_Ardeont_logo.png|width=25]] O2 Ardeont]] || 2018년 10월 25일 || 2023년 2월 21일 || [[휴스턴 아웃로즈|[[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휴스턴 아웃로즈]] || ||<|3> 7 ||<|3> STRIKER ||<|3> [[권남주]] ||<|3>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보스턴 업라이징]] || 2018년 12월 4일 || 2021년 6월 24일 ||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보스턴 업라이징]] || ||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보스턴 업라이징]] || 2022년 9월 29일 || 2022년 11월 12일 ||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보스턴 업라이징]] || ||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보스턴 업라이징]] || 2023년 7월 14일 || || || ||<|2> 10 ||<|2> ANS ||<|2> [[이선창]] ||<|2>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GoinWaterS2|[[파일:GoinWaterS.png|height=25]] GoinWaterS2]] || 2019년 12월 24일 || 2021년 1월 9일 || [[T1/발로란트|[[파일:T1 LoL 로고.svg|width=25]] T1]] {{{-3 [[발로란트]]}}} || || [[T1/발로란트|[[파일:T1 LoL 로고.svg|width=25]] T1 Academy]] {{{-3 [[발로란트]]}}} || 2021년 6월 24일 ||<|6> 2021년 10월 10일 || [[LA 글래디에이터즈|[[파일:LA 글래디에이터즈 로고 1.svg|height=20]] LA 글래디에이터즈]] || || 13 || Twilight || [[이주석(프로게이머)|이주석]]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5]] 밴쿠버 타이탄즈]] || 2020년 5월 18일 ||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 || 47 || ta1yo || [[션 타이요 헨더슨]]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JUPITER(프로게임단)/오버워치|[[파일:600px-JUPITER.png|height=25]] JUPITER]] || 2020년 7월 23일 || 은퇴 || || 27 || FDGod || [[브라이스 몬사부아르]]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파리 이터널|[[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파리 이터널]] || 2020년 11월 13일 || [[파일:Team Peps.png|width=20]] Team Peps || || 42 || nero || [[찰리 즈와그]]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광저우 차지|[[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height=25]] 광저우 차지]] || 2020년 12월 1일 || [[애틀랜타 레인|[[파일:애틀랜타 레인 로고 1.svg|width=25]] 애틀랜타 레인]] || || 26 || Glister || [[임길성]]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런던 스핏파이어|[[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런던 스핏파이어]] || 2020년 12월 2일 || [[파리 이터널|[[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파리 이터널]] || || 77 || Proper || [[김동현(2003년 12월)|김동현]]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3> [[O2 Blast|[[파일:O2 BLAST 2019 logo.png|height=25]] O2 Blast]] ||<|3> 2021년 10월 29일 || || || || 37 || kilo || [[정진우(2003)|정진우]]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2022년 11월 18일 || [[SLT/오버워치|[[파일:SLT 로고.svg|height=20]] SLT]] || || 99 || FiNN || [[오세진(프로게이머)|오세진]]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 || || 13 || s9mm || [[사무엘 산토스]]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 [[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height=20]] Redbird Esports || 2021년 11월 5일 ||<|3> 2022년 11월 12일 ||<|2>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 || 7 || Coluge || [[콜린 아라이]]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파일:Maryville Esports logo.png|height=20]] Maryville Esports || 2022년 3월 28일 || || 3 || mikeyy || [[마이클 코닉키]]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파일:Bobby Wasabi logo.png|height=20]] Bobby Wasabi || 2022년 6월 10일 || || || 33 || HeeSang || [[채희상]]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2> [[O2 Blast|[[파일:O2 BLAST 2019 logo.png|height=25]] O2 Blast]] ||<|3> 2022년 12월 27일 || 2023년 7월 12일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0]] 밴쿠버 타이탄즈]] || || 11 || MAX || [[최수민(프로게이머)|최수민]]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 || || || 23 || Vindaim || [[박준우(프로게이머)|박준우]]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서울 다이너스티|[[파일:서울 다이너스티 로고 1.svg|width=25]] 서울 다이너스티]] || 2023년 7월 13일 || || || 5 || Junbin || [[박준빈]] ||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25]] ||<|2> [[O2 Blast|[[파일:O2 BLAST 2019 logo.png|height=25]] O2 Blast]] || 2023년 2월 23일 || || || 5 || Probe || [[정준영(2005)|정준영]] || [[파일:overwatch_role_icon_offense.png|height=25]] ||<|3> 2023년 7월 13일 || || || || - || Renko || [[스티븐 소스도]]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일리노이 주립대학교|[[파일:Redbird_Esports_logo_allmode.png|width=25]] 일리노이 주립대학교]] || || || || 17 || Lukemino || [[루크 피쉬]] || [[파일:overwatch_role_icon_support.png|height=25]] || [[베이거스 이터널|[[파일:베이거스 이터널 로고 1.svg|width=25]] 베이거스 이터널]] || || || }}} === 스태프 연혁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7> '''{{{#a5acaf 스태프 연혁}}}''' || || ID || 이름 || 역할 || 이전 소속 || 입단 || 탈퇴 || 이적 || || impulsivE || 데릭 트렁 || 단장 || [[NRG Esports|[[파일:NRG_Esports.png|height=20]] NRG Esports]] ||<|2> 2017년 7월 13일 || 2019년 5월 7일 || || || bikeage || 제이미 코헨카 || 부단장 || ''N/A'' || || || || Brad || 브래드 라자니 || 감독 || [[NRG Esports/오버워치|[[파일:NRG_Esports.png|height=20]] NRG Esports]] || 2017년 9월 29일 ||<|2> 2018년 5월 8일 || [[파일:600px-Last_Nights_Leftovers_logo_v2.png|width=25]] Last Night's Leftovers {{{-3 코치}}} || || LegitRc || 딜라인 오데닐 || 코치 || [[Cloud9 EU|[[파일:Cloud9 아이콘.svg|height=25]] Cloud9 EU]] || 2017년 11월 16일 || [[파일:600px-Last_Nights_Leftovers_logo_v2.png|width=25]] Last Night's Leftovers || || harsha || 하샤 반디 || 분석 || ''N/A'' || 2017년 12월 1일 || 2018년 9월 18일 || [[밴쿠버 