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군의 전쟁범죄)] >[[헤이세이 시대|헤이세이]] 8년([[1996년]]), 중학교의 역사 교과서가 일제히 ‘[[위안부 문제|종군위안부]]’라는 용어가 나타난 것이 큰 계기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단어가 중학생 뿐만 아니라 어른들에게 지속적으로 주입되어 계속 사용된다면, 일본인의 마음에 달래기 어려운 상처를 주고, 일본 사회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습니다. > >‘새역모’의 운동은 교과서의 기술의 문제만이 아니고, ‘자학사관’[* 새역모를 비롯한 일본 극우에서는 기존의 사관을 자학사관이라는 식으로 폄하한다.]의 비판과 극복이라는 테마를 일본 사회에 뿌리내리게 한 것입니다. 앞에 서술한 ‘종군위안부’가 교과서에서 사라진 일은 최근의 구체적인 성과이며, [[난징 대학살 사건|남경사건(남경대학살)]]에서도 ‘새역모’는 그 진상 규명에 큰 역할을 남겼습니다. [[히메유리 학도대|오키나와 집단자결]]에서도, 그 진상을 ‘새역모’가 솔선하여 현지 답사를 통해 진실을 밝혀냈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앞으로도 ‘새역모’가 솔선하여 행하지 않으면 안됩니다. > >이쿠호사는 말할 필요도 없이, 일찍이 ‘새역모’의 교과서를 발행했던 후소사의 자회사로, 교과서의 집필 멤버도 일찍이 ‘새역모’에 속했던 사람들을 중심으로 구성된 ‘교육재생기구’의 멤버가 집필하였습니다. > > - 2011년 9월 5일 스기하라 세이시로 회장 취임식 연설문 [목차] == 소개 ==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新しい歴史教科書をつくる会) 한국측에서 주로 쓰는 약칭은 새역모이고 일본측에선 만드는 모임이라는 뜻의 츠쿠루카이(つくる会)를 자주 쓴다. 한마디로 '''자신의 국가와 민족에 유리한 역사'''를 만드는 단체다. [[일본의 역사왜곡]]을 주도하고 있는 [[극우]] 단체다. 그 이름답게 일본 고등학교 과정에서 쓰는 역사 교과서를 편찬하는 모임이다.(물론 검정이니까 일부 학생들만 본다.) 문제라면 이들이 마쓰모토 겐이치 선생이 말하는 '''일본 극우의 진면모와 타락상을 보여주는 진짜배기 [[수구꼴통]] [[인면수심]]'''이라는 점. '''[[태평양 전쟁|대동아전쟁]]에서 아시아를 위해서 총대를 멘 [[일본 제국|대일본제국]] 만세!'''가 그들의 이념이다. 일본 교과서 개정 때마다 왜곡 수준을 넘어선, 거의 황당무계한 주장을 실은 교과서를 제출하여 [[한국]]과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권에 [[충격과 공포]], 그리고 강력한 짜증을 유발시키고 있다. 뉴스에 나오는 왜곡 교과서 논란의 근본 원인. [[http://m.blog.naver.com/minjune98/221767735706|대표적인 새역모 교과서인 지유샤 교과서의 역사왜곡 내용들]]. 다만 모든 일본 사람들이 이들을 지지하는 건 아니라서, 대부분의 일본 사람들은 '''저 꼰대들은 왜 저럼?'''이라는 반응이고, 지식인 층에서도 '''저것들이 제정신이냐?'''라면서 까고 있다.[* 재일교포 [[강상중]]교수가 도쿄대 교수 시절, TV에 나와 '도쿄대에 입학하고 싶은 수험생은 이 책을 쓰지 않는 게 좋을 것이다. '''이런 엉터리 교과서로 도쿄대 입시에 합격할 수 있을 수 같냐?''' 라고 일갈한 적이 있다. 도쿄대 본고사에서 일본사는 단순히 객관식이나 빈칸 채우기 정도의 문제는 아예 나오지 않는다. '''논술식''' 문제이므로 수험자의 사관(史觀)이 드러날 수 밖에 없다. 그러므로 단순히 비아냥이라기 보다 [[팩폭]]에 가까운 발언] 하지만 핵심 인사들이 정/재계에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고 있는 탓에 그 세력이 수그러들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한국을 충격과 공포에 빠뜨린 후쇼샤[* 참고로 [[산케이신문|후지산케이]] 계열 자회사다. 