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성북구의 버스회사)] ||<-2><:> '''{{{+2 상진운수 주식회사}}}'''[br]常進運輸 株式會社[br]Sangjin Transportation Co., Ltd. || || '''설립일''' ||[[1961년]] [[12월 6일]] || || '''업종''' ||시내버스 운송업 || || '''대표자''' ||이흥현, 이봉현 || || '''주요 주주''' ||'''이흥현: 57.96%'''[br]이봉현: 21.97%[br]{{{-2 (2022년 12월 31일 기준)}}} || || '''기업구분''' ||[[중소기업]] || ||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 || '''직원 수''' ||228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 || '''자본금''' ||2억 9,040만원^^(2022년 기준)^^ || || '''매출액''' ||222억 8,067만 2,383원^^(2022년 기준)^^ || || '''영업이익''' ||8,337만 9,038원^^(2022년 기준)^^ || || '''순이익''' ||-6,235만 8,343원^^(2022년 기준)^^ || || '''자산총액''' ||293억 833만 1,669원^^(2022년 기준)^^ || || '''부채총액''' ||114억 1,148만 3,037원^^(2022년 기준)^^ || || '''부채비율''' ||63.76%^^(2022년 기준)^^ || || '''소재지''' ||'''본사''' - [[서울특별시]] [[성북구]] [[한천로]]76길 42 ([[석관동]])[br]'''신내영업소''' -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역로 25 ([[신내동]], [[중랑공영차고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버스 회사]] 중 하나. 1961년에 '삼미운수'로 설립하여 1972년 현재 사명으로 변경하였고 [[성북구]] [[석관동]]과 [[중랑공영차고지]]에 기점을 둔 업체다. [[송파상운]]과는 소유주가 동일하나 지분관계는 없다. 본사는 [[성북구]] 석관동에 있지만, 개편 전만 해도 [[성북구]]보다 [[중랑구]] 지역 노선의 비중이 높았다. 현재는 2012번[* 2115번은 [[성북구]]를 경유하긴 하지만 본사인 석관동은 들르지 않는다.]이 유일한 아웃성북 노선이자 상진운수의 유일한 신설노선.[* 나머지는 개편 전부터 있던 노선들. 2012번도 엄밀히 말하면 구 542번의 중곡동 - 동대문운동장 구간을 대체하는 노선이다.] 또한 [[태릉교통]], [[진아교통]]과 803번 순환버스[* 별내(불암동) - [[길음역]] 구간을 운행했던 노선으로 6호선 1차 개통 당시 큰 타격을 받아 상진, 진아가 철수하여 공배가 깨지고 [[태릉교통]] 단독으로 맡게 되다 2002년 초 폐선됐으며 2000년 신설된 [[서울 버스 2212|순환버스 401번]]으로 [[석계역]]까지 대체하고 있다.]를 [[공동 배차]]로 운영하다 철수한 전례도 있으며, 얼마 안 되지만 차량 대차 이전에는 주로 [[기아 코스모스]][* 무려 '''전비 입석형'''이었다.]와 AM937을 주력으로 사용했었다.(즉, 2004년 개편 전에 제 3의 버스 메이커 차를 적극 사용한 서울 버스 회사.)[* 다른 곳은 [[한남여객운수]]가 있다.] 특히 [[아시아자동차]]의 마지막 시내버스 모델이었던 AM937을 [[서울특별시]]에서 마지막까지 운행하기도 했다.[* 정확히는 AM937L, 원래 위에서 언급한 803번과 [[서울 버스 261|48번]]에서 다니다가 [[서울 버스 2223|47번]]으로 이동한 후 대차됐다.] 당연히 모두 대차됐으며, 차고지가 주거단지에 둘러싸여 있는 관계로 석관동차고지에는 충전소가 없다. 따라서 261번과 1122번은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의 [[강북구]] 번동차고지[* 거리로만 따지면 월계동 [[진아교통]] 차고지가 훨씬 가깝지만, 부지가 협소하다 보니 어쩔 수 없이 번동에서 충전하는 것으로 보인다.]에서, 나머지는 [[중랑공영차고지]]에서 충전한다. [[대진여객(서울)|대진여객]]과 함께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마일드 하이브리드 고상형을 출고하여 운행한 적이 있다. 2012번에 들어갔었는데 얼마 못가 하이브리드 장치가 제거됐다. 비슷한 시기에 들어온 [[김포운수]] 소속 차량도 하이브리드 장치가 제거됐다. 한때 흑역사 노선 중 하나인 [[서울 버스 2214|2214번(구 445번)]]을 운행한 적도 있었다. 2003년 6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청계천 무료 셔틀버스]]를 운행했던 회사 중 하나였다. 영화 [[황해(영화)|황해]]의 일부 장면이 이 회사의 석관동 차고지에서 촬영되기도 했다. 2015년에 신규차량 도입으로 뜬금없이 [[자일대우버스 BS|NEW BS110]]을 투입하여 동호인들에게 충격을 주었다. '''22년 만의 [[자일대우버스]] 출고이다.'''