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고려의 관직]][[분류:중국의 관직]] [목차] == 개요 == 상서복야(尙書僕射)는 전근대 [[동아시아]]의 고위 관직이다. == 연혁 == 중국 [[후한]] 시대에 생겨났고 이후 좌우로 나뉘었다. [[수나라]]에서는 좌우 복야 둘다 [[재상]]이었다. [[당나라]]에서 좌복야는 종2품, 우복야는 정3품이었다. [[태종(당)|태종]]이 진왕(秦王) 시절 상서령 자리를 잠깐 맡았다는 이유로 상서령이 임명되지 않으면서 상서성(尙書省)의 실질적인 장관이 되었다. 명칭은 시기에 따라 복야, [[승상]], 승(丞) 등으로 일정하지 않았다. [[고려]]는 [[3성 6부제]]를 받아들이면서 상서성에 좌우 복야를 두었고 모두 정2품으로 하였다. [[상서성]]의 실질적인 장관이다.[* 상서령은 명예직이다.] [[조선]]은 [[상서도성]]의 직제를 흡수한 [[삼사(관청)|삼사]]에 좌우 복야를 두었고 그 품계는 고려와 같았다. [[1400년]](정종 2)에 사라졌다. == 위상 == 당나라에서는 초기를 제외하곤 중서문하(中書門下)가 비대해지면서 상서성의 입지가 축소되었기 때문에 [[동중서문하평장사]]나 [[참지정사]]를 겸하지 않으면 재상이 아니었고 고려에서도 같다. 조선에서는 [[도평의사사]]에 참여할 수 있는 자리였다. == 매체 == 명칭이 자주 바뀌었고 수나라와 당나라 초기를 제외하면 요긴한 자리가 아니었기 때문에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중국 [[사극]]에서도 나오지 않으며[* 그나마 신삼국에선 사마의가 '상서우복야'직에 있었다는 것을 마속이 제갈량에게 언급하긴 했다.] 한국에서 이를 묘사한 사극은 〈[[연개소문(드라마)|연개소문]]〉 정도였다.. 연개소문 자체는 역사왜곡 등 고증이 엉망인 사극으로 악명높은데, 황당하게도 이거 하나만은 제대로 고증한 셈이다.[* [[대조영(드라마)|대조영]]에서는 복야라고 하지 않고 [[승상]]이라고 했던 것과 대조된다.] 다만, 2023년 드라마인 [[고려거란전쟁]]에서 고려 신료인 유진이 상서좌복야의 직책에 오른 것이 자막으로 나온다. == 역임 인물 == * 심문계 - 남조 제나라 상서우복야 → 상서좌복야 * [[심약]] - 남조 양나라 상서좌복야 * [[범운]] - 남조 양나라 상서우복야 * 심군리 - 남조 진나라 상서우복야 * 심흠 - 남조 진나라 상서우복야 → 상서좌복야 * 심협 - 북조 주나라 상서좌복야 * [[고경]] - 수나라 상서좌복야 * [[양소]] - 수나라 상서우복야 → 상서좌복야 * [[이정(당나라)|이정]] - 당나라 상서우복야 * [[방현령]] - 당나라 상서좌복야 * [[두여회]] - 당나라 상서우복야 * [[장손무기]] - 당나라 상서우복야 * [[이임보]] - 당나라 상서좌복야 * [[안록산]] - 당나라 상서좌복야 * 심륜 - 송나라 상서좌복야 * 이주헌[* [[성종(고려)|성종]]이 “쇠로 말하면 좋은 소리를 내는 것과 같은 사람이다.”라고 표현했으며 [[현종(고려)|현종]]의 든든한 지원군이었다.] - 고려 상서좌복야 → 상서우복야 * [[김치양]] - 고려 상서우복야 * [[유진(고려)|유진]] - 고려 상서좌복야 * 왕동영 - 고려 상서우복야 * 문인위 - 고려 상서우복야 * 박충숙 - 고려 상서좌복야 * 왕림 - 고려 상서좌복야 * 정신용 - 고려 상서우복야 * 이주헌 - 고려 상서우복야 * 안소광 - 고려 상서우복야 * 김노현 - 고려 상서우복야 * 전보인[* [[성종(고려)|성종]]8년 나주목 경학박사로서 후학을 근실히 가르쳐 상을 받은 기록이 있고 [[현종(고려)|현종]]9년 좌복야를 지낸 후 이듬해 우복야로서 죽었다.사관이 평하길 '명경과 출신으로 여러 번 학관에 임명되어 당대에 노숙한 유학자로 이름났지만 성품이 가볍고 조급하다'라고 했다.] - 고려 상서좌복야 → 상서우복야 [[https://db.history.go.kr/KOREA/search/searchResult.do?sort=levelId&dir=ASC&start=-1&limit=20&page=1&pre_page=1&itemIds=&indexSearch=N&codeIds=PERIOD-0-3&synonym=off&chinessChar=on&searchTermImages=%E5%85%A8%E8%BC%94%E4%BB%81&searchKeywordType=BI&searchKeywordMethod=EQ&searchKeyword=%E5%85%A8%E8%BC%94%E4%BB%81&searchKeywordConjunction=AND|출처]] * 이응보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원 - 고려 상서우복야 * 진함조 - 고려 상서우복야 * 주덕명 - 고려 상서좌복야 * 장형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인위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주헌 - 고려 상서좌복야 * 진함조 - 고려 상서좌복야 * 주덕명 - 고려 상서우복야 * 이공 - 고려 상서좌복야 * [[지채문]] - 고려 상서좌복야 * 양진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응보 - 고려 상서좌복야 * 이단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여탁 - 고려 상서우복야 * 유징필 - 고려 상서좌복야 * 장극맹 - 고려 상서우복야 * 이습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제안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충 - 고려 상서좌복야 * 황보영 - 고려 상서좌복야 * 이괴 - 고려 상서우복야 * 최보성 - 고려 상서좌복야 * 조현 - 고려 상서우복야 * 박유인 - 고려 상서좌복야 * 장극맹 - 고려 상서좌복야 * 최보성 - 고려 상서우복야 * 이인정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수화 - 고려 상서좌복야 * 박섬 - 고려 상서우복야 * 김원정 - 고려 상서좌복야 * 고열 - 고려 상서우복야 * 임종일 - 고려 상서우복야 * 지맹 - 고려 상서좌복야 * 최용[* [[최윤의]]와 숙비 최씨([[예종(고려)|예종]]의 아내)의 친부.] - 고려 상서우복야 * [[정중부]] - 고려 상서좌복야 * [[이의민]] - 고려 상서좌복야 * 김양[* [[김인존]]의 조부.] - 고려 상서좌복야 * 이허겸[* [[인천 이씨]]의 시조] - 고려 상서좌복야 * [[왕국모]] - 고려 상서좌복야 * 고의화[* [[이자의]]를 죽인 [[숙종(고려)|숙종]]의 신하.] - 고려 상서좌복야