주요 간행물로는 주간지인 SPA!가 있다. 물론 이 잡지도 일본 극우 성향이 배어있어서 [[고바야시 요시노리]]의 유명작인 고마니즘 선언이 거쳐간 잡지이기도 하다. 후쇼샤 이전에는 리빙매거진이라는 사명을 썼었다.]의 "새로운 역사교과서"는 2007년 '''채택률 부진으로 발행 중단'''됐다.[* 단, 내용이 형편없어서 채택되지 못했다기 보다는 어차피 일본의 역사교과서는 야마카와 출판사(山川出版社)의 독점체제인데 저 정도의 파장 정도로 야마카와 출판사의 아성을 넘기는 처음부터 불가능했던 게 사실에 가깝다.] 결국 일본 내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사상의 집단인 것이다. 이미 2001년에는 신좌파 중 혁명적노동자당 건설을 지향하는 해방파전국협의회(전협파)가 사무실 방화 사건을 일으키기도 했다. 니시오 간지와 함께 새역모를 만든 후지오카 노부카즈[* 새역모의 이론가로 전 도쿄대 교육학부 교수, 그의 제자들이 문부과학성 요직에 상당수 포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타쿠쇼쿠대학]] [[교수]]가 회장직을 오랫동안 역임했으나 지유샤 교과서 채택율 부진과 더불어 역사 교과서 연표가 도쿄 서적 역사 교과서 연표를 표절했다는 사실이 드러나 2011년 9월 5일 사퇴하고, 그 뒤를 스기하라 세이시로 무사시노 대학원 교수가 이었다. 참고로 이 인간들은 자신들의 사관을 [[제3의 위치|제3의 길이라고 칭하고 있다.]] 왜냐하면 그들의 주장에 따르면 좌익 사관은 소련 [[코민테른]] 사관이며, 우익 사관은 미국 [[극동국제군사재판|도쿄 재판]] 사관이라 그렇다고 주장한다. 다만 일본에서 [[국수주의]] 성향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세가 조금씩 커지고 있다고는 하지만, 곧이곧대로 믿으면 곤란하다. 일본이 누구나 다 안다는 이유로 근대사 자체를 잘 안 가르치는 경향이 있어 젊은 층들은 전 세대들의 역사를 잘 모르는데다가, 새역모가 "우리가 알고 있던 기존의 역사는 다 거짓말이다! 겁에 질려 아무도 말하지 않았던 우리의 진실된 역사를 용기있게 말하련다!"라는 식의 역사에 대해 평소에 관심은 있으나 관련 자료를 찾아 보지는 않는 사람들이 쉽게 혹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선동하며 사람들을 끌어들이기에 잘 먹히는 듯. 하지만 새역모 교과서의 채택률이 상당히 낮은 것은 함정. 2020년, 문부과학성은 교과서 검정에서 이례적으로 모든 새역모 교과서를 전부 불합격시켰다. 극히 이례적이라고 한다.[[https://www.asahi.com/sp/articles/ASN2P7456N2PUTIL049.html|#]] 2022학년도 새역모 중등부 사회 교과서는 채택률이 112만부 중 435부로 사실상 채택되고 있지 않다.[[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2816530?sid=100|#]] == 관련 인물 == * 대표적 멤버 * --[[아베 신조]]--[* [[아베 신조 피살 사건|2022년 7월 8일 사망]].] - 前 일본 총리 * --[[이시하라 신타로]]--[* 2022년 2월 1일 사망.] - 前 [[도쿄]] 도지사 * [[고바야시 요시노리]] - 극우 만화가. * --[[세지마 류조]]--[* 2007년 9월 4일 사망.] - [[불모지대]]로 유명한 인물. 한일 양국의 극우세력을 연결하는 정재계의 흑막중에 한명이다. * 기타 관련 인물 * 코무로 나오키 - 일본 정치학계의 거두 중 한명으로, 자유주의 사관론자이자 천황주의자다. 새역모 찬동자로 이름을 내걸고 있다. * [[스기타 미오]] - 현 자민당 소속 중의원. 이사로 활동했었다. == 명단 == 의도를 잘 모르고 들어갔다가 나가거나 중간에 변심으로 탈퇴, 또는 새롭게 들어왔던 인물도 있으니 참고만 할 것. 