타이탄즈|[[파일:밴쿠버 타이탄즈 로고 1.svg|height=25]] 밴쿠버 타이탄즈]] {{{-3 코치}}} || || Junkbuck || 최재원 || 코치 || [[보스턴 업라이징#s-6|[[파일:Toronto_Esports_Logo.png|width=25]] 토론토 e스포츠]] || 2018년 2월 13일 || 2020년 10월 16일 || [[휴스턴 아웃로즈|[[파일:휴스턴 아웃로즈 로고 1.svg|height=25]] 휴스턴 아웃로즈]] {{{-3 감독}}} || || Thugnasty || 크리스 충 || 단장 || ''N/A'' ||<|3> 2018년 5월 8일 || || || || Crusty || [[박대희]] || 감독 || [[보스턴 업라이징|[[파일:보스턴 업라이징 로고 1.svg|width=25]] 보스턴 업라이징]] || || || ||<|2> NineK ||<|2> [[김범훈(e스포츠)|김범훈]] ||<|2> 코치 || [[NRG Esports/오버워치|[[파일:NRG_Esports.png|height=20]] NRG Esports]] || 2019년 10월 19일 || [[파리 이터널|[[파일:파리 이터널 로고 1.svg|height=25]] 파리 이터널]] {{{-3 단장}}} || || [[필라델피아 퓨전|[[파일:필라델피아 퓨전 로고 1.svg|height=25]] 필라델피아 퓨전]] {{{-3 감독}}} || 2021년 10월 13일 || || || || Alined || 다니엘 리 || 분석 || [[플로리다 메이헴#s-5|[[파일:600px-Mayhem_Academy.png|width=25]] 메이헴 아카데미]] [[파일:overwatch_role_icon_tank.png|height=15]] {{{-3 TANK}}} ||<|2> 2018년 12월 7일 ||<|2> 2019년 6월 ||<|3> ''은퇴'' || || Merci || 티파니 체이 || 분석 || ''N/A'' || || shu || 사우라브 갓쉬 || 분석 || [[파일:Young_and_Beautiful.png|width=20]] Young and Beautiful {{{-3 코치}}} || 2019년 1월 4일 || 2019년 7월 25일 || || arachne || 이지원 || 코치 || [[Talon Esports/오버워치|[[파일:600px-Talon_Esports_logo_2019.png|width=25]] Talon Esports]] {{{-3 감독}}} || 2019년 11월 15일 || 2020년 10월 29일 || [[광저우 차지|[[파일:광저우 차지 로고 1.svg|height=25]] 광저우 차지]] {{{-3 감독}}} || || Casores || 카스 반 안델 || 코치[* 분석 → 수석 코치로 2020년 10월 26일 직책 이동.] || [[파일:Young_and_Beautiful.png|width=20]] Young and Beautiful {{{-3 감독}}} || 2020년 9월 15일 || 2022년 11월 15일 || [[토론토 디파이언트|[[파일:토론토 디파이언트 로고 1.svg|width=20]] 토론토 디파이언트]] {{{-3 감독}}} || || Agape || 홍철용 || 코치 || [[런던 스핏파이어|[[파일:런던 스핏파이어 로고 1.svg|height=25]] 런던 스핏파이어]] || 2020년 10월 26일 || 2021년 6월 18일 || || || byZenith || 알렉스 아메스 || 코치 || ''N/A'' || 2021년 8월 4일 || 2021년 10월 08일 || ''N/A'' ||}}} == 기타 == * 화기애애한 팀 분위기와는 별개로 연습과 코칭에 한해서는 굉장히 진지하고 무거운 분위기인 것으로 유명하다. 다른 팀들의 경우 보통 오전 스크림은 가벼운 마음으로 임하고 후반에 템포를 끌어올리는 경우가 많은 반면 샌프란시스코는 오전 9시 1세트부터 전심전력으로 임하기 때문에 조금만 마음을 놓아도 박살이 난다는 상대팀의 증언이 있다. 또한 크러스티 코치 본인도 인정한 바에 따르면 코칭에 조금만 잘 따르지 않아도 선수들이 울 정도로 호되게 야단을 친다고 한다. 쇼크의 한번 갈피를 잡으면 무조건 압도하는 기복 없는 실력에는 이런 규율이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 처음에는 다국적 팀이었는데, 점점 한국인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2020시즌 후반에 일본 미국 이중국적자 [[션 타이요 헨더슨|ta1yo]]를 영입하면서 리그 최초로 일본인을 보유한 리그 팀이 되었고, 2022 시즌 이후엔 창단 이래 한창이던 때 영입되어 유일하게 잔류한 준원년급인 바이올렛의 컨텐더스 시절 친정 팀인 O2 Blast가 아카데미 체결 및 기존 에이스 멤버 핵심 라인 상당수의 리그 콜업으로 다시 한국인-미국인 로스터로 구성이 변하며 전성기 때 구성과 비슷하게 돌아갔다. * 창단 멤버로는 [[매튜 델리시|super]]가 남아있었으나 2022년 3월 28일 은퇴를 하면서 더이상 남아있지 않고 준원년급 