[* 당시 대차시기 즈음에 [[적반하장|현대차에서 출고날짜를 어기고 현대차 영업사원이 오히려 상진운수 CEO한테 갑질]]을 해버린 사건이 발생했다. 이로 인해 빡친 나머지 상진운수 경영진은 현대차와의 계약을 즉각 파기하고 대우차로 교체하는 결정을 내렸다. [[영진교통]], [[태영운송그룹]]과 유사한 상황이다. ][* 정작 기사들은 현대차가 더 좋은데 위에서 대우차만 뽑는다고 결정해서 어쩔 수 없는 반응이었다.] 투입 노선은 중랑영업소 소속 지선버스인 2012번. 이후 NEW BS090, NEW BS106까지 뽑고 NEW BS110을 추가 출고하여 석관동 본사 소속 간선버스인 261번에도 투입한 걸 보면 대우로 전향했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bus&no=1167950|#]][* 특히 소속 지선버스들의 주 경유지인 중랑구 중화동에서는 대우차를 나름 볼 수 있게 되었다. 과거 2000년대엔 [[한성여객]]에서 대우차가 다녔고, 용림교통([[보광운수]])과 [[메트로버스]]에서도 대우를 주력으로 썼으나 이 세 업체는 현대차로 교체했다.(이 당시 상진은 오히려 현대차가 주력)] '''드물게 현대버스에서 대우버스로 전환한 케이스.'''[* 또 다른 예로는 [[범일운수]]도 있다. 과거에는 현대버스가 많았으나 자일대우버스 부품대리점 지정으로 인해 전부 대우버스로 대차하여 지금도 운행하고 있다. 같은 오너가 소유한 [[송파상운]]도 2014년 [[송파 버스사고]] 이후 2015년부터는 현대버스의 출고를 중단하고 대우버스로 전향하였다. [[서울버스]]도 2016년 이후 대우버스로 전향했고, [[자일대우버스 BC|BC211]]을 도입했다. 부울경에서는 [[태영운송그룹]]이, 대구에서는 [[영진교통]]이 대우버스로 전향했다. 하지만 2020년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이전으로 인한 울산공장 조업 문제로 타 제조사의 버스를 출고하기 시작했다.] 사실상 아시아(기아)자동차(1980년대~1990년대), 현대자동차(1990년대~2000년대, 2020년대), 자일대우버스(~1990년대, 2010년대) 버스를 번갈아 사용해 본 버스회사가 되었다. 대우차량 옵션은 [[보성운수]]처럼 DNKA 풍성 에어컨이 달려있다. 그러나 2020년 12월, 자일대우버스 베트남 공장 이전으로 울산공장 조업이 중단되어 그린시티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개선형을 첫 출고했다.[* 저상 개선형은 앞서 송파상운에서도 출고했다.] [[저상버스]]의 [[자동변속기]]는 2010년까지는 앨리슨 미션을 사용했으나, 그 이후부터는 [[ZF]]를 사용한다. 2023년 12월 4일부터 현금승차 폐지 일부노선운영 업체로 선정되었다. 그래서 2023년 12월 4일 부터 이 회사의 운영하는 [[서울 버스 8221|8221]]은 교통카드가 있어야 승차 가능하며, 교통카드가 없으면 승차할 수 없다. == 면허 체계 == * 서울 70 사 '''64##'''호 ~ '''65##'''호 : [[성북구]] 소재 [[시내버스]] 회사 증차면허. * 서울 74 사 '''3901'''호 ~ '''4000'''호 : 본 회사의 주 면허. * 서울 75 사 '''1281'''호 ~ '''1288'''호, '''1701'''호 ~ '''1730'''호, '''2925'''호 ~ '''2930'''호 : 본 회사 증차 면허. == 운행 노선 == === 석관동본사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261|{{{#3d5bab 261}}}]]''' || 석관동 || [[석계역]] - [[광운대역]] - 장위래미안아파트 - 장위2동주민센터 - [[한국예술종합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청량리역]] - [[신설동역]] - [[동대문]]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을지로1~6가 - [[남대문시장]] -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 만리동고개 - [[여의나루역]] - 여의동주민센터 || [[여의도환승센터]] || 7~11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1122|{{{#5bb025 1122}}}]]''' || 석관동 || 석관중고등학교 - [[신이문역]] - [[중화역]] - 중랑구청 - [[서울의료원]] - [[봉화산역]] - 신내4단지 - [[화랑대역]] || 원자력병원 || 6~9 || || '''[[서울 버스 8221|{{{#5bb025 8221}}}]]'''[*맞춤 맞춤버스. [[북부운수]], [[태릉교통]], [[한성운수(서울)|한성운수]]와 공동배차.] || 장안2동주민센터 || 장안동삼성쉐르빌아파트 → [[장한평역]] → 전곡시장 → 답십리촬영소 → 동아.