또한, 명단 작성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나 지금과는 많이 달라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 구성원 === 2013년 6월 30일 기준. * 회장 * 스기하라 세이시로(杉原誠四郎): 전 조세이대학 교수 * 부회장 * 오카노 토시아키(岡野俊昭): 전 초시시장, 전 초시시립 제5중학교장 * 타카이케 카츠히코(高池勝彦)[* 현 회장대리.]: 변호사 * 토요시마 노리오(豊島典雄): 정치 애널리스트, 전 [[교린대학]] 교수, 전 사쿠신가쿠잉대학 교수 * 후쿠시 아츠시(福地惇): 고치대학 교수, 전 [[문부과학성]] 초중등교육국 교과서 검정관 주임, 전 다이쇼대학 교수 * 이사 * 아에바 미치히로(饗庭道弘)[* 현 [[미야기현]] 지부장]: 유니워드 주식회사, 아에바상회 대표이사 * 이시하라 타카오(石原隆夫): 1급 [[건축사]] * 코야마 츠네노리(小山常実): 오오츠키단기대학 교수 * 토미오카 고이치로(富岡幸一郎): 관동학원대학 교수, 표현사[* 일본의 출판사] 편집장 * 하마노 아키치(濱野晃吉)[* 현 [[오사카]] 지부장]: 주식회사경영센터 사장, 칸사이 방위를 지지하는 모임 회원 * 후지오카 노부카츠(藤岡信勝)[* 전 회장, 현 교과서 기획 편집위원장]: [[척식대학]] 객원교수, 전 [[도쿄대학]] 교수, 자유주의사관 연구회 대표 * 모로바시 시케이치(諸橋茂一): 교육을 생각하는 이시카와현민회장, KBM 사장 * 야마모토 시게루(山本茂): 전 규슈여자대학 교수 * 요시나가 슌(吉永潤): [[고베대학]] 부교수 * 감사 * 고마다 츠요시(駒田強): 전 [[이바라키현]] 오오미야시의회 의원 * 호시나 나오미(保科直美)[* 현 [[가나가와현]] 지부장]: [[기술사]] * 고문 * 이지리 치오(井尻千男): [[척식대학]] 일본문화연구소 고문 * [[일본 우익사관/학자#s-1.1|가세 히데아끼(加瀬英明)]]: 외교 평론가, 지유사 사장 * 다쿠호 타다모리(田久保忠衛): 행신대학 명예교수 * 나카시노 타카노리(中條高徳): [[아사히 맥주]] 명예고문, 사단법인일본국제청년문화협회 회장, 일본전략연구포럼회 회장 * 사무국장 * 에치고 준타로(越後俊太郎) === 찬동자 === 찬동자 리스트가 꽤나 변화무쌍 하므로 확인 일자를 반드시 병기하여 챕터 처리하기 바람. ==== 2004년 11월 19일 ==== 아이카와 켄타로(相川賢太郎):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 중공업]] 회장 아이치 카즈오(愛知和男): 칸사이대학 명예교수 아카와 사와코(阿川佐和子): 에세이스트 아카와 히로유키(阿川弘之): 작가 아키모토 마에토쿠(秋本協徳): 종교법인 신생불교교단대표위원 아키야마 쇼코(秋山昌廣): Ship & Ocean 재단 회장 아사쿠라 타츠오(朝倉龍夫): 일본합성고무 주식회사 이사 아소무라 구니아키(阿曽村 邦昭): Reitaku University 객원교수 아마이케 세이지(天池清次): 전 동맹 회장 아라 켄이치(阿羅健一): 난징사건[* 일본 우익들은 난징 대학살을 아주 축소하여 난징사건이라 부른다.] 연구가 아라키 카즈히로(荒木和博): [[타쿠쇼쿠대학|척식대학]] 해외사정연구소 조교수 이께다 아키요시(池田彰孝): SMK (株) 회장 이사와 모토히코(井沢元彦): 작가 이시이 고이치로(石井公一郎): 전 브리지스톤 자전거 (株) 사장 이시가키 키치요(石垣貴千代): 동양대학 전 교수 이시카와 미치오(石川迪夫): [[홋카이도대학]] 전 교수 이시카와 무츠로(石川六郎): 시까지마건설 (株) 명예회장 이시사카 아스히꼬(石坂泰彦): 전 (株) 마츠야 회장 이시도 슈꾸로(石堂淑朗): 각본가 [[이시하라 신타로]](石原慎太郎): 작가, 정치가 이지리 치오(井尻千男): 평론가 이즈미 사브로(泉三郎): 작가 이치다 히로미(市田ひろみ): 의복평론가 이지치 시게노리(伊地知重威): 아사히은행 (株) 이사 이치무라 신이치(市村眞一): [[교토대학]] 명예교수 이토 켄이치(伊藤憲一): [[아오야마학원대학]] 국제정치경제학부 교수 이토 