선수로 대우받는 것은 이제 [[박민기(프로게이머)|Viol2t]] 한 사람 뿐이었는데, 그 선수마저 휴스턴으로 이적하면서 더 이상 터줏대감급 선수들의 전통은 리그에서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 출범 시즌 === * 한때 레딧을 뜨겁게 달궜던 [[제이 원|15만 달러짜리 계약]]이 바로 여기서 나왔으며 스크림에서 댈러스와 견줄정도로 막강한 경기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하지만 핵심 전력인 시나트라가 나이 제한때문에 빠져 [[오버워치 리그 출범 시즌/프리시즌|출범 시즌 프리시즌]]에서는 크게 좋은 성적을 거두지는 못했다. * 리그에 참가하기도 전에 구설수가 터질 뻔했다. 11월 6일 코치였던 Maxwell Bateman이 트위치 스트리머를 성추행하는 사건이 터졌으며 NRG측에서는 바로 해고했다고 한다. === 2021 시즌 === * [[뉴욕 엑셀시어]], [[상하이 드래곤즈]], [[서울 다이너스티]], [[밴쿠버 타이탄즈]], [[런던 스핏파이어]], [[파리 이터널]], [[워싱턴 저스티스]]와 함께 대리기사 출신 선수가 아예 거쳐가지 않은 팀 중 하나였다.[* [[박민기(프로게이머)|Viol2t]]이 대리 문제로 징계를 받은 전적이 있으나, 대리기사가 아니라 팀 차원 연습용으로 할아버지 명의의 계정을 쓴 게 문제가 돼서 징계를 받았기 때문에 논외.] 그러나 2022 오프시즌에서 Proper가 들어오며 이젠 아니게 되었다. === 2022 시즌 === * 위의 Proper 선수 영입 논란으로 뜨겁던 와중에 대리기사 이력 및 계정 거래 전적이 있는 coluge 선수가 영입된 탓에 현재 대리기사 출신들에 대한 분노가 여전한 국내 팬덤 내부의 팬층들에겐 과거 Happy, shu 및 대리랭 옹호 논란이 한창이던 [[정승민|Tydolla]]가 코칭스태프로 재직 중이던 시절의 초기 [[광저우 차지]] 이상으로 이미지가 나빠지게 되었다. * 이번 로스터 주축 선수들 이미지와 별개로 가끔 삐걱거리거나 기복이 올 땐 있어도 크러스티 스타일의 코칭이나 전략과 누구보다 잘 맞을 것이란 평가를 들을 만큼 피드백 흡수력이 뛰어난 O2 Blast 출신 선수들의 로스터가 팀의 주축이 된 만큼 매우 펼칠 역량이 기대된다는 팬들이 많다. * 쇼크는 과거와 달리 2022 시즌 들어 팬덤에 문제가 생겼는데, [[O2 Blast]] 출신 선수들 주축 로스터가 대거 넘어온 2022 시즌부터 일부 극성팬들이 현재 그 중점이 되고 있다. 전부터 2020 시즌 이래 공고해진 우승 팀 스타덤이 있어 극성팬과 극성 안티들이 모습을 내비춰도 이상하지 않았으나 2021 시즌까진 쇼크 소속이던 super, nero 등의 주요 선수진 측의 외국 팬덤 영향으로 전반적 팬덤 성향이 매우 온건하고 유쾌했다. 그런데 리그 2022 오프시즌 전후로 super를 포함한 팀 주축 멤버들의 연이은 이적/은퇴 등으로 바이올렛을 제외한 선수들이 전부 갈려나가며 결국 바이올렛만이 잔류하자, 이에 쇼크가 O2와 상호간 아카데미 팀 협약을 체결하며 컨텐더스 코리아 2회 연속 우승 커리어 스타덤을 가진 O2 출신 선수들을 대거 콜업한 때부터 팬덤 지각변동이 생겨 O2의 주 팬덤이 고스란히 넘어오게 되었는데 전체적인 팬덤 구성원 중 열성/초강성팬의 비율이 높은 O2 팬층 특성 상 결국 쇼크 역시 이 과정에서 이전엔 눈에 띄지 않았던 극성 안티들과 극성 팬덤이 생겨났다.[* 사실 [[오버워치 APEX]] 때부터 한국 오버워치계 스타덤 팀들의 역대 팬덤들은 한국 문화 특성 상 워낙 강성도가 짙었다. 거기에 현 쇼크 모체인 O2 자체가 한국 오버워치계 1군 중 유일하게 생존한 원년 명문팀이라 2020 시즌 2 이래 강호 팀들의 해체 및 주축 멤버 기량 상승으로 계속해서 트로피를 들어올리자 점점 팬덤 내에 극성팬들이 쌓였고, 곧 그들이 러너웨이와 구나틱 팬덤 등 수많은 초강성 팬덤들이 거쳐온 빈자리를 꿰찬 것. 그 O2 출신 선수들이 대거 쇼크로 가자 고스란히 팬덤도 함께 넘어온 것이다. 하지만 O2식 인사정책 탓에 구단과 팬덤의 갈등이 깊어지며 팬덤도 갈렸고, 이들의 구성은 자연스럽게 O2 시절 에이스로 스타덤을 쌓은 Proper, kilo, FiNN의 팬들이 그 주축이 된다. 요약하면 '''O2의 극성팬 출신들 중심으로 뭉친 분파'''라 할 수 있다.(한때 러너웨이 팬덤도 러너웨이 해체 후 멤버 통합으로 넘어왔으나 O2의 인사정책에 반발한 이들이 러너웨이 출신 팬덤 내 주류였기에 기존 O2 팬덤 주변에서 겉돌며 파편화, 리그에서 멤버들의 행선지가 갈리자 거의 다 빠져나간 탓에 실질적 메인은 O2 출신 팬덤이다.)][* 이들의 행동력과 맞먹는 서울 팬덤은 리그 초부터 서울에게 무관의 시절이 길어진데다 오버워치 하락세로 옛 [[Lunatic-Hai/오버워치|Lunatic-Hai]] 출신 선수들의 잦은 이적/은퇴 및 타 팀에서의 선수 유입 등으로 이젠 팬덤조차 점점 분화되고 전반적으로 갈려나가며 사실상 현재로선 열성팬 응원단 정도로 레벨이 내려간 탓에 가끔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지능안티와 극성팬들의 코멘트가 달리긴 하지만 옛날에 비해 전체적인 강성도가 시간에 따라 점점 희석되다 안티 용어도 밈화까지 된 데 반해, 쇼크 측의 일부 극성팬들은 그런 반대급부로 시간이 갈수록 기존 팬덤에다 유입층이 뭉쳐들면서 계속해서 강성도가 그에 정비례해서 올라가는 환장의 콜라보를 보인 탓에 언행 수위 역시 이전 서울 극성팬들조차 이러진 않았다며 비판받고 있다.] 