위더스빌아파트 || [[답십리역]] || 8~13 || === [[중랑공영차고지|신내영업소]] 소속 === ||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 간격''' || || '''[[서울 버스 2012|{{{#5bb025 2012}}}]]''' || [[중랑공영차고지]] || 중랑소방서 - [[봉화산역]]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사거리 - [[상봉터미널]] - 중화중학교 - [[용마산역]] - 중곡동종점 - [[군자역]] - 세종초등학교 - 성동세무서 - [[한양대학교]] - [[왕십리역]] - [[신당역]] || [[동대문역사문화공원]] || 9~13 || || '''[[서울 버스 2115|{{{#5bb025 2115}}}]]'''[*공동배차 [[성원여객(서울)|성원여객]]과 공동배차.] || [[중랑공영차고지]] || 신내데시앙포레 - 중랑경찰서후문 - [[서울의료원]] - 중랑구청 - [[중화역]] - 중화2동새마을금고 - [[청량리역]] - (→ 용두시장 →/← 서울약령시 ←) - [[안암역]] - 성북구청.성북경찰서 - [[성신여대입구역]] - 숭덕초교 - 길원초등학교입구 || [[서경대학교]] || 6~10 || == 폐선된 노선 == * 37: 석관동 - 신길동(1992년 폐지) * [[서울특별시 시내버스/2004년 개편 전 목록/800번대#s-5|803]]: 태릉순환 (2002년 8월 30일 폐선. [[진아교통]], [[태릉교통]]과 공동 배차) * 1223: 원자력병원 - 신이문역(2009년 1월 2216번과 통합하여 1122번으로 운행 중) * [[서울 버스 2214|2214]]: [[사가정역]] - [[중화역]](2008년 초 폐선) * 2215: 신내동 - [[제기동역]](2007년 초 2012번과 통합하여 A/B로 분리되었으나, A/B배차가 깨지면서 2010년 초 재분리해서 다시 2223번으로 부활했다가 2013년 말 [[성원여객(서울)|성원여객]] 1212번과 통합하여 2115번으로 운행 중이다.) * 2216: 화랑대역 - [[신이문역]](2009년 1월 1223번과 통합하여 1122번으로 운행 중) * 2223: 신내동 - [[제기동역]](2013년 9월 26일 성원여객 1212번과 통합하여 2115번으로 운행 중) == 보유차량 == === 현재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090 뉴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06 뉴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NEW BS110 천연가스버스]]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2차 F/L 천연가스버스]] === 과거 보유차량 === ==== [[자일대우버스]] ==== * [[새한 BD|새한 BD50DL 디젤]] * [[새한 BD|새한 BD098 디젤]] * [[새한 BD|새한 BD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F|대우 BF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V|대우 BV101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5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자일대우버스 BS|대우 BS106L 하이파워 디젤]] ==== [[현대자동차]] ====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디젤]][* 2003년까지 출고.]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2005년에 출고.] * [[현대 그린시티|현대 글로벌900 F/L 천연가스버스]] * [[현대 그린시티|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시티|현대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540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SE 천연가스버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기아]] ==== * [[기아 AM버스|기아 AM807 디젤]] * [[기아 코스모스|기아 AM818 코스모스 디젤]] * [[기아 AM버스|기아 AM927 디젤]] * [[기아 AM버스|기아 AM927L 디젤]] * [[기아 AM버스|기아 AM937L 디젤]] ==== [[스카니아]] ==== * [[스카니아|스카니아 옴니시티 N94UA6x2/2EB 굴절 디젤]][* 2003년 가을 [[서울 버스 261|48번]]에서 1대를 시범운행한 바 있다. 엄밀히 말해서 차량 자체는 구매하여 보유한 것이 아니라 스카니아 측에서 무상으로 빌려준 것.] == 지배구조 == 2022년 12월 기준 || 주주명 || 지분율 || 비고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흥현 || 57.96%|| 대표이사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이봉현 || 21.97%|| 대표이사 || ||기타 || 20.07%|| 2인 || == 둘러보기 == [include(틀:서울특별시의 버스 회사)] [[분류:버스 회사]][[분류:서울특별시의 시내버스 회사]][[분류:서울 성북구의 교통]][[분류:1961년 설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