타카(伊藤隆): [[도쿄대학]] 명예교수 이토 테츠오(伊藤哲夫): 일본정책연구센터 소장 [[이나오 카즈히사]](稲尾和久): 야구 해설가, 이나가키 다께(稲垣武): 저널리스트 이나가키 나오토(稲垣直): [[의사]], (財) 일본국방협회 평의원 이나야마 레이호(稲山霊芳): 염법진교[* 역전에서 종이랑 삿갓 쓰고 탁발하는 종교] [[수도사|등주]] 이하라 키치노스케(伊原吉之助): 帝塚山大学 명예교수 이하라 고지(井原甲二): 월간 MOKU 편집장 이마이 엔메(今井圓明): 중산사 주지 이마이 미치꼬(今井通子): [[의사]], 등산가 이요타 토시오(伊豫田敏雄): 아오야마 감사법인 회장 이오리 마사토시(伊従正敏): [[히노자동차|히노자동차판매]] (株) 이사 이리에 다까노리(入江隆則): 문예 평론가 이리에 미치마사(入江通雅): [[아오야마학원대학]] 명예교수 이나미 이치지(印南一路): [[게이오기주쿠대학]] 총합정책학부 교수 우에스기 치토시(上杉千年): 역사교과서 연구가 우에다 아츠시(上田篤): 건축학자 우에노 기미오(上野公夫): 중외제약 (株) 명예 회장 우사미 타다노부(宇佐美忠信): (財) 후지회사교육센터 이사장 우치다 사토시(内田智): [[변호사]] 우치무라 고스케(内村剛介): 전 [[조치대학|소피아대학]] 교수 우노 세이치(宇野精一): [[도쿄대학]] 명예교수 우메사와 쇼헤(梅澤昇平): 학교법인 尚美학원대학 교수 우루시 구니오미(漆邦臣): [[시나가와]] 여학원 이사장 겸 교장 에나미 카쿠한(叡南覚範): 겐리츠인 주지 엔도 히로이치(遠藤浩一): 평론가 엔도 타카시(遠藤太嘉志): 일본 그레스볼 협회 이사장 엔가와 마사시(淡河義正): 다이세이건설 (株) 이사 오오사와 지쥬(大澤自聚): 서산흥륭사 명예원가 오오시마 요이치(大島陽一): [[미쯔비시도쿄UFJ은행|동경은행리서치인터네셔널]] (株) 사장 오오스미 고테츠(大角光徹): 엄왕원 주지 오오타 요시오(太田芳雄): 긴자 에스더 식품 (株) 사장 오오츠키 타카노부(大月隆寛): 민속학자 오오하라 야스오(大原康男): [[고쿠가쿠인대학]] 교수 오오케 에이코(大宅映子): 평론가 오카사키 히사히코(岡崎久彦): 외교평론가 오카다 에이코(岡田英弘): 동경외대 명예교수 오가타 이치오(緒方一夫): 오사카 대만 동향회 부회장 오가타 요시타카(緒方嘉隆): [[의사]] 오카모토 카즈야(岡本和也): [[미쯔비시도쿄UFJ은행]] 전무이사. 동 은행 행장, 증권회사 사장, 마츠야 고문을 거쳐 지금은 후지큐 감사로 있다. 오가와 요시오(小川義男): 세마야마가오카 고등학교 교장 오구시 카즈오(小串和夫): 네츠다 신궁 궁사[* 신궁에서 잡일 하는 종교인] 오쿠미야 마사타케(奥宮正武): PHP연구소 연구고문 오케타니 히데아끼(桶谷秀昭): 문예 평론가, 동양대학 교수 오자키 마모루(尾崎護): 국민금융공고 전 총재 오다 신(小田晋): 국제의료복지대학 교수 오다 스베히로(小田全宏): 일본정책포럼 대표 오다무라 시로(小田村四郎): 전 [[척식대학]] 학장 오노사와 토시유끼(小野澤知之): 히까루기획 고문 오노다 히로(小野田寛郎): (財)오노다자연주꾸[* 한국의 학원이라 보면 된다.] 이사장 오사나이 다까유끼(小山内 高行) : 외교 평론가 오야마 가즈노부(小山和伸): [[가나가와대학]] 교수 카에츠 고꾸(嘉悦 克): 카에츠학원 상무이사 카에시 노부유끼(加地伸行): [[도시샤대학]] 이사, [[오사카대학]] 명예교수 카라타니 테츠오(粕谷哲夫): 상업 컨설턴트 카세 히데아키(加瀬英明): 외교 평론가 카타오카 테츠야(片岡鉄哉): 전 [[스탠포드 대학교]] 후버연구소 상급연구원 카츠오카 칸지(勝岡寛次): 명성대학 전후교육사연구센터 전임연구원 카츠다 키타로(勝田吉太郎): [[교토대학]] 명예교수 카토 쥰페이(加藤淳平): [[고베]] 토키와대학 국제학부 교수 카토 타카히사(加藤隆久): 이끼다신사 궁사 카토 히데오(加藤日出男): (財) 젊은뿌리회 (若い根っこの会) 회장 카토 히로시(加藤 寛): 치바상과대학 학장 카토 요시로(加藤芳郎): 만화가 카네스기 히데노부(金杉秀信): 전 동맹 부회장 카미시노 토시아끼(上條 俊昭): 경제 평론가 카미무라 카즈오(上村和男): 국민문화연구회 이사장 카미야 