이 탓에 비록 팬덤 구성이 점점 갈려도 적어도 응원 매너만큼은 서로 잘 지키자는 추세임에도 불구하고 쇼크의 극성팬들은 여전히 댓글창에서 예전처럼 각종 어그로를 끌며[* 이게 무시 못할 심각한 문제 중 하나인데, 어느 팬덤이나 시청자가 선수들이 보인 플레이 자체에 대한 지적을 하면 다같이 입버워치만 하는 [[좆문가|방구석 전문가]]라며 폄하하는 이들이 각 팀들 팬덤 안에 고착화된 것도 문제긴 하나 이런 것은 다른 네임드 팬들 중에선 가끔씩이나 있는 정도인데 이번 분기 쇼크에선 아카데미 팀인 O2 팬덤에서 넘어온 복합적 팬층 중에서도 하필 강성팬들을 같이 물려받은 탓에 그 행동 수위가 유독 심각하다. 예시로 쇼크 선수들의 플레이를 조금만 지적하면 '''"님 티어 어디임?"''' 등의 속칭 '''계급장 달기'''를 시전하거나 '''"우리팀 선수들 외엔 다 아래다!"''' 란 식의 자기 팀 제일주의식 코멘트를 다는 등의 다소 모욕적/도발적인 채팅 문화로 타 팀 팬덤들을 상대로 한 분란 선동까지 조장하는 등 가히 눈살을 찌푸리게 만드는 행동만을 지속하고 있다.] 강세를 부리는 탓에 앞으로 쇼크의 팬덤 문화가 이러한 진통의 과정을 통해서 어느 정도 온건하게 변하려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나, 특히 Proper의 극성 팬덤이 현 쇼크의 팬덤 주축으로 자리잡아 악질적인 '''대리 옹호와 분탕질을 일삼으며 기존 팬덤과 첨예히 대립하고 있어서''' 쇼크의 멤버 주축이 갈리기 전까진 상당한 골칫거리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 스폰서 == || [[파일:Netgear_logo.jpg|width=220]] || [[파일:logo-ucberkeley.png|width=220]] || [[파일:Nighthawk-Pro-Gaming-Logo_1.png|width=220]] || || '''{{{#a5acaf 넷기어}}}''' || '''[[캘리포니아 대학교/버클리 캠퍼스|{{{#a5acaf UC 버클리 캠퍼스[* 상호협력관계]}}}]]''' || '''{{{#a5acaf Nighthawk Pro Gaming}}}''' || || [[파일:external/www.komplett.no/Logitech-G-logo-banner.png|width=220]] || [[파일:Sony_Crackle_(Horizontal).png|width=100%]] || [[파일:Sennheiser-logo-new.png|width=100%]] || || '''[[로지텍 G|{{{#a5acaf 로지텍 G}}}]]''' || '''[[SONY|{{{#a5acaf Sony Crackle}}}]]''' || '''[[젠하이저|{{{#a5acaf 젠하이저}}}]]''' || || [[파일:마블 스튜디오 로고.svg|width=220&theme=light]][[파일:마블 스튜디오 로고 화이트.svg|width=220&theme=dark]] || [[파일:맥도날드 로고.svg|width=80]] || [[파일:White_line.png|width=100%]] || || '''[[마블 스튜디오|{{{#a5acaf 마블 스튜디오}}}]]''' || '''[[맥도날드|{{{#a5acaf McDonald's}}}]]''' || '''[[|{{{#a5acaf }}}]]''' || == 서포터즈 클럽 == ||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fshockwavescat.png|width=100%]]}}} || || '''{{{+1 {{{#a5acaf San Francisco Shockwaves}}}}}}''' || == 아카데미 팀 == === [[NRG Esports/오버워치|NRG 이스포츠]] === 샌프란시스코 쇼크의 '''모태'''가 된 팀이자, 산하의 아카데미[* 2019년 5월 8일 해체.] 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NRG Esports/오버워치)] === [[O2 Blast]] === 2022 샌프란시스코 쇼크의 로스터 기반이 된 팀이자 샌프란시스코 쇼크의 새로운 아카데미 팀.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O2 Blast)] == 둘러보기 == [include(틀:오버워치 리그/그랜드 파이널 우승)] == 관련 문서 == * [[틀:오버워치 프로게임단]] * [[오버워치 리그]] [[분류:샌프란시스코 쇼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