후지(神谷不二): 토요히데카즈 (東洋英和) 여학원 대학 교수 카라츠 하지메(唐津 一): 도카이대학 교수 카와카츠 해이타(川勝平太): 국제일본문화연구센터 교수 [[카와카미 테츠하루]](川上哲治): [[NHK]] 야구해설가, [[요미우리 자이언츠]] 전 감독 카와구찌 요(川口洋): [[가쿠슈인대학]] 교수 카와시마 히로모리(川島廣守): 전 [[일본프로야구]] 커미셔너 카와세 이치오(川瀬一雄): 돗판유회 (トッパン友の会) 회장 카와니와 에이이치(川廷榮一): 아시아테니스연맹 회장 카와무라 시게쿠니(川村茂邦): 대일본잉크화학공업 (株) 고문 키타가타 켄조(北方謙三): 작가 키무라 나오미(木村治美): 에세이스트 유키타가 테츠야(行徳哲男): 일본BE연구소 주재 쿠사까 고진(日下公人): 다마대학 (多摩大学) 명예교수 쿠후지 미요꼬(工藤美代子): 논픽션 작가 쿠리키 히사오(九里幾久雄): 우라카즈대학 (浦和大学) 명예교수 쿠보 요시카즈(久保 芳和): 칸사이학원대학 (関西学院大学) 명예교수 쿠라하라 치아키(藏原千秋): 단자협회 (短資協会) 회장 쿠로다 신(黒田眞): (財) 안전보장무역정보센터 이사장 코 분유(黄文雄): 평론가[* [[대만]] 출신이며 [[공자식인설]]을 적극적으로 퍼뜨리는 인간이다.] 코와노 쇼조(河野正三): 고령자주택재단 이사장 코시 칸지로(輿寛次郎): 일본고무시스 (株) 고문 코지마 나오키(小島直記): 작가 코토 타츠다(後藤達太): (株) [[서일본은행]] 행장. 전직은 [[일본항공]] 전무. [[2016년]] [[3월 31일]] [[후쿠오카]] 시에서 [[폐렴]]으로 사망. 92세. 지금의 [[서일본시티은행]]의 기초를 닦은 인물. 코토 치아키(後藤 千秋): (株) 오바야시구미 전무이사 코바야시 우미토루(小林海暢): 前 진언종 천통사파 관장 코바야시 타카시(小林 喬): 도미쿠니(富国)생명보험상호회사 사장 코바야시 미치노리(小林道憲): 후쿠이대학 교수 [[고바야시 요시노리|코바야시 요시노리]](小林よしのり): 만화가 코보리 케이이치로(小堀桂一郎): [[도쿄대학]] 명예교수. 동 대학 독문과 졸, 동 대학원 비교문화학 박사. [[쇼와]]의 신봉자로 알려져 있으며, [[여왕|여성 덴노]] 반대론자이다. 94년에 동 대학 교수 자리에서 명퇴하여 명예교수가 됨. 코보리 코우센(小堀光詮): 삼천원(三千院)문 유적 문지기 코무로 나오키(小室直樹): 현대정치연구소 정치학자 코야마 츠네노리(小山常実): 오오츠키단기대학 교수 사에끼 쇼이치(佐伯彰一): 문예평론가 사카이 마사야스(酒井正晴): 쇼와비행기공업 (株) 사장 사까가와 쇼(境川尚): 일본[[스모]]협회이사, 전 [[요코즈나]] 사카구치 미요코(坂口美代子): 사카구치전열 (株) 대표이사 사카노 츠네타까(坂野常隆): 시미즈건설 (株) 대표이사 사쿠라이 슈(櫻井 修): [[스미토모신탁은행]] (株) 특별고문 사세 쇼모리(佐瀬昌盛): [[타쿠쇼쿠대학]] 해외사정연구소 소장 사사 아츠유키(佐々淳行): 전 내각안전보장실장 사토 아이꼬(佐藤愛子): 작가 사토 카즈오(佐藤和男): [[아오야마학원대학]] 명예교수 사토 카츠키(佐藤勝巳): 현대한국연구소 소장 사토미 야스오(里見泰男): 전 대성건설 (株) 이사 사와타 아키오(澤田昭夫): 도쿄 준신(純心) 여자대학 교수 시카 마나부(志賀學): 전 특허청장관 시게에다 타쿠미(重枝琢巳): 전 동맹 서기장 시노자와 히데오(篠沢秀夫): [[가쿠슈인대학]] 명예교수 시마자키 킨야(嶋崎欽也): 분쿄토[* 일본의 출판사.] (株) 대표이사 시마다 야스오(島田晴雄): [[게이오기주쿠대학]] [[경제학부]] 교수 시마다 요이치(島田洋一): [[후쿠이현]]립대학 교수 시미즈 세하치로(清水馨八郎): [[치바대학]] 명예교수 시키 케타로(尚樹 啓太郎): 도카이대학 명예교수 시라이 에이지(白井永二): 쓰루오카 야와타궁 명예궁사 시라이 히로시(白井浩司): [[게이오기주쿠대학]] 명예교수 스기하라 아키라(杉原 明): 닛쇼이와이 (日商岩井) 고문 스기야마 쇼지(杉山昭二): 토플러 (株) 이사 겸 회장 스즈키 사부로스케(鈴木 三郎助): [[아지노모토]] 이사 겸 명예회장 스즈키 센키치로(鈴木仙吉郎): 북일본빌딩관리 (株) 전무이사 스즈키 히사아키(鈴木久章): 요코하마고무 (株) 이사 스후지 켄이치로(須藤 研一郎): [[아사히]]공업사 (株) 전 회장 스미타니 타이(角谷 泰): 加商 사장 세이케 키요시(清家 清): [[건축가]] 세키구치 코우(関口 孝): 불소호념회 교단 이사 세키네 히로부미(関根廣文): 고베제강소 (株) 특별고문 [[세지마 류조]](瀬島 龍三): 아세아대학 이사장 겸 [[NTT]] 고문. 구 일본군 출신으로 최종 계급과 역직은 육군중좌, [[관동군]] 참모. [[권익현]]의 절친으로 알려져 있다. 소련에 11년간 포로로 있다가 석방 후 이토추에 입사, 회장까지 올라갔다. 그 후 나가소네 내각의 행정청 장관을 역임. 타카끼 기조(高木 桂蔵): [[시즈오카]]현립대학 교수 타카이케 카츠히코(高池 勝彦): [[변호사]] 타카시로 신이치로(高城 申一郎): 스미토모부동산 (株) 이사 겸 회장 타카사키 이치로(高崎一郎): [[미츠코시]] 고문 타카하시 유(高橋 勇): [[오사카]] 지부 동맹 고문 타카하시 겐(高橋 元): 자본시장진흥재단 이사장 타카하시 시로(高橋 史朗): 명성대학 (明星大学) 교수 타카하시 요시마사(高橋季義): 킨덴 (株) 전 사장 타카하시 마사시(高橋 正): 치바상과대학 교수 타카하시 테츠로(高橋 鐵郎): [[가와사키중공업]] (株) 전 부사장 타카하시 묘사이(高橋妙斉): 환희원 주지 타카모리 아키노리(高森明勅): [[척식대학]] 객원교수 타키후지 손쿄(瀧藤尊教): 사천왕사 전 관장법사 타키야마 요(瀧山養): 교통연구가 타쿠호 타다에(田久保 忠衛): [[교린대학]] 객원교수 타테우치 미츠마사(建内 光儀): 카모 별뇌신사 궁사 타케오 나오(竹尾治男): [[도시바]]플랜트건설 (株) 명예이사 타시타 마사아키(田下 昌明): 도요오카중앙병원장 타테노 아리후미(立野有文): 사쿠라가오카 여자학원 이사장 타나카 타카시(田中 敬): 요코하마은행 특별고문 타나카 츠네요시(田中恆清): [[신토]]정치연맹[* 일제의 제정일치를 지향하는 단체.] 간사장 타나카 토시미치(田中 利道): 퍼시픽브레인센터 (株) 고문 타나카 히데미치(田中 英道): 미술역사가, [[도호쿠대학]] 대학원 교수 타네가시마 케이(種子島 経): 전 [[BMW]] 도쿄 (株) 사장 츄도 겐(中堂元): (株) 북두아카데미 대표 츠가와 마사히코(津川 雅彦): [[배우]] 츠지 카오루(辻 薫): (株) 도쿠야마 회장 츠지무라 아키라(辻村 明): [[도쿄대학]] 명예교수 데구치 준토쿠(出口順得): 화종 사천왕사 집사장 테라시마 다이조(寺島泰三): 일본향우연맹 회장 테이 켄로(土居健朗): [[정신과]] 의사 테야마 이치유키(遠山一行): 음악평론가 토가시 노부코(富樫 信子): [[공인회계사]] 토키와 신페이(常磐新平): 작가 토쿠나가 요이치(徳永 洋一): BSC (株) 대표이사 겸 회장 토쿠마스 준마오(徳増須磨夫): 스미토모해상보험 (株) 이사 토비야마 이치오(飛山一男): [[이스즈자동차]] (株) 고문 토마베치 시케토루(苫米地重亨): 정치평론가 토미사와 시게노부(冨澤 繁信): 전 [[스미토모신탁은행]] 상무이사 토미다 테츠로(富田徹郎): FCG 회장 토모쿠니 하치로(友國八郎): 오사카상선-미츠이선박 (株) 이사 토요다 아리츠네(豊田有恒): [[작가]] 나가오카 미노루(長岡 實): 전 대장(大蔵)사무차관 나카가와 히로미(中川 弘美): 전 KAO[* 화장품 메이커.] (株) 회장 나카가와 하치요(中川八洋): [[쓰쿠바대학]] 교수. [[후쿠오카]] 슈유칸 출신. [[도쿄대학]] 항공과 우주공학코스 졸, [[스탠퍼드 대학교]] 국제정치학 박사. 과기청 근무 후 츠쿠바 교수로 전직. 08년에 퇴직하여 명예교수. 나카시마 슈조(中島 修三): [[변호사]] 나카시마 치히로(中島千尋): [[교토대학]] 명예교수 나카시노 타카마사(中條 高徳): [[아사히 맥주]] (株) 명예고문 나카니시 테루마사(中西 輝政): [[교토대학]] 교수 나카노 겐코(中野玄光): [[정토종]] 진복사 주지 나카무라 사이(中村 粲): 독협대학 (獨協大学) 교수 나카무라 고(中村功): 동일본하우스 (株) 회장 나카무라 카츠노리(中村 勝範): 평성국제대학 학장 나코시 지코노스케(名越二荒之助): 전 타카치호상과대학 교수 나스카와 히로시(名須川 浩): 일본해석유[* 주유소 에네오스ENEOS] (株) 부사장 겸 이사 나미카와 에타(濤川栄太): 작가, 신 마츠시타무라쥬뀨 대표 니시 요시오(西 鋭夫): Reitaku University 교수 니시오 칸지(西尾幹二): 평론가 니시오카 츠토무(西岡 力): 동경기독교대학 교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5029711|북한인권운동가]]며 2011북한자유주간서울대회 행사 개막식에서 북한 인권 운동의 대모 수잔 솔티의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oid=003&aid=0003819772&sid1=001|바로 옆에 앉았다]]. ] 니시다 마사오(西田 昌男): 帝人 (株) 부사장 겸 이사 니시베 스스무(西部邁): 평론가, 히데아키대학 (秀明大学) 교수 니시무라 카츠키(西村 勝巳): 체육스포츠정책학회 회장, 일본무도학회 고문 닛타 히토시(新田 均): [[고각칸대학]] 교수 니와 하루키(丹羽 春喜): 오사카학원대학 교수 노구치 타케토시(野口 武利): [[시즈오카현]] 노동자복지협의회 회장 노구치 마사카즈(野口 義和): 大新東 (株) 부사장 하가 토오루(芳賀 徹): [[도쿄대학]] 명예교수 하시구치 슈(橋口 収): 히로시마은행 이사 하세가와 케이타로(長谷川 慶太郎): 경제평론가 하세가와 시노부(長谷川 忍): [[이케부쿠로]][[터미널]] (株) 사장 하세가와 미치코(長谷川 三千子): [[사이타마대학]] 교수 하세가와 타다노부(長谷川 霊信): 염법진교 교무총장 하타 이쿠히코(秦 郁彦): [[니혼대학]] 교수 하타 마사시(八田 誠): 일본교통협회 부회장 하야시 켄고(林 慧兒): 저널 "日橋文化" 발행인 하야시 시로(林 四郎): 에세이스트 하야시 히데히코(林 秀彦): 작가 하야시 후지오(早矢仕 不二夫): 전 도쿄동맹 회장 하야시 마리코(林 真理子): 작가 하라다 키조(原多 喜三): 偕行社 회장 하즈키 타케오(茨木 武雄): 종이펄프업경영자간담회 사무국장 하라다 시게루(原田 滋): 기계산업기념사업재단 고문 히가시나카노 슈도(東中野 修道): [[아세아대학]] 교수 히지카타 타케(土方 武): 일본달걀산업 (株) 회장 히라카와 유키히로(平川 祐弘): [[후쿠오카여학원대학]] 교수 히라노 도미쿠니(平野 富國): 전 후지사와오다큐[* 동경의 사철] (株) 대표이사사장 히로이케 칸토(廣池 幹堂): 모럴로지연구소 이사장 히로세 모토오(廣瀬 元夫): 히로세빌딩 (株) 사장 히로세 시미즈(廣瀬 靜水): 인류애선회 (人類愛善会) 명예회장 후까다 유스케(深田 祐介): 작가 후까노 카즈오(深野 和夫): 산요합동은행 (山陰合同銀行) 이사 후끼우라 타다마사(吹浦 忠正): [[사이타마]]현립대학 교수 후쿠다 마사오(福田 繁雄): 그래픽 디자이너 후쿠다 하야리(福田 逸): [[메이지대학]] 교수 후쿠미츠 신(藤光 賢): 천태종 총장 후쿠이 마사키(藤井 厳喜): 국제문제 애널리스트 후지오카 노부카츠(藤岡 信勝): [[척식대학]] 교수 후지타 슌쿄우(藤田 俊教): 今熊野観音寺 명예주지 [[후지타 모토시]](藤田 元司): [[NHK]]프로야구해설, [[요미우리 자이언츠]] 전 감독. 후네무라 토오루(船村 徹): 일본작곡가협회 회장 후루다치 고세(古館康生): 전 쟈와석유투자[* japex] (株) 사장 호리에 마사오(堀江 正夫): 영령에 화답하는 모임 회장 마에노 토오루(前野 徹): 아시아경제인간담회 회장 마키 후유히코(牧 冬彦): 고베제강소 (株) 이사 마키노 스바루(牧野 昇): [[미쓰비시 그룹|미쓰비시]]종합연구소 이사 마츠다 쇼조(松多 昭三): 손해보험회관 (株) 사장 마츠모토 요(松本 洋): 국제문화회관 전무이사 마츠모토 미치스케(松本 道介): [[주오대학]] 문학부 교수 마루야마 토시오(丸山 利男): 前 일본개발은행 (日本開発銀行)[* 현 일본정책투자은행(DBJ). [[한국산업은행]]의 일본 버전 국책은행.] 이사 마루야마 히데히코(丸山 秀彦): 대본산 국분사 총장 미에노 고(三重野康): [[교린대학]] 객원교수 미야케 히사유키(三宅 久之): 정치평론가[* 특이사항으로 원래 [[마이니치 신문]] 기자 출신에다 70년대에는 [[테레비 아사히]] 저녁뉴스 캐스터를 맡기도 했다. 물론 극우로 전향한 이후 [[요미우리 TV]] 등 우익 성향 매체에서도 활동했다.] 미야자키 마사시(宮崎 仁): 아라비아석유 이사 미야자키 마사히로(宮崎 正弘): 평론가, 작가 미야자치 요시타카(宮崎 義敬): [[신토]]정치연맹 회장 미야타 요시지(宮田 義二): 철강노조연대 고문 미야니시 고래미치(宮西 惟道): 일기신사 (日枝神社) 궁사 미야노 노보루(宮野 澄): 논픽션 작가 미야모토 시로(宮本 四郎): 세계경제정보서비스 이사장 무라이 노부오(村井 信夫): 전 [[코마츠 제작소|고마쓰건설공업]][* 세계 건설장비 2위] (株) 부사장 겸 이사 무라오 지로(村尾 次郎): 전 [[문부과학성]] 주임교과서검정관 무라타 쇼코(村田 照子): 무라타학원 이사장 무라타 로헤이(村田 良平): 일본재단 특별고문 모모세 메이지(百瀬 明治): 저술업 모모치 아키라(百地 章): [[니혼대학]] 법학부 교수 모리타 젠로(森田 禅朗): 전 화종 사천왕사 관장 야츠키 슈지(八木 秀次): 타카사키경제대학 조교수 야쿠야마 아키라(役山 明): 偕行会 회장 야스모토 미노리(安本 美典): 전 산노대학 (産能大学) 교수 야다베 마사키(矢田部 正巳): 신사본청 총장[* [[신토]]의 우두머리] 야나세 지로(梁瀬 次耶): 야나세[* 일본의 독일차딜러 대표격] (株) 대표회장 야노 지로(矢野 次郎): 식산주택상호 (株) 이사 야노 타마(矢野 弾): 야노경제연구소 부회장 야노 쥰히코(矢野 俊比古): 도쿄중소기업투자육성 (株) 감사 야마구치 고스케(山口 康助): 동경교육간담회 대표간사 야마카와 쿄코(山川 京子): 「桃の会」 주재 야마사키 세조(山崎 誠三): 산종(山種)종합연구소 (株) 회장 겸 이사 야마토 요시아키(大和 嘉章): 비지니스브레인-오오타쇼와 (株) 부사장 겸 이사 야마모토 요시후라(山本 孝圓): 천태진성종 관장 야마모토 타쿠시(山本 卓眞): [[후지츠]] (株) 명예회장 야야마 타로(屋山 太郎) : 정치평론가 요코미조 마사오(横溝 雅夫): 전 명성대학 (明星大学) 경제학부 교수 요시쿠니 이치로(吉國 一郎): 전 내각법제국 장관[* 대한민국 법제처장 격.], [[NTT]] 특별고문 요시다 카즈오(吉田 和男): [[교토대학]] 교수 요시다 게이토(吉田 啓堂): 일본불교종협호회 이사장 요시다 마나부(吉田 學): 수교회 (水交会) 회장 와카츠키 미키오(若月 三喜雄): 일본총합연구소 (株) 이사장 와타나베 야스로(渡邉 晴朗): 전 [[마루베니]] (株) 상임고문 와타리 아키라(亘理 彰): 전 방위사무차관[* 대한민국 국방부 차관보 격.], 일본부동산연구소회장 == 외부 링크 == * [[https://www.nextgen-textbook.org/%E7%84%A1%E6%96%99%E3%83%80%E3%82%A6%E3%83%B3%E3%83%AD%E3%83%BC%E3%83%89|자유사 새로운 역사 교과서([ruby(自由社, ruby=じゆうしゃ)][ruby(新, ruby=あたら)]しい[ruby(歴史, ruby=れきし)][ruby(教科書, ruby=きょうかしょ)])]] 새로운 역사 교과서를 만드는 모임의 출판사인 '자유사([ruby(自由社, ruby=じゆうしゃ)])'가 자사에서 출판한 '새로운 역사 교과서([ruby(新, ruby=あたら)]しい[ruby(歴史, ruby=れきし)][ruby(教科書, ruby=きょうかしょ)])'를 54.53MB 크기의 PDF 파일로 변환해 무료 배포하고 있다. == 관련 문서 == * [[일본 극우사관]] * [[일본 극우사관/관련인물]] * [[일본회의]] * [[재특회]] * [[국수주의/행태/일본]] * [[애국 비즈니스]] * [[국가신토]] * [[극우]] * [[근린 제국 조항]] * [[일본 제국]] * [[전체주의]] * [[파시즘]] * [[국수주의]] * [[일본의 역사왜곡]] * [[일본어 위키백과]] [[분류:일본의 시민사회단체]][[분류:일본의 역사왜곡]][[분류:일본 극우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